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대전 대통령상 도입과 작가의 권익”
21세기 문화전쟁의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발굴 육성과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확립,우리미술의 세계화에 앞장서야함은 두말할 나위 없이 당대 미술계의 염원이며 우리 한국미협의 지상과제이다 과거 정부가 주도하던 국전과 오늘날 한국미협이 주최하는 미술대전은 명실공히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총합적인 미술공모전이자 사회적 최고권위의 신인 등용문으로 인식되어왔다.하지만,미술대전의 운영에 있어 이러저러한 이유로 그 위상은 실추 되었고,급기야 그를 위하여 미술대전에 대통령상을 도입 한 것과 관련해서 과거 권위주의 시대로의 회귀이니 일제의 잔재이니 하면서 이를 폐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관련하여 미술대전의 탄생배경과 변천과정부터 고찰 하고자한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선전을 통하여 우리의 민족미술문화를 말살하고자 하였다.선전의 심사위원을 일본사람들로 구성하여,한국 근대미술이 무기력하고 유미주의적 화풍이나 표현미 자체만을 지향하는 일본의 미의식에 편승하는 쪽으로 유도하였으나,1948년 광복직후 우리 미술계는 일본화의 청산과 민족미술 운동의 전개가 가장 큰 이슈가 되었던 것은 예정된 노정이었다.하지만 “일제잔재의 청산과 민족미술의 중흥”이라는 기치를 높이 들었을 뿐,그 내면은 헤게모니 싸움으로 점철되었다.선전을 중심으로 형성된 일제강점기의 미술세력과 그 중심권에 서지 못한 소외계층간의 갈등이 주도권 쟁탈전으로 이어졌고,여기에다 이른바 민족민주사회공산주의 이데올로기까지 겹친 사상논쟁으로 혼잡을 이루었다.그리하여,1949년 “우리나라 미술의 발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정부는 국전을 출범 시켰지만 시작자체가 정부의 후원을 등에 업은 우익화가들에 의해 이뤄졌고,국전은 당연히 우익보수의 아성이 될 수밖에 없었다.이때 국전은 선전의 운영형태를 모방 하였다.그러나,어디까지나 그 정신과 철학은 일제청산으로 부터 출발한 것이었다.그후 625전쟁과 516군사정변을 겪으면서 국전은 운영과정상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면서,본래의 취지와 달리 시비와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국전은 미술계의 원로중진급 국전 주도세력의 보수적 권위주의와 그에 연계된 인맥학맥파벌구조 그리고,심사의 불공정성 등에의해 비판의 소리가 높아갔고 추상미술이 들어오면서 국전의 폐쇄성과 새로운 사조를 적극 수용하여야 한다는 비판의 여론이 증폭되자,구상비구상을 나눠실시하는 등 수차례의 제도 개혁이 이뤄졌다.그 후에도 미술계 안팎에서는 운영제도와 관련한 시대적 후진성과 추천초대작가 권위의 국가적 영년보장 등에 문제가 많음을 비판하는 소리와,제도권 밖의 새로운 미술단체들의 끊임없는 도전이 계속되면서 급기야 국전의 무용론폐지론까지 제기되었고,마침내 그렇게 질곡의 역사를 가진 국전은 1981년 30회를 끝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으며 ’82년부터는 문예진흥원으로 주최권을 넘겨 반관전 형태로 운영을 하였으나,그 역시 비판이 계속일자 ’89년에는 민간단체인 한국미술협회로 그 운영권을 이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30회로 명맥을 다한 국전은 우리나라 미술의 발자취와 함께 숱한 부침을 겪어 오면서 비록 선도적인 주류를 형성하지는 못하였지만,싫든 좋든 우리나라 미술사에서 하나의 상징적 존재였던것만은 사실이었고,지금의 미술대전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비판과 도전으로 조금씩 바뀌어 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큰 파장을 불러 일으킨 시점에서,미술대전이 일제의 잔재라 주장하는 자들에게 과거 일제청산 작업이 분명히 있었다는 사실과 그들의 편협적인 역사관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그리고,미술대전이 급변하는 미술사조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하여 우리 한국미협은 내년부터 뉴미디어아트 부문을 신설하여 실험적이고 새로운 사조를 겸허히 수용 하고자 제도적 개선을 마련하고 있음을 밝혀 둔다.하지만,관전이 막을 내리고 민간단체가 주도 하는 미술대전에 대통령상을 도입하였다고 하여,왕권시대 혹은 군부시대의 권위주의로의 회귀라 고 주장하는 것이야 말로 맹목적 비난이고 명분 아닌 명분임을 자각하여야 할 것이다.비록,작금의 도전세력들이 과거 8~90년대의 민중미술운동에 힘을 더한 자들로서 새로운 헤게모니를 만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겠으나,그것이야말로 이렇게 복잡다기한 시대에 맞지 않는 전근대적인 발상이라 하겠다.이러한 시대착오적인 행위는 결코 한국미술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프랑스 앙드레 말로는 “국가는 예술을 이끌어 가기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예술을 지원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고 하였다.관은 통제하는 권력기관이 아니라 보조하고 지원하는 기관이 되어야 하는것이고,관이 문화를 통제하게 되면 그것은 정치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이번 미술대전에 대통령상의 도입배경은,지난 십수년간 대상작품의 매입금으로 1천만원을 지급하여 오던 문예진흥원이 ‘작품매입비 지급단절 계획’이라는 극약처방을 내림으로써 그에 따른 대처방안에서 마련된 것이며,이를 통하여 수상자에게 3천만원이라는 현실성 있는 작품매입금의 지급과 함께 병역면제의 혜택,국내외에 대대적인 홍보와 이듬해에는 개인전을 지원하고자 하였고,향후 외국 유학의 기회를 만들어 주거나 창작 스튜디오를 만들어 주는 등 명실공히 대통령상 수상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폭적인 정책지원 체제를 만듦으로써,그들이 주장하는 세계적인 작가로의 성장기회 부여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아울러 한국미협은 그를 통하여 심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 하는데 최대한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차제에,상의 명칭만을 가지고 명분없는 비난을 계속한다면,우리 한국미협은 결코 그들의 아전 인수 격인 헤게모니 구축행위에 더 이상 수수방관만은 하지 않을 것임을 함께 밝혀둔다.
2005.3.18.
한국미술협회 개선특별위원회위원장 민 병 주
(월간미술 게재 글...국민대 최태만 교수의 글에 대한 반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