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14 剛柔論[강유론]- 십간의 희기
剛柔論
剛강柔유不불一일也야,不불可가制제者자,引인其기性성情정而이已이矣의.
[해설]
剛과 柔는 不一하니 制가 불가하면 그 성정을 引할 뿐이다.
[주기]
剛강柔유不불一일也야,不불可가制제者자,引인其기性성情정而이已이矣의.
剛강柔유는 동일한 것이 아니며 制할 수 없는 것은 洩이 마땅한 것이다.
剛柔論의 요체는不불可가制제者자에 있다.
그렇다면 [制할 수 없는 것]이란 무엇일까. 이는 두 가지 경우를 말한다.
하나는 세력이 지나치게 왕성해서 그것을 제복하기 보다는 설기하는 것이 효율적인 처리가 될 때고 나머지
하나는 너무 유약해서 극제가 불가한 때다.
[진소암]과 [임철초]는 전자의 경우에 주목하여 [春木, 夏火, 秋金, 冬水, 季土]와 같이 당령했을 때
원국에 극신이 없으면 설기하여 팔자를 청수하게 만든다고 했다.
그러나 祿劫格이나 陽刃格은 기본적으로 관살로써 貴를 결정한다.
이를테면 祿록劫겁用용官관 이나 祿록겁用용殺살 , 陽양刃인露로殺살 , 陽양刃인用용官관으로 成格되는 것이다.
반면
祿록劫겁食식傷상, 즉 食傷의 秀氣로 貴格을 이루는 경우는
唯春木之木火通明而秋金之金水相涵으로 오직 春木과 秋金의
木목火화通통明명 , 金금水수相상涵함 에 한정된다.
명징파는 후자의 경우에 주목해서 십간론의 견해를 피력한다.
오양간은 성질이 강하므로 대개 剋洩이 모두 유효하지만,
오음간은 성질이 유하여 대개 洩이 좋을 뿐, 剋은 좋지 않다고 본 것이다.
이것은 [난강망]에서 팔자의 부귀를 결정짓는 조후용신 체계만 살피면 어렵지 않게 인지할 수 있는 내용이다.
팔자의 쇠왕을 가려 적합한 십간 관계를 살피면 그것이 곧 [난강망]의 기후론이 되는 것이고,
쇠왕의 요건을 배제한 채 음양간의 십간별로 희기 관계를 나누면 십간론이 된다.
아무튼 [적천수]의 강유론은 십간용신 체계에 한결 부합되는 이론으로 볼 수 있다.
기후론과 십간론
氣기候후論론 | 調조候후用용神신 | 氣기 | 八팔字자의富부貴귀를 결정짓는干간으로日일元원의衰쇠旺왕, 즉月월別별로喜희忌기가 구분되고,藏장干간에서도取취用용 |
十십干간論론 | 十십干간用용神신 | 勢세 | 陰음陽양,配배像상의屬속性성에 따른十십干간別별喜희忌기로 구분하고,日일元원과는扶부抑억을 위주로喜희忌기로 정하며,藏장干간은取취하지 않음 |
[주]
十干論 ‘서베이’
陰陽 속성에 따른 효과적 부억 관계
陰음陽양 | 身신强강 | 身신弱약 |
陽양干간 | 七칠殺살 | 印인綬수 |
陰음干간 | 傷상官관 | 劫겁財재 |
이상의 일반적 부억 육신 처리법을 각 십간에 대입하면 반드시 일치하는
결과를 보진 못한다. 또 음양간의 일반적 속성에 위배되는 경우도 있다.
먼저 양간이 강한 경우, 칠살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희기를 살펴보겠다.
양간과 칠살의 희기 관계
陽양干간 | 喜희: 좋은 關係 | 忌기: 나쁜 關係 | 主眼點 |
甲갑 | 庚경 | 辛신 |
|
丙병 | 壬임 | 癸계 |
|
戊무 | 乙을 |
| 七칠殺살甲갑木목과의 關係는喜희忌기가 定해지지 않음 |
庚경 | 丁정 |
| 七칠殺살丙병火화와의 關係는喜희忌기가 定해지지 않음 |
壬임 | 戊무 | 己기 |
|
양간이 약한 경우, 인수와의 관계는 모두 무난하다.
양간과 인수의 관계
陽양干간 | 喜희 |
甲갑 | 壬임,癸계 |
丙병 | 甲갑,乙을 |
戊무 | 丙병,丁정 |
庚경 | 戊무,己기 |
壬임 | 庚경,辛신 |
음간이 강할 경우, 상관과의 관계는 모두 좋다.
원시의
不불可가制제者자 ,引인其기性성情정而이已이矣의에 부합되는 내용이다.
음간과 상관의 관계
음간과 상관의 관계를 강약의 세력적 측면이 아닌, 쇠왕의 기후론적
관점에서 살피면 乙木과 辛金은 四時를 막론하고, 상관을 기뻐하므로
丙火와 壬水는 富貴의 요체가 되는 것이다.
즉 乙日과 辛日은 팔자에서 장간까지 포함하여 丙火나 壬水가 구비되지
않는 한, 참다운 부귀를 논할 수 없다는 얘기다.
따라서
柔유의 일반적 속성에 가장 부합되는 십간은 乙木과 辛金이라 할수 있고, 이 같은 내용이 세력에 따른 부억 일반과 차별되는 기후론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음간이 약하면 대개 겁재의 방조를 기뻐하지만, 인수와 더 좋은 관계를 이룰 때도 있다.
음간이 약할 때 십간 처리법
陰음干간 | 劫겁財재 | 印인綬수 |
乙을 | 甲갑 |
|
丁정 |
| 甲갑 |
己기 |
| 丙병 |
辛신 | 庚경 |
|
癸계 | 壬임 |
|
총론해서 팔자의 강약에 따른 부억의 효율적인 십간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것은 衰旺과 氣候가 배제된 것으로 온전한 내용은 아니다.
이를테면 戊土는 丁火보다 丙火의 生助가 富貴를 결정짓는 필수요건이 되는 경우를 일례로 들 수 있
부억에 따른 십간 처리법
甲 | 身신强강 | 丙병 | 八팔字자에水수가 있으면 |
丁정 |
庚경 | 八팔字자에水수가 없으면 |
身신弱약 | 甲갑 | 八팔字자에水수가 있으면 |
癸계 | 八팔字자에水수가 없으면 |
乙 | 身신强강 | 丙병 | 不불可가制제者자,官관殺살로貴귀格격을 이루는 경우가 없음 |
丁정 |
戊무 |
身신弱약 | 甲갑 | 八팔字자에水수가 있으면 |
癸계 | 八팔字자에水수가 없으면 |
丙 | 身신强강 | 壬임 | 癸계水수는 보통殺살의 작용으로 기피하지만,太태旺왕한 경우 에는用용神신으로 취함 |
癸계 |
己기 |
|
身신弱약 | 甲갑 | 印인綬수보다는寅인巳사에通통根근하거나火화局국을 얻는 것이 효율적 |
丁 | 身신强 | 戊무 |
|
身신弱약 | 甲갑 |
|
戊 | 身신强강 | 甲갑 | 甲갑木목은 보통殺살의 작용으로 기피하지만,太태旺왕한 경우에는 용신으로 취함 |
乙을 |
身신弱약 | 丁정 |
|
己 | 身신强강 | 乙을 | 陰음干간이七칠殺살을用용하는 것은陰음干간의 일반적屬속性성에위배되는 사항 |
庚경 |
|
辛신 |
|
癸계 |
|
身신弱약 | 丙병 |
|
庚 | 身신强 | 丁정 | 八팔字자에火화가 있으면 |
丙병 | 八팔字자에火화가 없으면 |
壬임 |
|
身신弱약 | 庚경 | 八팔字자에火화가 있으면 |
戊무 | 八팔字자에火화가 없으면 |
辛 | 身신强강 | 壬임 | 八팔字자에火화가 있으면 |
丙병 | 八팔字자에火화가 없으면 |
身신弱약 | 庚경 | 八팔字자에火화가 있으면 |
戊무 | 八팔字자에火화가 없으면 |
壬 | 身신强강 | 戊무 |
|
丙병 |
|
身신弱약 | 癸계 |
|
癸 | 身신强강 | 己기 | 陰음干간이七칠殺살을用용하는 것은陰음干간의 일반적屬속性성에위배되는 사항 |
身신弱약 | 壬임 |
|
팔자의 강약에 따른 십간별 희기 관계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身强시, 십간 희기 관계 구분
日일干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좋은 관계 | 食식 | 丙병,丁정 | 丙병,丁정 | 己기 | 戊무 | 庚경,辛신 | 庚경,辛신 | 壬임 | 壬임 |
| 甲갑 |
財재 |
| 戊무 |
|
|
| 癸계 |
|
| 丙병 | 丙병 |
官관 | 庚경 |
| 壬임 |
| 乙을 | 乙을 | 丁정 |
| 戊무 | 己기 |
나쁜 관계 | 食식 |
|
|
|
|
|
| 癸계 |
|
| 乙을 |
財재 |
|
|
|
|
| 壬임 |
|
|
|
|
官관 | 辛신 | 辛신 | 癸계 | 癸계 |
|
|
| 丁정 | 己기 |
|
身弱時, 十干 喜忌 關係 區分
日일干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좋은 관계 | 印인 | 壬임,癸계 | 壬임 | 甲갑,乙을 | 甲갑 | 丙병,丁정 | 丙병 | 戊무,己기 | 戊무 | 庚경,辛신 | 辛신 |
比비 | 甲갑 | 甲갑 |
| 丁정 | 戊무 | 戊무 | 庚경 | 庚경 | 癸계 | 壬임 |
나쁜 관계 | 印인 |
|
|
|
|
|
|
| 己기 |
| 庚경 |
比비 | 乙을 |
|
|
|
|
| 辛신 | 辛신 |
| 癸계 |
십간론에서는 日干과 官殺과의 십간 관계가 좋으면 [官]이라 칭하고,
관계가 나쁘면 [殺]로 구분하므로 일반적 육신 정의와 의미를 달리한다.
마찬가지로 日干과 관계가 좋은 인수의 글자는 [印],
관계가 나쁘면 [梟]로 구분한다.
이로써 [자평진전]의 일반적 격국 성패의 유형을 벗어나는 [난강망]
이론 체계를 한결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
[官], [殺], [印], [梟]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官, 殺, 印, 梟
日일干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좋은關係 | 官관 | 庚경 | 庚경 | 壬임 | 壬임 | 乙을 | 甲갑 | 丁정 | 丙병 | 戊무 | 戊무 |
나쁜關係 | 殺살 | 辛신 | 辛신 | 癸계 | 癸계 |
|
|
| 丁정 | 己기 |
|
좋은關係 | 印인 | 壬임,癸계 | 壬임 | 甲갑,乙을 | 甲갑 | 丙병,丁정 | 丙병 | 戊무,己기 | 戊무 | 庚경,辛신 | 辛신 |
나쁜關係 | 梟효 |
| 癸계 |
|
|
|
|
| 己기 |
| 庚경 |
이 中 殺의 관계는 다른 육신과의 관계에서도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인수가 식상에 害를 주는 경우에, 특히 꺼려지는 십간 관계를
활용해서 藥神으로 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殺의 관계
日일干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殺살 | 辛신 | 辛신 | 癸계 | 癸계 |
|
|
| 丁정 | 己기 |
|
食식傷상이忌기神신일 경우,印인綬수의 효과적인十십干간처리 |
食식傷상 | 丙병 | 丙병 |
|
| 辛신 | 辛신 | 壬임 | 壬임 | 乙을 | 乙을 |
印인綬수 | 癸계 | 癸계 |
|
| 丁정 | 丁정 | 己기 | 己기 | 辛신 | 辛신 |
종합해서 육신별 이상적인 십간 관계와 가장 꺼리는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거론하는 십간용신의 넓은 의미는 상호
이상적인 관계를 말한다.
이상적인 十干 관계
日일干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比비劫겁 | 甲갑 | 甲갑 |
|
|
| 戊무 |
|
| 癸계 |
|
食식傷상 | 丙병 | 丙병 | 己기 | 戊무 | 庚경 | 庚경 | 壬임 | 壬임 | 乙을 | 甲갑 |
星성 | 己기 |
| 庚경 | 庚경 | 壬임 | 癸계 | 甲갑 |
| 丙병 | 丙병 |
官관殺살 | 庚경 | 庚경 | 壬임 | 壬임 | 乙을 | 甲갑 | 丁정 | 丙병 | 戊무 | 戊무 |
印인綬수 | 癸계 | 癸계 |
| 甲갑 | 丁정 | 丙병 | 戊무 | 戊무 | 庚경 |
|
十干 最忌 關係
甲갑 | 乙을 | 丁정 | 己기 | 庚경 | 辛신 | 壬임 | 癸계 |
辛신 | 辛신 | 癸계 | 壬임 | 癸계 | 丁정 | 己기 | 乙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