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단산 黔丹山 534.7m
사기막골 근린공원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사기막골공원 沙器膜-公園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에 있는 근린공원.
사기막골 근린공원은 사기를
굽던 전통가마를 재현하고
주변의 자연과 전통정원이
어울리도록 조성된 공원이다.
중원구 상대원동 일원에 있으며
면적은 약 21,620㎡ 정도로
남한산성 순환로 및 공단로를
통한 접근이 가능하다.
도자기 전시관, 전통문화체험관,
전통 가마터, 정자, 어린이 놀이터
등의 시설물이 있고
여름이면 인근 계곡에서 많은
주민들이 물놀이를 하며
휴식을 즐기기도 한다.
연못과 수경시설, 의자와 정자가
있고 운동기구도 설치해 두었고
도자기 체험관에서는 도자기
빗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기 그릇을 구워 생활하였던
동네인 사기막골에 도자기를 굽는
전통 가마터와 전통 체험관,
정자 등 전통미를 가미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성남시에서는 기존 사기막골
유원지내 불량 시설 철거 지역을
도자기를 굽던 지역의
옛 모습을 재현하고,
시민들에게 도심 속에서 전통의
미와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공간을 제공하고자 상대원1동
사기막골 유원지에 공원을 건립하였다.
'사기(砂器) 막(움막) 골
(골짜기)'의 합성어 입니다.
풀어 쓰면, 흙으로 사기그릇을
만들던 골짜기 및 장소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대원동에 위치한 사기막골
근린공원은 조선시대 민간에서
정원형태를
바탕으로 사기막골의 지명
유래를 담아 사기를 굽던
전통가마를 재현하고,
주변의 자연과 전통정원이
어울리도록 조성하였습니다.
사기막골공원은 자연 발생한
유원지가 폐지된 지역이었으나,
2006년 3월 사기막골 유원지
내 도시 근린공원을 조성하기로
결정한 후 토지매입비
138억원을 포함해 총
203억원을 투입하여
2008년 11월착공 1년 8개월만인
2010년 7월에 준공하였다.
사기막골공원은 2만1천620㎡
규모에 전통 가마터, 전통 체험관,
정자, 전통담장, 벽천분수,
대나무 숲 등이 조성되어 있다.
사기막골공원은 세속의 벼슬이나
당파 싸움에 야합하지 않고
자연에 귀의하겠다는 뜻에서
옛 선비들이 만든 정원인 별서
정원 양식으로 만들어져 휴식과
체험의 공간으로 많은 시민들이 찾고 있다.
사기막골의 유래
사기막골은 옛날 이곳에
사기그릇을 굽던 막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상대원동92번지 화성사 이대에서
여러 자기편이 발견되었다.
체집된.도지미.
가마벽체편은 옛 가마터 자리에서
발견되는 유물이며 화성사를
지을떼 많은자기편을보았다는
주민의 얘기를 종합해 볼떼
이 일대에 비교적 넓은범위에
걸쳐 자기를 생산하던
가마터가 있었음을 알수잇다.
체집된 자기편들은 대부분
백자들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만들어진 지방요일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추정된다.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사기막골에 위치한
조계종 사찰인 대원사의
풍경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사찰 寺刹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법을 수행하고 설하는 집.
절, 사원(寺院), 가람(伽藍),
정사(精舍)라고도 한다.
사찰은 인도에서 불교 발생
초기에 수행자들이 우기
(雨期)를 피해
한 곳에 모여 공동생활을
한 전통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전통을 안거(安居)라고
하는데, 이때 안거의 장소가
후대에 사찰로 발전하게 되었다.
불교 초기의 역사 속에
등장하는 안거장소로는
죽림정사(竹林精舍), 기원정사
(祇園精舍)가 유명하다.
이렇듯 초기에는 단순히
공동수행을 위한 주거지의
성격이었으나 점차 수행,
교육, 포교 등 다양한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는 종교적
성지가 되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양식의
사찰 건축물과 불교 조형물
들이 발전하게 되었다.
성남지역 사찰의 역사는
백제에 불교가 수용되던
시기로부터 비롯한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을
보면 백제 침류왕 때 고대국가의
이데올로기인 불교를 보급하기
위해 지금의 남한산성 부근으로
추정되는
한산(漢山)에 사찰[불사(佛寺)]을
지어 승려들을 출가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사찰에 대해 더
이상의구체적 사실은 알 수 없다.
조선시대까지의
옛 문헌이나 유적에서 자취를
찾아볼 수 있는 성남지역의
사찰은 10여개 정도가 있다.
영장산의 신일사(新日寺),
약수암(藥水庵), 도운암(陶雲庵)
등은 조선시대 사찰이었으며,
현대에 건립된 약사사(藥師寺)
[1968년], 백련사(白蓮寺)[1975년],
골안사(骨安寺) 등은 조선 후기
사찰인 남한산성의 정각사(正覺寺),
한흥사(漢興寺), 불곡사
(佛谷寺)를 재건한 것이다.
그리고
야탑동사지(野塔洞寺址),
탄리사지(炭里寺址),
국은봉사지(國恩峰寺址) 등은,
지금은 사라졌지만 예전에
있었던 사찰의 흔적들이다.
검단산 黔丹山 534.7m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높이 534.7m로, 청량산(淸凉山)
[479.9m]과 함께 광주산맥의
지맥으로서 남한산성과
연결되는 산줄기를 이루는 산이다.
탄천이 중앙부를 북류하고
그 좌우에 지류가 발원하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凹형을 띠고 있다.
성남시의 지세에서 동쪽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 위치하는 청계산
(淸溪山)[618m] 줄기와 함께
전체적인 성남시의 동서
방향의 경계를 이룬다.
검단산의 동쪽
너머는 경안천 유역으로,
행정구역상
광주시에 해당한다.
검단산을 중심으로 하는
성남시의 동쪽 산지는
남쪽으로 갈수록
해발고도가 낮아지며 서쪽의
청계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지에
비해 전반적으로 평균고도가
낮고 완만한 사면이 발달해 있다.
이러한 지형조건으로 성남시가지
조성계획 당시 시가지가 입지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로 태평동,
신흥동, 단대동, 금광동, 상대원동,
중앙동, 성남동, 수진동을 중심
으로 하는 원 성남과 야탑동에서
구미동에 이르는 분당시가지는
모두 탄천과 동쪽 산지에 조성되었다.
현재의 검단산 정상부에는
KT의 대규모 중계시설이
입지하고 있으며,
중계소 주변에 자리하고 있다.
산의 최정상부는 면적은 넓지
않지만 평탄한 면을 이루고
있어
헬리콥터 이,
착륙장이 건설되어 있으며,
남한산성으로부터 등산로와
작업용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검단산 남쪽 비탈, 해발 고도
400m 일대에는 야생 동식물
보호 구역이 있다.
성남 신남성 서돈대
城南新南城西墩臺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산2-1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진영.
1752년(영조 28) 광주유수
(廣州留守) 이기진(李箕鎭)의 건의로
검단산 정상부에 축조한 2곳의
돈대(墩臺) 가운데 서쪽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검단산 정상은 동서 방향으로
3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서쪽 봉우리가 가장 높고
중앙의 봉우리가 다음으로 높다.
신남성 서돈대는 가장 높은
서쪽 봉우리에 설치되었고,
중앙의 봉우리에 축조된 것은
동돈대(東墩臺)라고 부른다.
돈대는 성을 쌓을 여건은
안 되지만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하여 적의 침입이나
척후활동을 사전에 방어하고
관찰할 목적으로쌓은 소규모
방어 시설물을 말한다.
동돈대에서 서쪽으로 235m
떨어진 해발 532m 지점에 있다.
남한산성 동쪽의 한봉과 더불어
산성을 방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병자호란 때
청나라 군인들이 이곳에 포(砲)를
설치하고 발사하여 행궁의 기둥을
맞추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성남시청공원트레킹ㅡ
시청공원 市廳公園 ㅡ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ㅡ
여수동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성남시청 城南市廳 ㅡ
성남시 관할 행정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4?svc=cafeapp
성남은행공원트레킹ㅡ
은행공원 銀杏公園ㅡ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ㅡ
은행동에 조성된 근린공원ㅡ
은행공원 물놀이장ㅡ
은행동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7?svc=cafeapp
성남모란공원트레킹ㅡ
모란공원ㅡ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ㅡ
성남동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모란생태공원 ㅡ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3?svc=cafeapp
분당주택공원트레킹ㅡ
주택공원 住宅公園ㅡ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ㅡ
정자동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분당 정자동 카페거리ㅡ
정자동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있는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2?svc=cafeapp
남한산성도립공원ㅡ
정월대보름 축제 영월제ㅡ
하늘에서 만들어준ㅡ
천혜의 요새 남한산성 ㅡ
수어장대 북문 서문 남문 ㅡ
남한산성 공원 눈산행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35?svc=cafeapp
분당독고개공원ㅡ
이왕이공원 여수천 트레킹 ㅡ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ㅡ
도촌동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중원구의 갈현동에서 도촌동을ㅡ
지나 탄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0?svc=cafeapp
사기막골 근린공원
성남해오름 공원ㅡ
대원 공원 성남 종합운동장 ㅡ
신안마트 수진역 신흥역 ㅡ
단대오거리역 트레킹 ㅡ
청계산 산행 ㅡ
모란시장 성남 탄천길 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16?svc=cafeapp
성남영장산靈長山194mㅡ
고려의 사찰 망경암 ㅡ
조계사의 말사 봉국사 ㅡ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ㅡ
태평동과 복정동 ㅡ
창곡동 사이에 위치한산 ㅡ
https://m.cafe.daum.net/wkwl/Yo07/30?svc=cafeapp
성남희망대공원약135mㅡ
설 전날 눈 오는날 눈꽃 ㅡ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ㅡ
신흥2동에 있는 공원 ㅡ
눈에 미끄러져 ㅡ
처박힌 승용차 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29?svc=cafeap
분당율동공원 트레킹ㅡ
벚꽃 만발한 율동공원 栗洞公園ㅡ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ㅡ
분당동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ㅡ
매년 4월이 되면 전국적으로 ㅡ
벚꽃으로 벚꽃 구경과 축제가 벌어진다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64?svc=cafeapp
분당중앙공원트레킹ㅡ
중앙공원 中央公園 ㅡ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ㅡ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ㅡ
성남시에 위치하는 공원 중 ㅡ
최대의 규모를 자랑한다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69?svc=cafeapp
분당판교공원 트레킹ㅡ
판교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ㅡ
조성된 제4호 ㅡ
근린공원으로 숲ㅡ
판교 신도시 개발 지구 중ㅡ
가장 넓은 공원이다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70?svc=cafeapp
분당 탑골공원 트레킹ㅡ
탑골공원 ㅡ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ㅡ
일원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탑골공원은 대부분이 ㅡ
등산로로 이루어진다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71?svc=cafeapp
남한산성도립공원ㅡ
정월대보름 축제 영월제ㅡ
하늘에서 만들어준ㅡ
천혜의 요새 남한산성 ㅡ
수어장대 북문 서문 남문 ㅡ
남한산성 공원 눈산행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35?svc=cafeapp
분당머내공원트레킹ㅡ
머내과학공원ㅡ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ㅡ
구미동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구미동 九美洞ㅡ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법정동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1?svc=cafeap
성남시청공원트레킹ㅡ
시청공원 市廳公園 ㅡ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ㅡ
여수동에 위치한 근린공원ㅡ
성남시청 城南市廳 ㅡ
성남시 관할 행정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u/184?svc=cafe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