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량작제(魯梁作綈)
두꺼운 비단 옷감을 무기 삼아 노량 나라를 제나라 영토로 만들었다는 뜻이다.
魯 : 노나라 노(魚/4)
梁 : 들보 량(木/7)
作 : 지을 작(亻/5)
綈 : 깁 제(糹/7)
출전 : 관중(管仲)의 관자(管子)
제환공(齊桓公)이 이웃 나라 노량(魯梁)에 눈독을 들였다. 관중(管仲)이 말했다. "우선 공께서 먼저 제견(綈絹) 즉 두꺼운 비단 옷으로 갈아 입으신 뒤, 신하들도 모두 입게 하십시오. 백성들이 따라 입게 될 것입니다."
제견은 노량에서만 나는 특산물이었다. 관중은 노량의 장사꾼을 따로 불렀다. "제견 1천 필을 가져오게. 황금 3백근을 주지. 앞으로 우리 제나라에서 제견의 수요가 많이 늘어날 테니 그리 알게."
노량 사람들은 신이 났다. 온 나라가 농사를 포기한 채 제견만 생산했다. 1년이 지났다.
관중이 보고했다. "이제 되었습니다. 노량은 전하의 손에 들어온 것이나 진배없습니다." "다음은?" "제견을 벗고 얇은 비단을 입으소서. 노량과의 교역도 끊으십시오."
다시 10개월이 지나자 노량은 온통 난리가 났다. 제견을 생산하느라 농사일을 돌보지 않아 온 나라가 굶주리고 있었다.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던 제견은 쓸모없이 창고 가득 쌓였다.
제나라에서 10전밖에 안 가는 곡물이 그곳에서는 1천 전을 주고도 살 수가 없었다. 2년 만에 노량 땅의 6할이 제나라로 넘어왔다. 3년째 되던 해에는 노량의 임금이 직접 와서 항복했다. 관자(管子)에 나온다.
정(鄭)나라 무후(武侯)가 호(胡)에 눈독을 들였다. 그는 먼저 자기 딸을 호왕에게 시집 보냈다.
어느 날 왕이 신하들에게 물었다. "과인이 다른 나라를 치려 하는데 어디를 먼저 치는 것이 좋을까?"
한 신하가 말했다. "호나라가 좋겠습니다." "내 딸이 그곳으로 시집갔는데, 사위를 치란 말인가?" 무후가 펄펄 뛰며 그 신하를 죽였다.
그 말을 들은 호왕은 완전히 마음을 놓았다. 정나라에 대한 대비를 일절 하지 않았다. 무후는 그 틈에 호나라로 쳐들어가 단번에 빼앗았다. 손자병법(孫子兵法)에 나온다.
가장 환대하는 상대를 덮어 놓고 믿었다간 한 입에 자기 나라를 가져다 바칠 일이 생긴다. 당장의 떼돈에 현혹되어 기본을 잃으면 비상시에 헤어날 방법이 없다.
펜타곤 내부를 다 보여준 환대에 감격할 것 없다. 의회의 동원된 기립박수에 고무될 것도 없다. 저들의 대접이 지극할수록 뭔가 큰일이 일어나겠구나 하고 대비를 서두르는 것이 맞다. 거품을 빼고 기본을 챙기는 것이 먼저다.
---
중국의 노량작제 전략
널리 알려지지 않은 고사성어 노량작제(魯梁作綈)는 오늘날 중국의 대외전략을 이해하는 열쇳말의 하나가 됨직하다.
노량작제란 두꺼운 비단 옷감을 무기 삼아 노량 나라를 제나라 영토로 만들었다는 뜻이다.
참된 우정을 상징하는 관포지교(管鮑之交)의 주인공 가운데 한 사람인 관중(管仲)이 지은 책 관자(管子)에 나오는 일화다.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환공(桓公)은 이웃나라 노량 땅에 잔뜩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환공은 어느 날 재상 관중(管仲)에게 비책을 물었다.
관중은 전쟁 없이 노량을 차지하는 계책을 세워 아뢰었다. “우선 공께서 먼저 제견(두꺼운 비단 옷)으로 갈아 입으신 후 신하들도 모두 입게 하십시오. 그러면 백성들이 따라 입게 될 것입니다.”
제견은 노량에서만 나는 특산품이었다. 관중은 그 뒤 노량의 상인을 따로 불렀다. “제견 1천 필을 가져오시오. 황금 3백 근을 주겠소. 앞으로 우리 제나라에서 제견의 수요가 엄청나게 늘어날 테니 그리 아시오.”
그러자 노량 나라 사람들은 신이 났다. 온 나라가 농사를 포기한 채 제견만 생산하기에 이르렀다.
1년쯤 지나자 관중이 환공에게 경과를 보고했다. “이제 됐습니다. 노량은 전하의 손에 들어온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제견을 벗고 얇은 비단옷을 입으소서. 노량과 교역도 끊으십시오.”
세월이 다시 열 달쯤 흐르자 노량에서는 온통 난리가 났다. 제견을 생산하느라 농사를 돌보지 않아 온 나라가 굶주리고 있었다.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던 제견은 쓸모없이 창고에 잔뜩 쌓였다.
제나라에서 10전밖에 안 하는 곡물이 노량에서는 1000전을 주고도 살 수 없었다. 2년 만에 노량 영토의 6할이 제나라로 넘어왔다. 3년을 버티다 노량의 임금이 직접 찾아와 항복하고 말았다.
세계 연어 생산 1위 국가인 노르웨이의 중국 연어 수출이 급감하고 있다는 최근 보도는 노량작제 전략을 떠올리게 한다.
노르웨이가 2010년 노벨 평화상을 중국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에게 주자 중국은 소리 소문없이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을 급격하게 줄였다.
노르웨이의 연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92%에서 올 상반기 29%로 내려앉은 것은 중국의 정치적 보복조치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와 중국이 몇 년째 진행해 온 무역 협상도 지지부진하다고 한다.
중국 국민과 소비자들이 이런 정치적 관계를 눈치 채지 못하고 있는 것도 노량작제 일화와 닮았다. 중국이 막강한 구매력을 정치적으로 휘두른 사례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2008년 12월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를 접견하자 중국은 프랑스와 진행 중이던 에어버스 항공기 구매 협상을 중단해 버렸다.
영국은 지난해 5월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달라이 라마를 국빈 대접했다는 이유로 중국으로부터 1년 가까이 경제, 외교적 보복을 당하고 있다.
또한 예정됐던 캐머런 총리의 중국 방문이 무산된 것은 물론 경제적 손실이 줄잡아 13조원에 이른다는 영국 언론보도가 이를 실증한다.
중국은 필리핀과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이 일어나자 지난해 필리핀산 바나나 수입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엄청난 타격을 가했다.
중국은 수출제한을 무기로 삼는 일도 적지 않다. 2010년 9월 동중국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 때 일본이 중국 선원을 구금하자 중국은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금지라는 경제적 압박으로 백기항복을 이끌어냈다.
최고지도자 덩샤오핑(鄧小平)이 생전에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고 했던 바로 그 자원이다.
유별난 중국이 아니더라도 현실세계에서는 정치와 경제가 밀접하게 연계되어 움직이기 십상이다. 지금 한·중관계는 시진핑 국가주석 시대를 맞아 어느 때보다 밀월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다행이긴 하다.
하지만 중국이 정치, 외교, 안보적 필요성 때문에 한국과의 경제관계를 이용할 수 있는 지렛대가 점점 길어지고 있는 점은 늘 잊지 않고 있어야 한다.
중국이 가벼운 기침만 해도 한국 경제는 독감에 걸리는 시대다. 노량은 코앞의 이익에 눈이 멀어 적국의 책략을 읽지 못해 나라까지 잃어야 했다.
▶️ 魯(노나라 로/노, 노둔할 로/노)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음(音)을 나타내는 물고기 어(魚; 물고기, 로)部와 말하다의 뜻인 白(백; 나중에 曰로 쓰여짐)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말하는 것이 둔한 일, 바뀌어 어리석다는 뜻으로 ①노둔(老鈍)하다(늙어서 재빠르지 못하고 둔하다) ②미련하다 ③노(魯)나라 ④성(姓)의 하나 ⑤나라의 이름(주나라의 제후국)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완고할 완(頑)이다. 용례로는 미련하고 둔함을 노둔(魯鈍), 어리석고 미련함을 노망(魯莽), 둔하고 미련한 성질을 노질(魯質), 아내를 남편의 무덤에 합장함을 노부(魯祔), 어리석고 소박함을 노박(魯朴), 魯자와 魚자가 틀리기 쉬운 데서 글씨의 오류를 이르는 말을 노어(魯魚), 어리석고 미련함을 박로(朴魯), 거칠고 노둔함을 황로(荒魯), 글자를 잘못 쓰기 쉬움을 가리키는 말을 노어지오(魯魚之誤), 魯와 魚는 글자 모양이 비슷해 틀리기 쉽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못 쓰는 일을 이르는 말을 노어지류(魯魚之謬), 노양공의 창이란 뜻으로 위세가 당당함을 이르는 말을 노양지과(魯陽之戈), 魚자와 魯자를 식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매우 무식함을 이르는 말을 어로불변(魚魯不辨), 공맹孔孟의 고향이란 뜻으로 예절을 알고 학문이 왕성한 곳을 이르는 말을 추로지향(鄒魯之鄕),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하다는 말을 정여노위(政如魯衛) 등에 쓰인다.
▶️ 梁(들보 량/양)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삼수변(氵=水,氺; 물)部,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건너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刅(창)으로 이루어졌다. 물 위에 놓는 다리, 전(轉)하여 들보, 또 漁(어)와 통하여 물고기를 잡는 발담(어량: 魚梁)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梁자는 ‘들보’나 ‘대들보’, ‘교량’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들보란 두 기둥 사이를 건너지르는 나무다리를 뜻한다. 梁자는 木(나무 목)자와 水(물 수)자, 刅(비롯할 창)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梁자의 금문을 보면 水자에 爿(나뭇조각 장)자만이 그려져 있었다. 爿자가 ‘널빤지’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니 이것은 물 위쪽을 가로지르는 나무다리를 표현한 것이다. 소전에서는 이러한 모습이 梁자로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梁(량)은 ①들보(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을 건너질러는 나무), 대들보(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②나무다리(나무로 놓은 다리) ③교량(橋梁), 징검다리 ④제방(堤防), 둑 ⑤관골(顴骨: 광대뼈) ⑥양(모자 등에 가로로 둥긋하게 마루가 진 부분) ⑦양주(陽鑄: 주금(鑄金)에서, 겉면에 무늬나 명문(銘文) 따위를 약간 두드러지게 함) ⑧어량(魚梁: 물고기를 잡는 장치) ⑨활 모양 ⑩기장(볏과의 한해살이풀) ⑪왕조(王朝)의 이름 ⑫양(梁)나라 ⑬성(姓)의 하나 ⑭노략질하다 ⑮(다리를)놓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다리 교(橋)이다. 용례로는 강이나 내 등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비교적 큰 규모의 다리를 교량(橋梁), 등골뼈를 척량(脊梁), 함부로 날뜀을 도량(跳梁), 외나무 다리를 독량(獨梁), 산골짜기를 건너지른 다리를 산량(山梁), 건물의 중심에 세우는 기둥에 앞뒤로 마주 끼어 걸린 들보를 상량(相梁), 어지러이 달림이나 마음대로 날뜀을 육량(陸梁), 둘 이상의 재목을 합쳐서 만든 들보를 합량(合梁), 하천에 놓은 작은 다리를 하량(河梁), 가마가 지날 수 있는 나무다리를 여량(輿梁), 어량을 쳐 놓은 못을 택량(澤梁), 마룻대와 들보 또는 기둥이 될 만한 인물을 동량(棟梁), 대들보 위에 있는 군자라는 뜻으로 집안에 들어온 도둑 또는 도둑을 미화하여 점잖게 부르는 말을 양상군자(梁上君子), 들보 위에 회를 바른다는 뜻으로 여자가 얼굴에 분을 많이 바른 것을 비웃는 말을 양상도회(梁上塗灰),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중임을 맡을 만한 큰 인재라는 말을 동량지재(棟梁之材),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춘다는 뜻으로 벗이나 고인에 대한 생각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을 낙월옥량(落月屋梁), 허벅다리를 찌르고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는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을 자고현량(刺股懸梁),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을 현량자고(懸梁刺股), 권세나 세력을 제멋대로 부리며 함부로 날뛰는 행동이 만연함을 이르는 말을 도량발호(跳梁跋扈) 등에 쓰인다.
▶️ 作(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은 ❶형성문자이나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㑅(작)의 본자(本字), 做(주)는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乍(사, 작)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作자는 ‘짓다’나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作자는 人(사람 인)자와 乍(잠깐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乍자는 옷깃에 바느질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짓다’나 ‘만들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옷깃에 바느질하는 것은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작업하기가 쉬웠었는지 乍자는 후에 ‘잠깐’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었다. 그래서 소전에서는 여기에 人자를 더한 作자가 ‘만들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作(작)은 (1)작품(作品) 제작(製作), 저작(著作)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작황(作況)이나 또는 농사(農事)의 뜻으로 나타내는 말 (3)작전(作戰) 등의 뜻으로 ①짓다, 만들다 ②창작(創作)하다 ③일하다, 노동(勞動)하다 ④행하다, 행동하다 ⑤부리다, ~하게 하다 ⑥일어나다 ⑦일으키다 ⑧이르다(어떤 정도나 범위에 미치다),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⑨비롯하다 ⑩삼다, 임명하다 ⑪닮다 ⑫농사(農事) ⑬일, 사업(事業), 공사(工事) ⑭저작(著作), 작품(作品) 그리고 저주 저의 경우는 ⓐ저주(詛呪)(저) ⓑ저주하다(저) 그리고 만들 주의 경우는 ㉠만들다(=做)(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지을 찬(撰), 지을 조(造), 지을 제(製)이다. 용례로는 기계의 운동 부분의 움직임을 작동(作動), 사물 또는 사람의 이름을 지음을 작명(作名), 서로 헤어짐을 작별(作別), 만든 물품을 작품(作品), 문학이나 예술의 창작 활동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을 작가(作家), 일을 결정함을 작정(作定), 마음을 단단히 먹음을 작심(作心), 싸움을 진행하는 방법을 세움을 작전(作戰), 악곡을 창작함을 작곡(作曲), 글을 지음 또는 그 글을 작문(作文), 일터에서 연장이나 기계를 가지고 일을 함을 작업(作業), 농작의 잘 되고 잘못된 상황을 작황(作況), 움직이게 되는 힘을 작용(作用), 무리를 이룸을 작당(作黨), 처음으로 함을 시작(始作), 재료를 가지고 물건을 만듦을 제작(製作), 물건을 지어서 만듦이나 일부러 무엇과 비슷하게 만듦을 조작(造作), 기계 등을 움직이어 작업함을 조작(操作), 떨쳐서 일으킴 또는 일어남을 진작(振作),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는 일 또는 그 움직임을 동작(動作), 토지를 갈아서 농작물을 심음을 경작(耕作), 썩 잘된 글이나 작품을 걸작(傑作), 처음으로 만듦을 창작(創作), 사람은 마음을 먹기에 따라 광인도 될 수 있고 성인도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작광작성(作狂作聖), 의견이 서로 달라서 일을 결정하지 못함을 일컫는 말을 작사도방(作舍道傍), 의리로써 형제 관계를 맺음 또는 그 형제를 일컫는 말을 작의형제(作義兄弟), 마음 먹은 지 삼일이 못간다는 뜻으로 결심이 얼마 되지 않아 흐지부지 된다는 말을 작심삼일(作心三日), 끊임없이 힘써 함을 이르는 말을 작지불이(作之不已),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을 마부작침(磨斧作針),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가 받음을 일컫는 말을 자작자수(自作自受),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듦을 일컫는 말을 환부작신(換腐作新),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뒤에서 일을 꾸밈을 일컫는 말을 이면공작(裏面工作), 옛일에 구애됨이 없이 모범이 될 만한 일을 자기부터 처음으로 만들어 냄을 이르는 말을 자아작고(自我作古), 남의 의견이나 주장을 제쳐놓고 제 마음대로 처리하거나 방자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을 회빈작주(回賓作主) 등에 쓰인다.
▶️ 綈(깁 제)는 형성문자로 绨(제)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사변(糹; 가는 실 멱, 실 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弟(아우 제)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綈(제)는 ①깁(명주실로 바탕을 조금 거칠게 짠 비단) ②두텁게 짠 비단(緋緞) ③두터운 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봉황의 무늬를 놓은 비단이라는 뜻으로 후비가 입는 옷을 이르는 말을 봉제(鳳綈), 솜옷에 연연한다는 뜻으로 우정이 깊음을 이르는 말을 제포연연(綈袍戀戀), 두꺼운 비단 옷감을 무기 삼아 노량 나라를 제나라 영토로 만들었다는 말을 노량작제(魯梁作綈)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