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일~25일 시사한자 뉘~우쓰
출장(出張) 독재(獨裁) 극단(極端) 절차(節次) 위반(違反) 적산(귀속재산)[敵産(歸屬財産)] 방첩사(防諜司) 치장물자(置藏物資) 투자유치(投資誘致) 용두사미(龍頭蛇尾)
- 단어(單語)풀이
출장(出張); 직무(職務)를 띠고 임시(臨時)로 다른 곳으로 나감
독재(獨裁); 1)특정(特定)한 개인(個人)ㆍ단체(團體)ㆍ당파(黨派)ㆍ계급(階級) 등(等)이 국가(國家)나 혹은 어떤 분야(分野)에서 권력(權力)을 차지하고 모든 일을 단독(單獨)으로 지배(支配)ㆍ처리(處理)하는 일.
2)독재정치(獨裁政治)의 준말.
극단(極端); 1)맨 끝. 맨 끄트머리.
2)몹시 궁하여 여지(餘地)가 없음. 극도(極度)에 이르러 어찌할 수 없음.
3)중용(中庸)을 잃고 한쪽으로 치우침.
절차(節次); 일의 순서(順序)나 방법(方法).
위반(違反); 법령(法令)ㆍ명령(命令)ㆍ약속(約束) 등(等)을 어기거나 지키지 않는 것.
적산(귀속재산)[敵産(歸屬財産)];
1)적산(敵産); 자기(自己) 나라나 점령지(占領地) 안에 있는 적국(敵國)의 재산(財産) 1945년 8월 해방(解放) 이전(以前)에 한국(韓國) 안에 있던 일본인(日本人) 재산(財産)의 속칭(俗稱).
2)귀속재산(歸屬財産); 1945년 8월 9일 현재(現在) 국내(國內)에 있던 일본인(日本人)의 모든 단체(團體) 또는 개인(個人)에 속(屬)하는 일체(一切)의 재산(財産) 및 권리(權利)로 1948년 9월 11일 한미(韓美) 양국(兩國) 간(間)의 재정(財政) 및 재산(財産)에 관(關)한 최초(最初) 협정(協定)에 의거(依據),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에 이양된 재산(財産).
방첩사(防諜司); 국군방첩사령부(國軍防諜司令部)는 1950년 설립된 특무부대를 시초로 하며 1960년 방첩부대, 1968년 육군보안사령부, 1977년 국군보안사령부를 거쳐 1991년 설립된 기무사령부가 2018년 9월 1일 해편되어 군사안보지원사령부로 격하 되었다가 2022.11.1 설립 취지인 방첩 역할에 적합한 국군방첩사령부 명칭으로 변경되어 기무사령부의 명맥을 잇고 있는 대한민국의 방첩기관이다. 방첩사령부의 뜻은 간첩을 방지하는 사령부로, 약칭은 방첩사(防諜司)이다.
치장물자(置藏物資); 군사 전시 편제 소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인가되어 확보된 물자 중 평시 운용량 초과분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장소에 저장 관리하고 있는 물자.
투자유치(投資誘致); 1) 사업(事業)에 자금(資金)을 투입(投入)함. 출자(出資).
2)이익(利益)을 고려(考慮)하여 주권(株券). 채권(債券) 등(等)의 구입(購入)에 자금(資金)을 돌림. 방자(放資).
3)공장(工場), 기계(機械)나 원료(原料), 제품(製品)의 재고품(在庫品) 등(等)의 자본재(資本財)가 해마다 증가(增加)하는 부분(部分).
이같이 다양한 경우의 투자(投資)를 이끌어 오다.(誘致)
용두사미(龍頭蛇尾); 「머리는 용(龍)이고 꼬리는 뱀」이라는 뜻으로, 시작(始作)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짐의 비유(比喩ㆍ譬喩). 처음 출발(出發)은 야단스러운데, 끝장은 보잘것없이 흐지부지되는 것.
- 말짓기
인생은 지구에 잠시 출장(出張)왔다 가는거라는데, 누구는 자신의 역할이 독재(獨裁)자인양 악의 극단(極端)에 서서 민주적절차(節次)를 철저히 위반(違反)하고 있다.
제국주의 침략자들로부터 독립한 국가는 적산(귀속재산)[敵産(歸屬財産)]이라고 판명된 경우라도 소유권자를 배제하고 마음대로 처분하거나 자국에 무단으로 귀속시킬 수 없는걸까? 그것이 궁금하다.
대한민국 국군의 방첩사(防諜司) 역할에 적대국가의 치장물자(置藏物資)를 정확히파악하는 것도 큰 임무 중의 하나이다.
국가원수의 해외 순방시 투자유치(投資誘致)는 사전에 해당국가와의 최종 조율을 마쳐 100% 성사되도록 해야지 보여주기식으로 서두르다 흐지부지되는 우물가에서 숭늉찾는식의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