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시대 – 산업화-기계화가 나타나다
빅토리아 시대는 기계화가 이루어지면서 기계가 인간을 지배한다는 두려움이 생겼다. 에머슨은 ‘기계가 육체를 압박하는 차원을 넘어 정신까지 지배한다.’며 위기의식을 드러냈다.
하나는 인간을 기계에 예속시키는 일이다.
기계를 거부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손해를 본다. 기계의 규칙성과 편리함은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켜 주었다. 인간은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인간이 기계에 종속되다 보니 인간도 자꾸만 기계를 닮아갔다. 인간 생활도 규칙적이어야 하고, 기계처럼 정확하기를 요구했다. 실수가 없어야 한다.
기계제품은 몽상도, 사색도, 애정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 우리가 기계제품에 정을 붙이지 못하는 이유는 한치의 오차도 없는 정확성 때문이다. 인간미가 뿜어내는 신비감을 느낄 수 없다. 반면에 수공업에서는 따뜻한 인간의 정을 느낄 수 있다.
공장에서 대량생산된 제품이 기차나 기선의 운송 수단으로 세계 곳곳을 날랐다. 세계는 지긋지긋한 가난에서 해방되었다. 19세기를 살았던 대부분의 사람은 기계주의가 인류에게 발전을 가져다주고 굶주림을 벗어나게 해준다고 믿었다. 기계가 인류를 고통에서 해방시켜 준다는 믿음을 가졌다. 이와 같은 기대와 믿음을 반영한 행사가 국제만국박람회이다.
기계주의가 극대화할수록 기계만능주의에 반대하는 세력도 형성되었다. 진보주의가 인간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니다. 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다. 정치에서도 현실을 중시하는 현실주의(Realpolik-현실주의 정치)가 나타났다. (* real은 실물을 뜻한다.) 원칙을 고수하기 보다는 물질적 이익에 치중하는 정치를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현실주의 정치는 영토를 확장하여 국민을 먹여 살리는 일이 정치의 중심이 되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와 전쟁은 필연적으로 일어나기 마련이다.(더 잘 먹여야 정치를 잘 한다고 했다.)
기계가 이끄는 사회는 ‘신이 죽었다’면서 개인의 자유를 부르짖게 했다. 프랑스의 무정부주의, 러시아의 아나키즘, 그리고 쇼펜하우어의 허무주의도 같은 맥락이다.
****이 시대의 예술에서는 어떤 변화가 나타났을까?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문학에서는 시가 중심 장르였다.
인쇄술과 출판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책을 만드는데 경비 문제로 작은 책을 선호하였다. 길이가 짧고, 책의 분량도 작았다.
소설보다 시가 적합했다. 길게 서술하는 것보다는 짧은 시가 유행했다, 의미를 함축하기 위해서, 은유와 상징을 많이 사용하였다.
19세기로 접어들면서, 인쇄술과 출판이 발달하여, 책값이 싸졌다. 시어로 어렵게 쓰는 것 보다 사실을 상세히 서술하는 소설 양식이 나타나고 독자들도 읽기 쉬운 소설을 많이 찾았다. 이런 이유로 시는 시들해지고, 소설을 많이 출판했다.
19세기에는 소설이 문학의 중심 장르가 되었다. 그 이유로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많아졌다.(국민 교육으로)
여가 시간이 많아졌다.
값싼 책이 나왔다.(인쇄술이 발달하고 ------)
소설은 많은 사람이 읽으므로 대중적이었다.(그러나 소설 독자는 반드시 글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연극은 글을 읽지 못해도 관람할 수 있었다.)
소설은 다시 여러 분야로 나뉘어진 소설이 나왔다.
1. 탐정소설
탐정소설의 뿌리는 동화라고 한다. 동화에는 미스테리한 사건이 많다.
탐정소설(선정소설도)은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모두 좋아하고 읽었다.
2. 동화책
1) 처음의 동화책은, 동화라고 하여 반드시 어린이를 독자로 하는
책은 아니었다. 어른들을 독자로 하여 썼다. 어린이를 위힌
축약본을 나왔다.
걸리버 여행기, 로빈슨크로스, 올리버 트위스트, 등도 어른 용
작품이었다.
2) 이때는 어린이 용 책이 출판사의 수입을 제일 많이 올려주었다.
(동화의 지배권은 프랑스와 영국이 가지고 있었다.
3) 동화는 민담에서 가져온 것이 많다.
(독일의 그림 형제)
어린이 초등학교 연령이 낮아졌다.(일반적으로 7세에 입학)
4) 19세기 후반은 많은 창작 동화가 나온다.
(동화는 다음에 더 다룹니다.)
낭만주의의 기세가 한 풀 꺾이면서 시의 열품도 수그러들었다. 그대신 소설이 각광을 받았다. 소설은 사실주의(realism)라는 이름을 내 걸면서 사실주의를 유행어로 만들었다. 사실(ㅡreal)이라는 말은 일상 생활에서 실제로 접할 수 있는 것을 의미했다. 예술가가 글이나 그림에서 묘사한 것은 예술가의 의식 앞에 실제로 나타난 대상이다. 이것은 역사 서술과 닮았다.
소설은 사건을 일상에서 실제로 일어나듯이 썼다. 소설에서느 인간이 사회에서 처하는 곤경을 심리학과 사회학을 동원하여 묘사했다. 그러면서 소설가는 자기의 주장을 펼쳤다.
이로서 소설은 19세기 문학에서 지배적인 장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