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시일야방성대곡 ( 是日也放聲大哭 )
지난 번 이등(伊藤) 후작이 내한했을 때에 어리석은 우리 인민들은 서로 말하기를, "후작은 평소 동양삼국의 정족(鼎足) 안녕을 주선하겠노라 자처하던 사람인지라 오늘 내한함이 필경은 우리 나라의 독립을 공고히 부식케 할 방책을 권고키 위한 것이리라."하여 인천항에서 서울에 이르기까지 관민상하가 환영하여 마지 않았다. 그러나 천하 일 가운데 예측키 어려운 일도 많도다. 천만 꿈밖에 5조약이 어찌하여 제출되었는가. 이 조약은 비단 우리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삼국이 분열을 빚어낼 조짐인 즉, 그렇다면 이등후작의 본뜻이 어디에 있었던가?
그것은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 대황제 폐하의 성의(聖意)가 강경하여 거절하기를 마다 하지 않았으니 조약이 성립되지 않은 것인 줄 이등후작 스스로도 잘 알았을 것이다. 그러나 슬프도다. 저 개돼지만도 못한 소위 우리 정부의 대신이란 자들은 자기 일신의 영달과 이익이나 바라면서 위협에 겁먹어 머뭇대거나 벌벌 떨며 나라를 팔아먹는 도적이 되기를 감수했던 것이다.
아, 4천년의 강토와 5백년의 사직을 남에게 들어 바치고, 2천만 생령들고 하여금 남의 노예되게 하였으니, 저 개돼지보다 못한 외무대신 박제순과 각 대신들이야 깊이 꾸짖을 것도 없다 하지만 명색이 참정(參政)대신이란 자는 정부의 수석임에도 단지 부(否)자로써 책임을 면하여 이름거리나 장만하려 했더라 말이냐.
김청음(金淸陰)처럼 통곡하여 문서를 찢지도 못했고, 정동계(鄭桐溪)처럼 배를 가르지도 못해 그저 살아남고자 했으니 그 무슨 면목으로 강경하신 황제 폐하를 뵈올 것이며, 그 무슨 면목으로 2천만 동포와 얼굴을 맞댈 것인가.
아! 원통한지고, 아! 분한지고. 우리 2천만 동포여, 노예된 동포여! 살았는가, 죽었는가?단군.기자 이래 4천년 국민정신이 하룻밤 사이에 홀연 망하고 말 것인가. 원통하고 원통하다. 동포여! 동포여!
새벽 이 카페에서 새로 올라온 글들을 읽다 어느 댓글에 시일야방성대곡이란 단어를 보고 동감되어 전문을 올려봅니다.
장지연은 훗날 친일변절자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인물이지만 을사늑약 직 후 황성신문에 기재한 이 사설은 작금의 상황에 맞는 듯 하여 되새겨 봅니다.
그 당시 황성신문 외 모든 언론은 침묵 또는 을사늑약을 찬양하였고 황성신문은 3개월 정간 당했지요...
작금의 상황을 볼때 자꾸 되새겨지는 생각은.... 도대체 왜?.. 이런일들이 반복되어야만 하는가? 라는 답답함이 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정의라고 착각하는 저 깡패집단 검찰의 행위를 어찌 할 수 없는 이 현실이 너무 시민의 한 사람으로 한심하기까지 합니다.
어느 국회의원들의 현 국회의 참담함을 이유로 출마포기를 하겠다는 선언을 보면서 그건 책임회피라는 생각도 들고...
역사적으로 언론과 여론이 바로 서면 민주주의는 정방향으로 바로 세워 졌고
역사가 보여주듯 언론이 왜곡되었을때 나라를 잃든지 민주주의가 훼손된 경험을 가지고 있는데..
왜.. 반복되는지.....
법의 헛점을 이용, 공정성이란 명분하에 자기들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는데.....
검찰을 현재 통제 할 수 있는건 여론입니다.
여론의 방향에 따라 몸을 낮추었다 높였다를 반복하죠...
검찰개혁 필요 여론이 높으면 지들은 거기서 잠시 물러나 추이를 보겠죠..
자체 감찰을 강화한다구요? 우리집 누리(진돗개)가 웃을 일이죠...
시민들이 여론을 조작하는 언론에 대해서 어떤 자세로 대하여야 하는가 깊이 생각해야 할때라 생각됩니다
첫댓글
그 당시 황성신문 외 모든 언론은 침묵 또는 을사늑약을 찬양하였고 황성신문은 3개월 정간 당했지요...
요부분을 읽고 헛웃음이 나오네요.. 일제시대부터 믿을만한 언론은 극소수였네요.. 하긴 그때 기레기들 자식들이 지금 기레기가 됐겠죠.. 친일은 역시 가업인가봅니다 :(
검열을 받지 않았던 대한매일신보는 이를 황성신문과 같이 보도했고 대한일보와 제국신문은 이 사설을 비난하고 조롱했죠 대한일보 사주는 일본인이었다 해도 제국신문은 지금의 언론과 같이 친일 매국을 한 거죠...
그 암울한 당시에도 언론과 여론은 존재했으며 그 보다 이전에는 상소라는 도구로 여론이 조성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한매일신보는 영국인과 합작 설립한 신문이라 이 사설을 같이 실었었구요,
그 암울한 시기 이정도의 신문사라면 지금의 대형 언론사 규모와 같다고 보시면 타당할듯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