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초에는 국제신문에 소개된 소금강산과 금학산만 오를려고 집을 나섰지만
국제신문의 '근교산&그너머'가 15년 전인 2004년에 소개된 것이라 주변 지형지물이 많이 바뀐 탓에
굴불사지 사면석불에서 금학산을 향해 올라가는 갈림길에서 안내되지 않은 길로 조금 돌아갔고
금학산 정상에서 내려가는 길을 잘못들어 약산까지 가버리는 바람에
내친김에 섯갓산까지 갔다오는 것으로 코스를 변경하였다

그럴줄 알았으면 사전조사를 조금 더 해서
위 지도의 파란선인 다불고개를 넘어 약산으로 가는 코스대로 진행했다면 더 완벽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랬다면 신라 탈해왕릉과 경주 이씨의 시조 '이알평' 탄강지인 '표암제'까지 답사를 할 수 있었을텐데.....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건너편의 버스정류장에서 50번, 51번 버스를 타고 용강초등학교 정류장에서 내린다

10:37 용강초등학교 출발 / 학교 오른쪽 담벼락을 따라 간다

조금후 동일교회를 지나자마자

산행 시작
오른쪽에 산으로 올라가는 데크길이 열려있는데, 국제신문에서 안내하는 승삼저수지는 조금 더 가면 나오는 모양이다

주민들이 많이 이용을 하는지 폭신한 야자매트까지 깔려있다


체육공원

등로 오른쪽으로 경주시가지가 보인다

안부사거리 / 직진한다

안부에서 고개를 올라서니 운치있는 길 너머로 소금강산이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아기자기한 바위 암릉을 잠시 타고 오르니

11:18 소금강산 정상이다 / 산행시간 : 41분
小金剛山이라고 이름이 붙은 것은
신라 때 이차돈이 참수를 당하면서 순교를 했을 때 하늘로 높이 솟구쳐 오른 목이 떨어진 곳이 이곳 소금강산이었고
그런 연유로 '金剛'은 변하지 않는 진리 또는 불법(佛法)이라는 불교적인 의미가 담긴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다
또한, 소금강산은 신라 삼국통일 이전에는 東岳인 토함산, 西岳인 선도산, 南岳인 남산, 中岳인 낭산과 함께
경주의 오악(五岳) 중 하나인 北岳으로 불렸으며, 서라벌을 지키는 전초기지 역활을 했다




소금강산 정상에서 10여 분 내려오니 저기 백률사가 보습을 보이고


11:30 백률사


백률사는 이차돈의 순교에 탄복한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함은 물론
이차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자추사(刺湫寺)를 세웠으며, 후에 栢栗寺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백률사에서 돌계단을 따라 3~4분 정도 내려서면

굴불사지 사면석불이 기다린다

보물 제121호인 경주 굴불사지(掘佛寺址) 석조사면불상(石造四面佛像)


11:38 사면석불
굴불사지 사면석불은 남산의 칠불암, 안강 금용사터의 사방불과 함께 신라의 사방불 신앙을 알려주고 있는데
타 지역의 유명한 사면석불로는
파주 마애사면석불(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6호)와, 충남 예산군 화전리 사면석불(보물 제794호) 등이 있다

서쪽의 아미타삼존불

북쪽의 보살상

동쪽의 약사여래좌상

남쪽의 삼존입상

백률사 주차장


11:54 주차장의 산행안내도 오른쪽으로 다시 오른다

잠시후 나오는 이 갈림길에서 왼쪽은 소금강산가는 길이라
이리로 가면 아까 내려오던 길로 가는것 같아


이정표가 가리키지 않는 오른쪽으로 울타리를 넘어서 갔는데 결과적으로 길을 잘못 들었다
이 길로 계속 진행을 하니 작은 도로로 내려가게 되고, 다시 산쪽으로 길을 잡아 올라가야만 했는데
여기 이 갈림길에서 왼쪽 소금강산쪽으로 계속 가면 금학산으로 가는 갈림길이 나오는 모양이다

예비군교육장 옆 도로
금학산으로 가는 길을 도중에 만나 계속 진행하니 도로가 나온다

도로 옆 산불감시초소에서 금학산 가는 길을 물어본다

도로에서 올려다 본 금학산 쪽 모습

갈림길에서 약수터 방향으로 직진한다


12:34 약수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