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15:1
갈렙이 속한 유다지파가 이스라엘의 선두에 나서고 있습니다. 갈렙이 하나님의 약속을 상기시키며 기업을 차지한 것처럼 유다 지파도 야곱과 모세의 예언(창49:9, 신33:7) 대로 사자처럼 용맹을 떨치며 영적인 장자의 역할을 감수할 수 있을까? 예공, 하나님의 기업은 은혜로 약속된 것이긴 하나 그렇다고 아무나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가 아는 것처럼 그 유업은 믿음으로 행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선물이다.
The Judah tribe, to which Caleb belongs, is leading the way in Israel. Just as Caleb took over the company by reminding the promise of God, can the tribe of Judah take the role of spiritual leader by being brave like a lion, just like the prophecy of Jacob and Moses (Genesis 49:9, God 33:7)? Princess! God's enterprise is promised by grace, but it will not be something that anyone can get. As we know, the dairying is a gift to those who do it by faith.
-
유다지파는 요단 서편의 지파 중에서 가장 먼저 제비를 뽑았을 뿐 아니라 가장 넓은 땅을 기업으로 받았어. 이것은 야곱의 예언(창49:8)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할 것이다. 또한 믿음의 사람 갈렙이 속한 유다지파에게 복 주셨다는 뜻이란다. 문제는 이 땅이
가장 비옥하지도 안전하지도 않은 땅이란다. 그들 몫의 전쟁이 남아있으니 말이다. 살기 좋은 땅일수록 가나안 문화가 강력하고, 따라서 더 단호한 우상과의 전투가 있는 곳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Not only were they the first to draw lots among the tribes on the west side of Jordan, but they also received the largest portion of land as a corporation. This would mean that Jacob's prophecy was fulfilled. It also means that Caleb the man of faith has blessed the tribe of Judah. The problem is that this land is It is neither the most fertile nor safe land. There is still their share of war lef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more livable the Canaan culture is, therefore, a more determined battle with idols.
-
세상이 부러워하는 곳에서 당연히 하나님 나라가 강하게 위협을 받을 것을 명심하렴. 갈렙은 비록 나이 많아 늙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기업(헤브론)을 믿음으로 취하고 있구나. 늙은 갈렙 앞에 거인족 아낙은 추풍낙엽처럼 떨어져 나가버렸어. 하나님의 약속은 믿음으로 반응하는 사람의 몫이다. 나이가 믿음을 보장하지 못하지만 믿음은 시간을 거슬러 형성되기도 어렵다는 것을 깨달을 날이 올 것이다. 동시에 노년은 자신의 믿음을 책임질 나이란다.
Keep in mind that the kingdom of God will be strongly threatened where the world envies you. Caleb, despite his old age, is taking the enterprise (hebron) given to him by faith. In front of Caleb, the giant woman fell off like a fall of the autumn wind. God's promise belongs to those who respond with faith. The day will come when you will realize that age does not guarantee faith, but faith cannot be formed in time. At the same time, old age is the age to take responsibility for one's faith.
-
끝 단락에서 악사는 네겝 땅(광야)에 거하기 위해 아버지 갈렙에게 결혼지참금으로 샘물을 요구한다. 옷니엘과 악사는 자신들의 기업이 메마른 땅이었지만, 그 땅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지키는 본을 보였어. 약속의 땅은 차지해야 얻을 수 있는 땅이고, 수고해야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예공도 잘 알 것이다. 천국은 침노하는 것이니 날마다 두렵고 떨림으로 주의 통치가운데 악을 물리쳐야 할 것이야.
In the last paragraph, the musician asks his father Caleb for spring water as a wedding present in order to live in the land of Negeb. Daniel and the musician showed a pattern of keeping the land to the end without giving up on it, even though their company was dry land. You know that the promised land is land that can be obtained only by occupying it, and that you can bear fruit only by hard work. Heaven is silent, so you will have to fight off evil in the midst of your rule with fear and tremors every day.
-
동 서양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전쟁에서 공을 세우면 임금의 부마가 되는 것은 낯설지 않은 고전 프레임일 것이다. 그중에 평강 공주와 바보 온달은 오늘 등장하는 옷니엘과 악사 스토리를 패러디한 것 마냥 빼 닮았다. 6세기 신라의 진흥 왕이 한강 유역을 차지할 때까지 남한강 유역은 고구려의 땅이었으므로, 새롭게 전열을 정비한 고구려가 온달을 시켜 온달산성에 군대를 파견했고, 온달장군은 한강 유역을 장악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서 혈전을 벌인 끝에 결국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전사했다고 한다.
Not only in the East and the West, but also in Korea, if you make a contribution in the war, it would be a familiar classic frame to become a boomer for the king. Among them, Princess Pyeonggang and the fool Ondal are similar to a parody of the story of Daniel and Axar in today's appearance. Since the Namhangang River basin was Goguryeo's land until King Jinheung of Silla occupied the Han River basin in the 6th century, Goguryeo, which had newly reorganized the battle lines, sent troops to Ondalseong Fortress, and General Ondal was killed without achieving his purpose after a blood clot in this area to take control of the Han River basin.
-
바보로 알려진 온달과 그 온달의 성공을 도와준 평강공주, 그리고 온달의 극적인 죽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한 이들의 결혼과 극적인 스토리는 역사적 사실일까? 결론을 말하면 온달의 스토리는 역사적 사실이지만, 사학자들은 온달이 애초에 바보가 아닌, 오히려 상당히 건장하고 능력 있는 당대의 청년장군이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것 같다. 그만한 인물이기 때문에 당시 귀족세력을 누르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세력을 필요로 한 고구려왕에 의해 발탁되고 왕의 부마까지 된 것으로 보인다.
-
Is the marriage and dramatic story of Ondal, who is known as the fool, Princess Pyeonggang, who helped him succeed, and Ondal's dramatic death a historical fact? In conclusion, Ondal's story is a historical fact, but historians seem to presume that Ondal was not a fool in the first place, but rather a fairly strong and capable young general of the time. Because of his character, he was selected by King Goguryeo, who needed a new force to overcome the aristocratic forces of the time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seems to have become a boomer for the king.
-
갈렙은 기럇세벨을 점령하면 딸 악사를 주겠다고 했고 그의 예쁜 딸 악사를 갖고 싶어 엑설런트 한 남자 옷니엘이 몸을 던졌다. 남자들이란 하여튼 단순해서 예쁜 여자를 보면 목숨도 초개처럼 거는 것 같구나. 예공! “용감한 자가 미인을 얻는다는” 말은 수많은 바보 온달들이 자신들의 단순한 행위를 정당화시키기 위해서 지어낸 이야기가 아닐까? 하여튼 지겨운 땅 나누기 가운데 첫 사사 옷니엘 내러티브는 가뭄의 단비일 것이다.
Caleb said he would give her a daughter musician if she occupied Guiratsebel, and an exceptional man, Daniel, threw himself in because he wanted to have a pretty daughter musician. Men are simple, so when you see a pretty woman, it seems like you risk your life like a first dog. Artwork! Isn't "The brave man gets the beauty" a story that many fools Ondal made up to justify their simple actions? Anyway, the first story of Sasa Daniel in the midst of boring division of land would be a welcome rain of drought.
-
갈렙의 딸인 악사가 시집을 가기 전에 "밭도 주고 샘물도 주세요." "뭐데?" 딸은 시집가면 산적도둑이라더니 맞나 보다. 아비는 군소리도 하지 않고 다 악사에게 주었어. 하나님은 언제나 후하게 주시는 분이니 넘어가고 악사가 평강 공주인가, 산적도둑인가가 궁금해졌다.“악사가 출가할 때에~나를 남방 땅으로 보내시오니(19)“ 여기서 남방 땅은 개역개정에서는 네겝 땅으로 번역되어 있는데 네겝은 물이 없는 건조한 땅, 사막이란다.
Before the musician, Caleb's daughter, married, "Give me a field and spring water." "What?" She said that she was a bandit when she got married, and I guess that's right. My father gave everything to the musician without even saying anything. God is always a generous person, so I wondered whether the musician was a princess of Pyeonggang or a bandit thief. "When the musician became a monk~ He sent me to the southern land (19)." Here, the southern land is translated as the land of Negeb in the revision of Gaeb, which is a dry land without water, a desert.
-
아무런 불평도 없이 네겝으로 간 남편 옷니엘이 칭찬받아야 하겠으나 사막에 절대 필요한 것은 물인 이상 악사는 평강공주가 분명하다. 물을 길어 건조한 땅을 개간하고 경작하며 땀방울 흘리는 남편 옷니엘과 아내 악사의 수고를 하나님께서는 어찌 돌아보지 않겠는가? 내 기업을 지키기 위해 몰아내야 되는 가나안 거민은 무엇인가? 내가 가정을 보존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정복할 것이 무엇인가? 약속된 축복이 확정된 축복이 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My husband, Daniel, who went to Negeb without any complaints, should be praised, but since the absolute necessity of the desert is water, it is clear that the musician is the Princess Pyeonggang. Why doesn't God look back on the hard work of her husband, Daniel, and his wife, who sweats while cultivating and cultivating dry land by drawing water? What are the Canaanites that must be driven out to protect my business? What should I conquer more actively to preserve my family? What does it take for the promised blessing to be a confirmed blessing?
-
유다지파의 경계(1-12)
a.남방 경계:1-4
b.동방 경계:5a
c.북방 경계:5b-11
d.서방 경계:12
헤브론과 드빌의 정복(13-19)
a.갈렙의 헤브론 점령:13-14
b.옷니엘의 드빌 점령:5-17
c.악사의 요청:18-19
-
유다 자손의 지파가(1a)
그 가족대로(1b)
제비 뽑은 땅의 극 남단은(1c)
에돔 지경에 이르고(1d)
또 남으로 신 광야까지라(1e)
-
그 남편 경계는(2a)
염해의 극단(2b)
곧 남향한 해만에서부터(2c)
-
아그랍빔 비탈 남편으로 지나(3a)
신에 이르고(3b)
가데스 바네아 남편으로 올라가서(3c)
헤스론을 지나며(3d)
아달로 올라가서(3e)
돌이켜 갈가에 이르고(3f)
-
거기서 아스몬에 이르고(4a)
애급 시내에 미치며(4b)
바다에 이르러(4c)
경계의 끝이 되나니(4d)
이것이 너희 남편 경계가 되리라(4e)
-
그 동편 경계는 염해니(5a)
요단 끝까지요(5b)
그 북편 경계는(5c)
요단 끝에 당한 해만에서부터(5c)
-
벧호글라로 올라가서(6a)
벧 아라바 북편을 지나(6b)
르우벤 자손 보한의 돌에 이르고(6c)
-
또 아골 골짜기에서부터(7a)
드빌을 지나 북으로 올라가서(7b)
강 남편에 있는(7c)
아둠밈 비탈 맞은편 길갈을 향하고(7d)
나아가 엔 세메스 물을 지나(7e)
엔로겔에 이르며(7f)
-
또 힌놈의 아들의(8a)
골짜기로 올라가서(8b)
여부스(8c)
곧 예루살렘 남편 어깨에 이르며(8d)
또 힌놈의 골짜기 앞(8e)
서편에 있는 산꼭대기로 올라가나니(8f)
이곳은 르바임 골짜기 북편 끝이며(8g)
-
또 이 산 꼭대기에서부터(9a)
넵도아 샘물까지 이르(9b)
러 에브론산 성읍들에 미치고(9c)
또 바알라(9d)
곧 기럇 여아림에 미치며(9e)
-
또 바알라에서부터(10a)
서편으로 돌이켜(10b)
세일산에 이르러(10c)
여아림산(10d)
곧 그살론 곁 북편에 이르고(10e)
또 벧 세메스로 내려가서(10f)
딤나로 지나고(10g)
-
또 에그론 북편으로 나아가(11a)
식그론에 이르러(11b)
바알라산에 미치고(11b)
얍느엘에 이르나니(11c)
그 끝은 바다며(11d)
-
서편 경계는(12a)
대해와 그 해변이니(12b)
유다 자손이(12c)
그 가족대로 얻은(12d)
사면 경계가 이러하니라(12e)
-
여호와께서(13a)
여호수아에게 명하신대로(13b)
여호수아가 기럇 아르바(13c)
곧 헤브론 성을(13d)
유다 자손 중에서 분깃으로(13e)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주었으니(13f)
아르바는 아낙의 아비였더라(13g)
-
갈렙이 거기서 아낙의 소생(14a)
곧 그 세 아들 세새와(14b)
아히만과(14c)
달매를 쫓아내었고(14d)
-
거기서 올라가서(15a)
드빌 거민을 쳤는데(15b)
드빌의 본 이름은 기럇 세벨이라(15c)
-
갈렙이 말하기를(16a)
기럇 세벨을 쳐서(16b)
그것을 취하는 자에게는(16c)
내가 내 딸 악사를(16d)
아내로 주리라 하였더니(16e)
-
갈렙의 아우요(17a)
그나스의 아들인 옷니엘이(17b)
그것을 취함으로(17c)
갈렙이 그 딸 악사를(17d)
그에게 아내로 주었더라(17e)
-
악사가 출가할 때에(18a)
그에게 청하여(18b)
자기 아비에게 밭을 구하자 하고(18c)
나귀에서 내리매(18d)
갈렙이 그에게 묻되(18e)
네가 무엇을 원하느냐(18f)
-
가로되 내게 복을 주소서(19a)
아버지께서 나를(19b)
남방 땅으로 보내시오니(19c)
샘물도 내게 주소서 하매(19d)
갈렙이 윗샘과 아랫샘을(19e)
그에게 주었더라(19f)
-
헤브론을 정복한 갈렙_Caleb Conquering Hebron_
후계자가 된 옷니엘_He became the successor_
땅과 샘을 얻은 악사_a musician who has acquired land and springs_
-
약속대로 해브론 성을 갈렙에게 주신 주님, 제가 기업을 지키고 내 가정을 보존하기 위해 갈렙의 신앙을 배우게 하소서. 12지파 모두에게 기업을 주셨지만 특별히 유다지파에게 윗 샘 아랫 샘까지 아낌없이 주시는 성부의 슬픈 눈빛을 깨닫고 이제 철든 자식이 되겠습니다. 내 안에 잔존 해 있는 적들을 몰아내어 내 삶의 영역이 확장되어지도록 도우소서. 내게 주신 것을 다른 공동체와 비교하지 않고 더욱 영광스럽게 가꾸게 하소서.
As promised, let me learn Caleb's faith in order to protect businesses and preserve my family, O LORD, who gave Caleb the castle. I have given business to all the tribes, but I will now be a mature child after realizing the sad gaze of the Father, who generously gives business to the tribes of Judah, even the upper and lower springs. Help me expand my realm of life by driving out the remaining enemies from me. Make what you have given me more glorious without comparing it to other communities.
2025.1.23.thu.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