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2024년에도 주택 구매력 약화와 거래량 감소, 파산과 차압 사태가 이어졌으나, 하반기 연속된 금리인하로 시장 회복의 가능성이 열렸다.
중앙은행은 6월 수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고, 연말까지 총 5차례 금리를 내렸다. 정부도 주택 공급 확대와 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쏟아내며 부동산 시장 정상화에 힘을 쏟았다.
본지는 5회에 걸쳐 2024년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이슈, 정책 등을 심층 분석한다.
임대주택 시장의 성장, 파산관재인의 역할 증가, 콘도 시장의 변화, 개발부담금 정책의 영향 등을 차례로 살펴본다.
① 시장 흐름을 바꾼 임대주택 열풍
② 무너진 개발사들... 파산관재인이 움직인다
③ 흔들리는 콘도시장... 새 출구는 어디에
④ 개발부담금 정책의 명과 암
⑤ 5차례 금리인하... 부동산 시장의 터닝포인트
--------------
① 시장 흐름을 바꾼 임대주택 열풍
"12만 달러 연봉이면 입주 가능"... 중산층도 접근 쉬워
정부 GST 면제로 수익성 개선... 건설사들 잇단 참여
높은 금리에 신규 착공 75% 감소... 공급 부족 여전
캐나다 부동산 시장에서 임대주택 건설이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했다. 지난 10년간 임대주택 착공이 4배 증가했으며, 분양시장 침체로 건설사들이 임대주택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콘도 분양률 저조로 분양용으로 계획했던 프로젝트를 임대용으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토론토의 대형 부동산 중개사 베이커 부동산(Baker Real Estate)은 30년 만에 처음으로 임대주택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임대주택의 질적 수준도 크게 높아졌다. 피츠로비아(Fitzrovia)의 도심형 임대주택은 토론토 랩터스와 협력한 농구장, 리조트형 옥상 수영장,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원격 의료서비스까지 제공한다. 일반 콘도 못지않은 편의시설을 갖추면서도, 집주인의 퇴거 요구 없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BC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인구 증가와 주택 구매력 약화가 임대주택 수요를 견인했다. 캐나다의 주택 소유율은 2011년 69%에서 2.5%포인트 하락했다. 신규 이민자들도 첫 5~10년간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인다.
정부도 임대주택 건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국가주택전략(National Housing Strategy)과 캐나다 주택계획(Canada's Housing Plan)을 통해 임대주택 건설을 촉진하고 있다. 온타리오주와 BC주도 독자적인 주택 계획을 수립했다.
분양용 콘도는 선분양으로 65~75%의 판매율을 달성해야 착공이 가능하지만, 임대주택은 이런 제한이 없어 더 빠른 건설이 가능하다. 개발부담금 감면과 저금리 혜택도 건설사들의 참여를 늘리는 요인이다.
특히 정부가 임대주택 건설에 대한 부가가치세(GST) 면제를 결정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분양용 콘도는 초기에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임대주택은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임대주택이 사치품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가구 소득이 연 12만 달러면 입주가 가능한데, 토론토 시민의 25~30%가 이 수준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임대주택 거주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고금리와 건설비용 상승으로 신규 임대주택 착공이 2~3년 전보다 75% 감소했다. 건설비용이 41% 증가했고, 금리 상승으로 투자 수익률이 낮아졌다. 현재 건설 중인 물량이 2025년 이후 완공되면 공급 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업계는 개발부담금과 재산세 면제 기간을 2~2.5년으로 연장하고, 캐나다 모기지 주택공사(CMHC)의 대출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세제 혜택은 저렴한 임대주택뿐 아니라 모든 시장 임대주택에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