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이탈리아, 주사기 및 주사바늘 시장동향 | ||||||||||||||||||||||||||||||||||||||||||||||||||||||||||||||||||||||||||||||||||||||||||||||||||||||||||||||||||||||||||||||||||||||||||||||||||||||||||||||||||||||||||||||||||||||||||||||||||||||||||||||||||||||||||||||||||||||||||||||||||||||||||||||||||||||||||||||||||||||||||||||||||||||||||||||||||||||||||||||||||||||||||
---|---|---|---|---|---|---|---|---|---|---|---|---|---|---|---|---|---|---|---|---|---|---|---|---|---|---|---|---|---|---|---|---|---|---|---|---|---|---|---|---|---|---|---|---|---|---|---|---|---|---|---|---|---|---|---|---|---|---|---|---|---|---|---|---|---|---|---|---|---|---|---|---|---|---|---|---|---|---|---|---|---|---|---|---|---|---|---|---|---|---|---|---|---|---|---|---|---|---|---|---|---|---|---|---|---|---|---|---|---|---|---|---|---|---|---|---|---|---|---|---|---|---|---|---|---|---|---|---|---|---|---|---|---|---|---|---|---|---|---|---|---|---|---|---|---|---|---|---|---|---|---|---|---|---|---|---|---|---|---|---|---|---|---|---|---|---|---|---|---|---|---|---|---|---|---|---|---|---|---|---|---|---|---|---|---|---|---|---|---|---|---|---|---|---|---|---|---|---|---|---|---|---|---|---|---|---|---|---|---|---|---|---|---|---|---|---|---|---|---|---|---|---|---|---|---|---|---|---|---|---|---|---|---|---|---|---|---|---|---|---|---|---|---|---|---|---|---|---|---|---|---|---|---|---|---|---|---|---|---|---|---|---|---|---|---|---|---|---|---|---|---|---|---|---|---|---|---|---|---|---|---|---|---|---|---|---|---|---|---|---|---|---|---|---|---|---|---|---|---|---|---|---|---|---|---|---|---|---|---|---|---|---|---|---|---|---|---|---|---|---|---|---|---|---|---|---|---|---|---|---|---|
작성일 | 2014-10-31 | 국가 | 이탈리아 | 작성자 | 이수민(밀라노무역관) | ||||||||||||||||||||||||||||||||||||||||||||||||||||||||||||||||||||||||||||||||||||||||||||||||||||||||||||||||||||||||||||||||||||||||||||||||||||||||||||||||||||||||||||||||||||||||||||||||||||||||||||||||||||||||||||||||||||||||||||||||||||||||||||||||||||||||||||||||||||||||||||||||||||||||||||||||||||||||||||||||||||||
품목 | 주사기(바늘의 부착여부를 불문한다) | ||||||||||||||||||||||||||||||||||||||||||||||||||||||||||||||||||||||||||||||||||||||||||||||||||||||||||||||||||||||||||||||||||||||||||||||||||||||||||||||||||||||||||||||||||||||||||||||||||||||||||||||||||||||||||||||||||||||||||||||||||||||||||||||||||||||||||||||||||||||||||||||||||||||||||||||||||||||||||||||||||||||||||
품목코드 | 901831 그 외 1건 | ||||||||||||||||||||||||||||||||||||||||||||||||||||||||||||||||||||||||||||||||||||||||||||||||||||||||||||||||||||||||||||||||||||||||||||||||||||||||||||||||||||||||||||||||||||||||||||||||||||||||||||||||||||||||||||||||||||||||||||||||||||||||||||||||||||||||||||||||||||||||||||||||||||||||||||||||||||||||||||||||||||||||||
--> -->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및 전망
◦ 시장규모 - 이탈리아의 주사기 및 주사바늘 교역규모는 2013년 기준 약 5억 2,850만 달러로 전년대비 25.6% 성장함.
최근 3년간 이탈리아 주사기 및 주사바늘 교역규모 및 성장률* (단위 : US천$, %)
* 자료원 : Eurostat * 참고 : 교역규모는 주사기 및 주사바늘(HS 901831, 901832)에 한정, 제품의 시장규모 통계입수가 불가능하여 교역규모로 대체함
◦ 시장전망 - 2011년 기준 3억 9,400만 달러였던 교역규모가 2012년 기준 4억 2,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7% 증가, 경제 불황의 여파에도 꾸준히 성장 기록 - 생활수준이 높아지며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모성 의료제품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 소비자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병원 및 개인 소비자 - 경기불황으로 이탈리아 현지 상당수의 병원은 저예산으로 관련 제품을 구매하는 추세 - 그러나 일부 제품의 경우 기기와 소모품의 호환을 폐쇄형 방식*으로 생산하여 공급하기에 병원에서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요 의료기기 업체의 소모품을 구매함. * 폐쇄형 방식 : 기기와 특정 소모품만의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 방식
◦ 소비자 구매동기 - 질병 치료 및 예방, 정밀 작업에 사용되는 제품의 경우 위생적이고 정밀한 제품을 선호 - 약국에서 구매하는 일반 제품의 경우, 제품 판매를 위해서는 안정성 테스트를 통한 인증이 우선되어야 하기에 무엇보다 낮은 가격이 큰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 제품 트렌드
◦ 2013년 기준 이탈리아의 주사기 수출은 전년대비 28.7% 증가한 1억 6,500만 달러, 주사 바늘은 전년대비 3.6% 증가한 3,4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수출입 전반에 걸쳐 성장세 - 전 세계적으로 노령인구 확산에 따라 의료기기 소모품의 수요 증가 - 자국민의 건강을 중시하며 노인 복지제도가 안정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소모성 의료제품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 - 다만, 고기능성 제품이 아니기에 정부의 예산 및 체감경기에 따라 가격에 예민하게 반응, 이러한 추세는 꾸준히 지속될 전망
2. 수입동향
□ 최근 3년간 주사기 및 주사바늘 수입규모 및 동향(HS Code:901831, 901832 합)
최근 3년간 주사기 및 주사바늘 수입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 US천$, %)
자료원 : EuroStat
- 이탈리아 주사기 및 주사바늘 수입 규모는 2011년 기준 약 2억 6,500만 달러에서 2012년 기준 2억 5,900만 달러로 2.1% 감소. 2013년 기준 수입액은 약 3억 2,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6.9% 성장세를 보이며 대폭 증가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한국수입통계 포함)
이탈리아/주사기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 901831 기준) (단위 : US천$, %)
자료원 : EuroStat
- 2013년 기준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 EU 회원국이며 중국, 미국, 튀니지 등 역외국가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약 12%를 차지함. - 2013년 기준 한국산 수입은 전년대비 약 159.57%로 대폭 증가함. 이는 가격경쟁력에 힘입어 수입량이 증가한 결과로 분석됨.
이탈리아/주사바늘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 901832 기준) (단위 : US천$, %)
자료원 : EuroStat
- 2013년 기준 주요 수입국은 주사기(HS 901831)와 마찬가지로 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독일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EU 역외국 중에는 태국과 미국산의 수입 증가가 눈에 띔. - 2013년 기준 한국산 수입은 전년대비 약 1.3%로 증가하며 소폭이지만 꾸준히 수입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음.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 조세율 - 관세율 0% (한-EU FTA 이전과 관세율 동일)
◦ 필수 인증 현황 - CE 인증 필수 - 이탈리아 보건부(Ministero della Salute)의 수입 허가 필요
3.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
◦ 유통채널 - 의료기기 취급 혹은 생산 인가를 받은 업체가 제품 판매 허가를 취득, 제품 생산 및 수입 후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최종 사용자(병원 및 연구소, 개인 등)가 제품 구입
주사기 및 주사바늘 유통 구조도
자료원 : 밀라노 무역관 자체 제작
- 실수요 소비시장은 공공의료시설 혹은 사설 클리닉과 납품계약을 맺은 현지 유통업체가 대부분이며 약국을 통해서도 판매됨.
◦ 유통채널 활용 방안 - 한국과 같은 EU 역외국 업체가 현지 병원이나 약국에 직접 납품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의료기기 전문 수입, 도매업체외에도 현지 에이전트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
4.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주요 경쟁제품 현황
* 자료원 : 각 업체 홈페이지. 가격은 공개되어 있지 않음.
□ 한국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까지 미미한 편으로 자체 브랜드로 현지시장에 진출한 제품이 없는 것으로 파악됨.
◦ 선호 브랜드 - 저가 제품에는 특정 선호 브랜드가 없이 가격경쟁력이 가장 중요하며, 중고가 고기능성 제품의 경우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인 B-Braun, Fresenius Kabi, Alaris 등의 제품을 선호함. -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제품군에서는 현지에서 생산한 자국산 제품을 선호함.
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 타깃 고객층
◦ 타깃 고객층 - 의료제품의 경우 전문중개인 혹은 대리점을 발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 그 외에는 약국 체인 유통망의 구매담당자와 접촉할 수 있으나 이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브랜드 개발 담당자를 통해 PB(자체브랜드)제품 생산으로 접근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임. 하지만 현지 유통 구조상 대량 주문이 불가능하므로 가격을 맞추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 타깃 사유 - 분야별, 지역별로 전문 디스트리뷰터들은 오랜 시간동안 거래해온 공급망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인지도를 쌓을 필요가 있음.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 현지 전시회 정보
* 격년 개최로 2016년 개최일정은 아직 미정
□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 인지도가 높지 않은 한국제품의 경우 시장진입을 위해 높은 품질과 함께 저렴한 가격 제시가 가장 중요 - 제품 특성상 샘플을 보여주고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시켜주는 것이 중요하기에 전시회를 적극 활용하고 해외 전시회에서 이탈리아 바이어와의 접촉 시 적극적으로 제품을 홍보할 필요가 있음.
◦ 제품의 특성상 의료기기 취급 인가를 받은 바이어를 찾기 위해서는 현지 에이전트 발굴이 바람직함. - 이탈리아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가 장악하고 있으며 공공병원은 입찰로, 사설 클리닉은 별도의 유통망을 통해 거래가 이뤄져 바이어와의 직접적 거래는 신규 진입 해외업체에게 어려운 면이 많음. - 따라서 현지 에이전트나 전문 수입유통업체와 업무제휴를 통한 시장 진출이 바람직하며 현지 사정에 맞는 가격, 제품 사양과 필수 인증 확보 등 철저한 사전 조사를 통한 진출전략 수립이 필요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