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 / 정원
농업은 경작과 수확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지니고 있지만 정원은 관상의 효과와 정서라는 조금은 다른 기능을
더 우선시 한다. 때문에 도시 농업 자체를 정원문화의 한 줄기라고 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좀
더 광범위하게 바라보면 농업이나 정원이나 식물을 키우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에는 다름이 없다. 농작물이라
고 해서 특별한 수종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정원의 식물과 똑같이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다만 그
열매나 식물 자체를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도시 농업도 분명 도시 정원
의 가장 큰 부분으로 봐야 한다. 다만, 수확만을 목적으로 할 때 우리는 미적인 관점을 잃어야 할 때
가 많다. 하지만 도시 농업을 디자인적으로 풀어내는 여러 방법을 좀 더 연구한다면 분명 또 다른 정
원 문화가 시작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이 이미 90%가 넘어선 이때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삶의 질 향상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나무와 숲, 자연에 대한 관심, 시골에 대한 향수가 짙어져 가고 있다. 정부는 전 국토의 공원
화,지자체는 공원속의 도시를 표방해 가면서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에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각 도시
지자체들은 앞 다투어 도시농업 관련 축제도 펼쳐가면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에 일로 매진하고 있다. 성남시도 본격 나서고 있는데 2016년 경기정원박람회
개최, 신구대학교 식물원에 위탁하여 매년 50명씩 시민정원사 양성(금년 4회), 제 1기 도시농업관리사
(30명) 양성교육 진행 등은 그 예로 볼 수 있다 하겠다.
나는 2011년 나만의 명품정원을 지향하는 6개월 과정의(매주 4시간) 경기도 예산지원 조경가든대학(협력
대학:신구대)을 수료한 후, 현재 도시농업 전문가 과정 교육(3월~7월/매주 4시간)을 받고 있는 바,
성남시청 뒤 공원용지내 실습장에서 진행한 정원설계 이론/실습, 텃밭작물 재배 기술분야의 정원&텃밭(틀밭
/상자텃밭)실습 내용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