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주민들이 자력재개발을 추진중인 개미마을(조합장 이두섭)은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손꼽히는 서울시내 몇 안되는 지역중 하나다.
그간 20년 가까이 지역 개발이 추진되면서 토지지분이 나뉘고, 쪼개져 3만1341㎡에 지주만 320명을 웃돌아 번번히 개발이 벽에 부딪혀 왔다. 개발이 지연되다 보니 우기와 동절기가 되면 축대가 무너지고, 연탄보일러 화재가 발생하는가 하면, 공중화장실에서 사람이 실족사 하는 등 위험속에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런 열악한 개미마을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이 용역을 진행중이다. 지난 15일 도시공간개선단 한 관계자에 다르면 『개미마을 한 곳에 대한 용역이 아닌 서울시내 구룡마을 등 10여곳에 대한 전체적인 도시공간 개선을 위한 용역을 실시중』이라고 설명한 뒤 『현재 아파트 건립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중인 개미마을의 경우 종상향을 하지 않으면 사업성이 낮아 개발이 불가한 상태여서 5층까지 건물을 짓되 연면적을 활용해 새로운 건축설계가 가능한지 등을 검토하는 용역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개미마을과 희망촌 등은 자치구의 문제 해결 의지가 강해 현재 수용을 하기 위한 공적자금 투입방안과 공유지분 활용방안, 주민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방안 등 3가지를 모두 검토하고 있어 SH공사를 통해 자문을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현재 도시공간개선단이 추진중인 용역은 개미마을의 경사지를 활용한 테라스 하우스 등 공간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지만, 실제 개발은 도시재생본부 등이 추진하는 것이라 실제 개발과 연계될 지는 알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같은 서울시의 공간개선 방안에 대해 서대문구측은 전체 수용을 통한 공영개발 방식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대문구 관계자는 『현재 주민들이 추진하고 있는 조합형 주택 개발방식은 소유주의 100% 동의가 전제돼야 하는 만큼 어려움이 크다. 이런 이유로 지난 20년간 사업이 진행되지 못한채 열악한 주거공간이 방치돼 온 상태여서 우리 구는 서울시가 수용후 공영개발을 해주길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개미마을은 주민들 119명의 청원에 따라 지난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기초조사를 시행한 바 있다. 이 조사는 주민 119명의 청원으로 서울시장 면담을 통해 이뤄지게 됐다. (사)도시연대가 진행한 기초조사 용역조사 결과 개미마을은 지역 전체를 통합해 개발하거나 공영개발방식으로 주택개량이 가능하지만 현지개량이 아닌 지역 전체의 통합개발이 필요하고, 기존 거주민이 재정착을 통한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공영개발이 필요하다는 종합 의견이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문제는 예산이다. 개미마을 사업성을 위한 용적률 완화는 형평성 고려 등을 이유로 어려운현실에서 서울시가 공영개발을 위해 투입해야 할 예산이 300억원 규모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조합주택사업을 추진해온 개미마을주택조합 이두섭 추진위원장은 『그린벨트 해제 후 1종으로 사업지가 묶여 있어 지하 포함 5층 높이의 개발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주민들의 동의서를 100%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의 용역은 오는 1월 마무리 된다. 해를 거듭할 수록 개발보다는 안전을 위해서라도 개미마을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