이 시기에 등장하는 광종(재위 949-975년)과 성종(재위 981-997년)은 고려를 중앙집권적 국가체제로 정비한 업적으로 역사적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성종은 태조 왕건의 유훈을 받들어 북방지역 확보에 힘을 쏟았다. 성종은 거란이 고려를 침략했을 때 서희를 내세워 외교담판으로 오히려 강동6주를 되찾는 등 상당한 치적을 쌓았다. 드라마는 조선왕조에 비해 덜 주목받던 고려시대를 다룬다는 점에서는 신선했지만, 북방 지역 진출에 관심이 많은 요즘의 우리 정서를 드라마에 녹이지 못해 시청률이 그리 높지는 못했던 것 같다.
사실 고려 성종 관련 이야기는 한국 역사학의 미스터리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중요하다. '고려사'에서 전하는 성종 관련 기록에 역사 상식과 맞지 않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990년 7월에 내린 성종의 교서(敎書)다.
"태조(왕건)께서 처음 서경(西京)을 설치하고 종실의 친족을 선발해 인후지지(咽喉之地·매우 중요한 길목)를 지키게 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친히 재계하여 제사를 지내고, 오랑캐를 방어해 변방의 국경을 견고하게 했고, 웅도(雄都) 평양(平壤)에 의지하여 우리 조종의 왕업을 공고히 하려 했다. 그 후 성군들께서 왕위를 계승한 후 사직이 안정됨에 따라 때로는 전해온 관례에 따라 직접 서경에 가기도 했고 때로는 신하를 시켜 가보도록 했다. 올해 풍년이 들어 곡식이 잘 여물었으니 10월을 택해 요성(遼城)에 찾아가 선조들께서 정하신 규범을 실행하고 국가의 새로운 법력을 펴고자 한다."
실제로 성종은 이 교서를 내린 후 그해(990년) 10월 서경 즉, 서도(石)로 행차했다. 또 서경 행차 기념으로 대대적인 사면령을 내리고 공이 있는 신하들에게 포상까지 했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설치한 서경을 '웅도 평양' '요성' '서도'라고도 부르는데 이곳들이 같은 곳이냐 하는 것이다. 왕건은 서경을 고려의 수도 개경 못지않게 중시했다. 그는 유훈으로 남긴 훈요10조에서 "서경은 수덕(水德)이 순조롭고, 우리나라 지맥(地脈)의 근본이 되니, 마땅히 행차하여 나라의 안녕을 이루도록 하라"고 강조했다.
학계의 일반적 정설은 고려의 서경은 지금의 북한 대동강가 평양 일대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한 쪽 평양이 곧 요성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요성은 중국 쪽에서도 중국 랴오닝(遼寧) 성 랴오양(遼陽)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곳이다.
'고려사'의 기록대로라면 성종은 왕건이 요양에 세운 서경을 방문했다고 봐야 한다. 이 이상한 교서를 보면서 기자는 '고려사'의 기록이 오기(誤記)이려니 하고 찜찜하게 넘어갔다.
그러다 최근 고려사를 연구하는 윤한택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연구교수를 만나게 됐다. 윤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경제의 물적 기반인 토지 제도를 깊이 연구하기 위해 고려대 대학원으로 진학해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의 '고려전기 사전(私田)연구'라는 박사 논문은 한국 고대 토지 문제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그를 만난 자리에서 성종 관련 기록에 대해 의견을 물었다.
"990년 성종이 행차한 서경은 평양 웅도, 요성이라고 불린 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요성은 요동 지역에 존재하고 있었고요. 성종보다 앞서 고려 광종 때인 972년에 고승 영준(英俊)이 중국에 갔다가 고려로 돌아온 것을 '요성으로 돌아왔다(鶴返遼城)'고 표현하고 있습니다(英俊碑). 이로 보면 요성, 곧 고려의 서경이 요동에 있었던 것이 확실하다고 봅니다."
강단에 서는 정통 사학자의 발언으로서는 놀라운 것이었다. 그는 사료를 근거로 더 충격적인 말도 했다.
"'고려사' 열전 홍유(洪儒)편에는 고려 태조 왕건이 배현경, 신숭겸 등의 추대를 받아 궁예를 몰아내고 즉위하던 918년 6월 14일의 상황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어요. '삼한(三韓)이 분열한 이후 도적의 무리가 다투어 일어나니, 궁예가 어깨를 용감하게 떨치고 크게 소리치며, 드디어 초적을 토벌하고 셋으로 나누어진 요좌(遼左)의 과반을 근거로 하여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하였다'고 합니다. 즉 후삼국의 주인공 중 한 축인 궁예가 근거한 곳이 요좌인데, 이곳 역시 중국 요동(遼東)지역이었을 개연성이 매우 큽니다."
궁예가 나라를 세우고 정한 도읍지가 한반도의 철원 지역이었다는 일반적인 역사 상식과는 동떨어진 말이다. 그러나 문헌에 기록된 '요좌'가 중국 북방지역임은 확실하다. 일제 강점기 시절 항일투쟁을 한 장석영(1851~1929년)이 만주와 시베리아 일대를 답사한 내용을 수록한 책을 '요좌기행(遼左紀行)'이라고 명명한 데서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옛 문헌에 등장하는 방위 개념으로서의 왼 좌(左)는 동(東)쪽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요좌는 곧 요동의 이칭(異稱)이기도 하다.
윤 교수는 이제 고려사를 새로운 시각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고려토지사를 전공했던 그가 지금에 와서야 왜 이런 말을 하는 걸까.
"저는 지금까지 전정(田丁)→사전(私田)→양반전(兩班田)→가령지(家領地)로 이어지는 고려 토지제도의 구조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연구를 해왔습니다. 가문이 영유하는 토지가 가령지라면, 국가가 영유하는 토지가 '영토(領土)'입니다. 경제사적 관점에서 고려의 토지 문제를 연구하다보니 영토 문제까지 연구하게 됐고, 고려국 영토의 범위를 추적하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윤 교수는 최근 '고려국 북계(北界) 봉강(封疆)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통해 이런 연구 결과를 일부 발표한 바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고려사는 영토적 관점에서 재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간 사학계는 이처럼 중차대한 역사적 기록을 단순히 간과한 것일까.
"우리 학계가 서경을 북한 쪽 평양이라고 일찌감치 규정한 이후 이에 대한 엄밀한 고증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는 고려가 지목한 서경이 처음부터 끝까지 한 지역만을 의미하지는 않았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고려를 건국한 태조가 설치한 서경은 '평양대도호부(平壤大都護府)'라는 이름으로 최소한 성종 14년(995년)까지는 요동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 서경유수(西京留守)라는 이름으로 성종 이후 원종 11년(1270년)까지 운영됐고, 원종 이후 충선왕 즉위(1298년) 때까지는 '동령부'라는 이름으로, 마지막으로 충선왕 이후 고려 말까지는 '평양부'라는 이름으로 운영됐습니다. 문제는 이름이 바뀌는 어느 시기부터 서경이 한반도 평양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거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일 처음으로 태조가 설치한 평양대도호부는 약 80년간 중국의 요좌 지역에 있었음은 분명해보이고요."
윤 교수는 이와 관련한 연구를 한창 진행 중에 있다는 이유로 더 이상의 말은 아꼈다. 윤 교수의 해석을 토대로 성종 관련 기록이 오기(誤記)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해졌다. 윤 교수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말했다.
"저는 지금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에서 펴낸 '조선사'를 연구 중입니다. 고려 국경을 중심으로 해서 '조선사'가 기술한 내용들만 살펴보더라도 일제 학자들이 고의적으로 누락하거나 왜곡한 사례가 한두 군데가 아니에요. 우리가 광복 이후 일제의 한국 관련 연구 결과를 너무 비판 없이 수용한 것은 아닌지요."
안영배 전문기자 ojong@donga.com
입력 2016-11-08 14:41:00 수정 2016-11-08 15:55:03
최소한 고려의 북방영토는 만주일대를 포함 - 강동6주와 귀주대첩지는 만주-
(1) 고구려(高句麗) 천리장성도(千里長城圖)와 고려 강역
고구려사(高句麗史)와 고려사(高麗史)
이 지도는 보다시피 중국인들이 만든 지도이다. 위 지도는 압록강 하류와 요동반도 그리고 한반도 서해안이 보이는 지도이다. 고구려의 천리장성과 고려 강역이 확실히 표시되어 있다. 지도 좌편을 보면 고구려 천리장성이 요하 건너 '산해관(山海關)'에서 시작함을 볼 수 있다.
(실재의 고구려 천리장성은 지도보다 더 왼쪽/고구려 천리장성은 '부여에서 해유리까지')
고려의 천리장성은 '압록강'에서 북쪽으로 시원하게 뻗어 고구려 장성에 연결되어 있다. 고구려의 천리장성과 고려 강역이 '성문 이름'까지 표시되어 있다. 고려의 강역이 만주 일대를 전부 차지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고려의 행정구역 수가 584개요 조선의 행정구역 수가 324개인 이유가 확실히 표시되어 있다.
위의 '류조변시의도'에 나타난 고구려 및 고려의 천리장성을 현대의 대륙지도에 다시 옮겨 보겠다.
1.현대의 대륙 지도에도 고려의 영토가 만주까지임을 너무도 사실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고려령(高麗嶺), 고려모(高麗貌) 라는 고려의 영토가 북만주(北滿州)에 표시되어 있다. 고려의 '철령위(鐵嶺衛)'가 한반도에 있는 강원도 철령이 아니라 요녕성의 철령임을 보여준다.
2.고려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가 한반도의 함경도 영흥이 아니라 길림성(吉林省) '쌍성(雙城)' 지방이라는 것이 나타난다.
3.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한 윤관(尹瓘)이 여진(女眞)을 정벌한 지역인 선춘령(先春嶺)이 북만주의
'흥개호' 근처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귀주대첩-강감찬 장군은 만주에서 거란을 물리치다.
국내의 사서(史書)와 중국 고지도(古地圖) 등에 의하면 동북 9성(東北九城)은 두만강 북쪽에 있어야 한다.
상기 지도 노란선은 송령산맥 - 철령위 - 화주 - 고려모 - 선춘령을 연결하는 선이다. 고려의 강역은 과연 어디까지 였는가?
-----------------------------------------------------------------------------------------------------------------------
고려의 철령위의 위치는 만주
척경입비도(拓境立碑圖) [고려대학 박물관 소장]
1107년 윤관(尹瓘), 오연총(吳延寵) 등이 총지휘하는 고려의 17만 대군이 수차례의 치열한 전투 끝에 여진족(女眞族)을 물리치고 국경을 넓혀 그곳에 육성을 쌓았으며, 마침내 선춘령(先春嶺)에 '고려지경(高麗之境)' 네 글자가 새겨진 비를 세움으로써 경계를 삼은 사실을 그린 것이다.
그렇다면 선춘령(先春嶺)의 위치는 어디일까? 다음의 고지도를 보자.
선춘령(先春嶺)의 고려 비석 -> 고려 경계는 두만강 북쪽 600리
선춘령(先春嶺)의 비석은 두만강의 북쪽에 있습니다..
현재의 지도로 보자. 지금 현재 선춘령(先春嶺)의 비석은 어디에 있을까?
1900년초 일본이 작성한 '통감부 임시 간도 파출소 기요' 극비보고서에는 아주 중요한 실마리가 있다.
"중국 연길국자가 서쪽 1리반 지점에 있는 포이하통하 강물에서 커다란 석비를 발견 하였는데 비문의 대부분은 알아 볼 수 없고 남은 20여자의 글자 중 다행히 무자년이라는 기록을 알 수 있다"
'무자년은 고려 예종(睿宗) 3년으로 윤관이 비를 세운 해와 일치한다.'
지금의 그 비석은 중국에 의해 사라져 버렸다.
"고려지경(高麗之境)” 4글자가 씌여져 있었던 그 비석을 꼭 찾아 보고 싶다.
(3) 고려의 동북쪽 경계는 함경남도가 아니라 두만강 북쪽 700리 밖이었다.
지금까지는 고려의 동북 경계는 함경남도 정도로 배워 왔으나 고려사와 고지도는 두만강 북쪽 700리 임을 나타내고 있다. 고려사 권46에 의하면 서북쪽은 압록강, 동북쪽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선춘령에 대해서는 중앙도서관 소장 한 61-77(고지도) 및 규장각 소장 고 4709-89-2(고지도)에 의하면 두만강 북쪽 700리에 있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림을 보면 위쪽 원안에 선춘령(지금은 윤관비로 표기)이 있으며 아래 원이 두만강 표시이다. 서북쪽 압록강을 현재의 압록강으로 볼수 있지만, 만주원류고 신라항목과 고려사 137권 철령위 및 고려사 42권에 동령부 기록에 의하면 현재의 요하가 압록강으로 불리웠음을 밝히고 있다. 고려 강역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
첫댓글 잘 읽고 제 블러그로 모셔 갑니다.
귀중한 자료 고맙습니다.
여가여추 하겠습니다.
무척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지금의 식민사학은 과거 우리 강역을 축소하고 있고, 그 강역을 새롭게 넓혀 보는 소위 재야사학 그분들의 문제점은
고려 구월선, 조선 삼각산(인왕산,북악산)의 도선과 왕건, 무학대사와 이성계의 수도비정 일화가 고스란히 한국 지형이고,
백제 소서노 온조의 첫 정착지가 한강일대 풍납토성이 분명하고, 신라의 경주를 대표하는 황룡사 9충석탑이 흔적과 주춧돌이 경주에 고스란히 잇는데도
한반도에 있던 고조선 삼국 고려 조선 등을 마치 한반도에 없었다는 식으로 바라보니 이게 좀 잘못되 있죠.
참고로 고조선의 왕검성은 지금의 북한 평양이고 서검성이 지금의 심양(봉천) 지역이 맞는데 이에대해 물증적인 추가성이 필요하고요.
신라말 왕가가 고려에게 평화적으로 고려 왕건에게 이양을하고 그 영토를 고스란히 이어받은게 고려입니다.
발해신라 남북국 시대라고 하는 소위 통일신라라고 하는 신라의 영토는 청나라 정사서에서도 기술되있듯이
만주일대까지 포함된 영역입니다. 신라 영토가 시종일관 대동강 이남일까요?통일신라 직후 발해에게 다시 밀려 대동강까지는 밀렸을지는 모르겠으나,
신라가 아에 대동강 아래로만 있었다는건 납득이 안갑니다.북방 스키타이와(카자흐스탄)의 교류,실크로드 종착지가 신라 경주인데
함경도 북방영역이 차단당했다면 어떻게 그들이 신라까지 오겠습니까.개인적으로 신라의 영역이 대동감 이남이라는데는 동의하지 않고요.
@빛과소금 만주까지 포함한 그런 고려 영토를 다시 이어받은게 조선왕조 입니다. 그러니 조선이 동북3성, 구한말까지도 간도일대를 포함하고 있었죠.
어느시기를 놓고 봐도 단몇십년 지금 남북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늘상 만주와 한반도는 하나의 구역 가시권 영역이었습니다.
정치와 이유와 무관하게,적어도 역사적으로는 이런 명확한 오랜기간의 전통적인 관련성과 사실은 기술을 해줘야 하는 것입니다.
@빛과소금 이러니 동양사학자 고 존코벨박사는 한국사학계는 썩은 시체냄새가 난다고 하였고,
유엠푸친이라는 러시아 역사학자는 오히려 주변국에서는 저들은 (한국사를 축소 자국영역 역사처럼)기술 왜곡하며 있다고 하는데
한국은 오히려 있는것도 없다고 한다고'우회적 비판을 한것이라 봅니다.
@빛과소금 그러게 말입니다 식민사학이 하루 빨리 퇴출되어야 나라가 바로 서는데 걱정입니다 이번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이루어져 친일독재 적폐세력과 식민사학이 퇴출되기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