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fe and Sayings of Holy Abba Pior of Scetis
거룩한 아바 피오르 오브 스케티스의 삶과 격언
Holy Abba Pior (Feast Day - June 17) 성 아바 피오르 (축일 - 6월 17일) |
Verses
The soul of Pior had a wealth of virtues,
His rich soul departing full of fat.
피오르의 영혼은 풍요로운 덕을 지녔고,
그의 부유한 영혼은 지방으로 가득 차 떠났다.
Pior, an early settler in Nitria, lived at first with Anthony the Great. He was a priest, and became a solitary in Scetis. Below are the life and sayings of Abba Pior as we read in the Lausiac History and the Paradise of the Fathers.
니트리아의 초기 정착민인 피오르는 처음에는 안토니우스 대제와 함께 살았다. 그는 사제였고, 스케티스에서 고독한 사람이 되었다. 아래는 우리가 라우시악 역사와 교부들의 낙원에서 읽은 아바 피오르의 삶과 말들이다.
Concerning Abba Pior 아바 피오르(Abba Pior)에 관하여
By Bishop Palladius of Helenopolis 헬레노폴리스의 팔라디우스 주교
Lausiac History, Ch. 11 라우지악의 역사, Ch. 11
And there was an Egyptian youth whose name was Pior, and he was a holy man; and when he departed from the house of his parents he made a covenant with God with the zeal of excellence that he would never see again any of his kinsfolk. And after fifty years had passed, the sister of this blessed man, who was very old and grey, heard that he was alive, and she greatly desired to see him; now she was unable to come to him to the desert, and she besought the Bishop, who was in that country, to write to the fathers who lived in the desert telling them to urge him, and to send him to see his sister. Then when the blessed man saw the pressure which came from them to make him go, he took with him certain of the brethren, and set out to go on the journey, and having arrived he sent and informed his sister’s household, saying, “Behold, Pior your brother has come, and he stands outside.” Now when his sister heard his voice, she went forth in great haste, and when Pior heard the sound of the door, and knew that the aged woman his sister was coming forth to see him, he shut his eyes tightly, and said, “So and so, I am your brother; look at me as far as you can do so;” and having seen him she was relieved in her mind, and gave thanks unto God, but she was unable to persuade him to enter into her house. And he made a prayer by the side of the door with his eyes closed tightly, and departed to the desert.
그리고 한 이집트 젊은이가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피오르였는데, 그는 거룩한 사람이었다. 그가 자기 부모의 집을 떠날 때, 그는 자기 친척들 중 어느 누구도 다시는 않겠다는 탁월한 열심으로 하나님과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50년이 지난 후에, 매우 늙고 백발이 된 이 축복받은 사람의 누이는 그가 살아 있다는 소식을 들었고, 그를 몹시 보고 싶었다. 이제 그녀는 사막에 있는 주교에게 갈 수 없었고, 그 나라에 있는 주교에게 간청하여 사막에 살고 있는 아버지들에게 편지를 써서 그를 재촉하고, 그를 그의 누이를 보러 보내도록 요청했다. 그러고 나서 그 축복받은 사람은 그들을 떠나게 하려는 압력이 그들로부터 오는 것을 보고, 형제들 중 몇 명을 데리고 여행을 떠나고, 도착한 후에 그는 사람을 보내어 그의 누이의 집안 사람들에게 알리며 말하기를, "보라, 너의 형제 비오르가 왔고, 그는 밖에 서 있다." 그런데 그의 여동생이 그의 목소리를 듣고, 그녀는 매우 서둘러 나갔고, Pior가 문 소리를 들었을 때, 그의 누이가 그를 보러 나오는 늙은 여인을 알고, 그는 눈을 꼭 감고 말했다. 할 수 있는 대로 나를 보아라." 그리고 그를 본 그녀는 마음으로 안도하며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으나 그를 설득하여 자기 집에 들어올 수는 없었다. 그리고 그는 눈을 꼭 감고 문 곁에서 기도를 드리고 사막으로 떠났다.
And he also wrought the following wonderful thing: In the place where he lived he dug a hole in the ground, and found water which was bitter in taste, but until the day wherein he died he endured the bitter taste of the water, in order that he might make known that which he suffered patiently for the sake of God. Now after his death many of the monks wished to abide in that place, but they were not able to do so, even for one year, chiefly because of the terrible nature of the country and the barrenness thereof.
그가 사는 곳에서 땅에 구덩이를 파고 쓴 맛이 나는 물을 찾았으나 죽는 날까지 그 물의 쓴 맛을 참았으니 이는 그가 하나님을 위하여 참음으로 고난을 받은 것을 알리기 위함이었다. 그가 죽은 후 많은 수도사들이 그곳에 머물기를 원했지만, 주로 그 나라의 끔찍한 자연과 그 불모의 땅 때문에 1년 동안이라도 그렇게 할 수 없었다.
Sayings of Abba Pior 아바 피오르의 격언
Paradise of the Fathers 교부들의 낙원
1. Blessed Pior worked at harvest-time for someone, and he was told to go and get his wages. But he put it off till later and returned to his hermitage. Next year, when the season required it, he went harvesting, worked strenuously and returned to his hermitage without anyone giving him anything. When the third summer was coming to an end and the old man had completed his usual work, he went away without taking any payment. But the master of the harvest, having put his affairs in order, took the wages and went to the monasteries, in search of the Saint. Scarcely had he found him than he threw himself at his feet, giving him his due and saying, 'The Lord gave it to me.' But Abba Pior only asked him to take the wages to the church to the priest.
1. 복자 피오르는 추수 때에 누군가를 위해 일했는데, 그는 가서 품삯을 받으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나중으로 미루고 그의 암자로 돌아갔다. 이듬해 계절이 허락되면 그는 추수를 하러 가서 열심히 일하고 아무도 그에게 아무것도 주지 않고 그의 암자로 돌아왔다. 세 번째 여름이 끝나가고 노인은 평소와 같은 일을 마쳤을 때, 아무런 보수도 받지 않고 떠났다. 그러나 추수꾼은 자기 일을 정리한 후에 품삯을 가지고 성자를 찾아 수도원으로 갔다. 그는 그를 발견하기도 전에 그의 발 앞에 엎드려 그에게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드리며 '주께서 그것을 내게 주셨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아바 피오르는 그에게 교회의 임금을 사제에게 가져가라고 요구할 뿐이었다.
2. Abba Pior used to walk a hundred paces while he was eating. Someone asked him why he ate like that, and he said, 'I do not want to make eating an occupation, but something accessory.' To another who also asked him the same question, he replied, 'It is so that my soul should not feel any bodily pleasure in eating.'
2. 아바 피오르(Abba Pior)는 식사를 하면서 백 걸음을 걷곤 했다. 누군가 그에게 왜 그렇게 먹느냐고 묻자 그는 '먹는 것을 직업으로 삼고 싶지 않고 액세서리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같은 질문을 한 다른 사람에게, 그는 '그것은 내 영혼이 먹는 데서 어떤 육체적 쾌락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라고 대답하였다.
3. There was at that time a meeting at Scetis about a brother who had sinned. The Fathers spoke, but Abba Pior kept silence. Later, he got up and went out; he took a sack, filled it with sand and carried it on his shoulder. He put a little sand also into a small bag which he carried in front of him. When the Fathers asked him what this meant he said, 'In this sack which contains much sand, are my sins which are many; I have put them behind me so as not to be troubled about them and so as not to weep; and see here are the little sins of my brother which are in front of me and I spend my time judging them. This is not right, I ought rather to carry my sins in front of me and concern myself with them, begging God to forgive me for them.' The Fathers stood up and said, 'Truly, this is the way of salvation.'
3. 그 때에 스케티스에서 죄를 지은 한 형제에 대한 모임이 있었다. 교부들이 입을 열었지만 아바 피오르는 침묵을 지켰다. 나중에 그는 일어나 나갔다. 그는 자루를 가져다가 모래를 가득 채운 다음 어깨에 메고 다녔다. 그는 또한 작은 자루에 약간의 모래를 넣어 자기 앞에 가지고 다녔다. 교부들이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물었을 때, 그는 '많은 모래가 들어 있는 이 자루 안에는 나의 많은 죄가 있다. 내가 그들을 내 뒤에 두어 두었던 것은 그들로 인해 근심하지 않으려고 그리고 울지 않으려고 위함이다. 내 앞에 있는 내 동생의 작은 죄들이 여기 있고, 나는 그것들을 판단하는 데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것은 옳지 않다, 나는 차라리 내 죄를 짊어지고 그 죄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하나님께 용서를 구해야 한다.' 교부들은 일어서서 '진실로 이것이 구원의 길이다.'라고 말했다.
In the 85th Saying of Abba Poemen, we also read:
아바 포에멘(Abba Poemen)의 85번째 명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85. He also said concerning Abba Pior that every day he made a new beginning.
85. 그는 또한 아바 피오르에 대해 매일 새로운 시작을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