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늦가을 산사 나들이, 북한산(삼각산) 도선사 '
|
|
|
|
▲ 도선사 마애불입상 |
▲ 붙임바위 |
늦가을이 한참 깊어가던 10월 끝 무렵의 어느 평화로운 날, 집에서 가까운 북한산(삼각 |
♠ 도선사(道詵寺) 입문 |
|
맞배지붕을 지닌 천왕문(사천왕문)은
도선사의 정문으로 1987년 11월에 지어졌다. 봉황문(鳳 |
|
|
|
천왕문을 지나 조금 들어가면 청동지장보살상이 모습을 비춘다. 그는
도선사와 자매결연을 맺 |
|
|
|
경내 직전에 이르면 길은 크게 3갈래로 갈린다. 여기서 직진하면 주차장과 도선사 경내로 바 |
|
|
|
▲ 수수한 모습의 청담대종사 석상 |
▲ 귀부가 꽤 인상적인 청담대사비 |
|
|
|
|
|
|
청담대종사 사리탑을 둘러보고 경내로 들어서니 호국참회원이라 불리는 커다란 팔작지붕 건물 |
|
♠
도선사 둘러보기 (호국참회원, 삼성각 등) |
|
금강산도 식후경(食後景)이란 아주 아름다운 말이 있다. 호국참회원 1층 공양간이 마침 열려 |
|
◀ 청담심지(靑潭心地) |
|
◀ 돌로 다진 천불전(千佛殿) |
|
|
|
◀ 도선사 보리수(菩提樹) |
|
|
|
보리수 그늘에 자리한 명부전은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도명존자(道明尊者), 무독귀왕(無毒鬼 |
|
▲ 온화한 표정의
금동지장보살상과 |
▲ 죽은 이를 심판하는 저승의 10왕과 |
▲ 저승의 10왕과 시왕탱 (지장보살상 우측) |
▲ 명부전 앞에 자리한 윤장대(輪藏臺) |
|
|
청기와를 지닌 대웅전은 도선사의 중심 건물인 법당(法堂)이다. 절 초창기 시절부터 있었다고 |
|
|
|
▲ 대웅전 앞을 곱게 수식하고 있는 |
▲ 연등이 하늘을 가린 대웅전 뜨락 |
|
|
|
|
|
|
대웅전 뜨락에서 마애불입상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삼성각이 자리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 |
|
▲ 삼성각 산신탱과 산신상 |
▲ 삼성각 칠성탱과 석가3존상 |
▲ 삼성각 밑에 자리한 반야굴(般若窟) |
▲ 반야굴을 장식하고 있는 보살들 |
♠
도선사 마무리 |
|
경내 뒤쪽이자 도선사에서 가장 하늘과 맞닿은 곳에 높이 20m 정도 되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
|
|
|
마애불을 둘러보고
밑으로 내려가면 평화의 진신보탑과 일심광명각 등이 있는 공간이 나온다. |
|
|
|
도선사가 호국참회도량을 칭하다보니 평화를 강조하는 석탑과 불까지 갖추고 있다. 짜투리 공 |
|
|
|
경내 제일 뒤쪽(진신보탑
뒤쪽) 산자락에는 돌로 다진 18나한상과 포대화상이 옹기종기 모여 |
|
▲ 윗쪽에 자리한 나한상들 |
▲ 밑쪽에 자리한 나한상들 |
18나한상까지 모두
둘러보고 잠시 잊었던 청담기념관으로 내려갔다. 그곳은 호국참회원 밑에 |
|
|
|
마음 같아서는 북한산성 용암문까지 훌쩍 올라가고 싶지만 시간이 너무 늦어서
더 이상의 욕 |
|
|
|
도선사까지 신작로가
닦이기 전에는 사람들이 붙임바위에서 많이들 쉬어갔다. 물론 지금도 쉼 |
|
|
|
도선사 신작로(청담로,
삼양로173길) 옆에는 우이동계곡(도선사계곡)이 졸졸 흐르고 있다. 북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1년 12월 5일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본인의 다음(daum) 블로그 ☞
보러가기
* 본인의 네이버(naver) 블로그 ☞
보러가기
Copyright (C) 2021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
첫댓글 마애불입상, 역시 눈길을 끕니다.
도선사, 도량이 크다 보니 시원시원한 멋이 있네요.
도선사를 찾는 타지역 사람들 수요도 제법 많다고 합니다. ()()
긴글과
설명을 다 해주시니
넘 감사드립니다
모르는 저는 유익합니다
()()()
이렇게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