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月令論[월령론]
月 (월) 令 (령) 提 (제) 綱 (강) , 譬 (비) 之 (지) 宅 (댁) 也 (야) .
人 (인) 元 (원) 用 (용) 事 (사) 之 (지) 神 (신) , 宅 (택) 之 (지) 向 (향) 也 (야) , 不 (불) 可 (가) 以 (이) 不 (불) 卜 (복) .
[해설]
월령(月令), 제강(提綱)은 비유컨대 집과 같다.
인원용사지신(人元用事之神)은 집의 향(向)과 같아 이를 따져 쓰지 않음은 불가(不可)하다.
[주기]
月 (월) 令 (령) 提 (제) 綱 (강), 譬 (비) 之 (지) 宅 (댁) 也 (야).
月 (월) 令 (령) 은 명주(命主)가 몸을 누일 수 있는 곳으로 가택(家宅)과 같은 것이다.
풍수(風水)에 가택(家宅)은 좌향(坐向)이 중요하고, 묘지(墓地)는 혈처(穴處)가 중요하다.
이를 구체화한 택향묘혈론(宅向墓穴論)은 ‘적천수적요’의 관법을 대표하는 내용이다.
이것은 한 마디로 대지 위에 지어진 집의 거주자는 대문의 방향인 향(向),
땅 속에 묻힌 유체(遺體)는 혈(穴)이 팔자(八字)의 체용(體用)과 귀천길흉(貴賤吉凶)을 좌우하는 근거가 된다는 뜻이다.
이때 향(向)은 노출(露出)된 천간(天干)의 글자가,
혈(穴)은 분각용사법(分刻用事法)에 따라 득시(得時)한 장간(藏干)이 관건이다.
월령(月令)
가택의 향(向)은 월지에서 통근(通根)하여 출간(出干)한 글자의 세력에 따라 정해진다.
생시(生時)
묘지의 혈(穴)은 생시(生時)를 각(刻)으로 구분하여 분각용사법(分刻用事法)을 취한다.
人 (인) 元 (원) 用 (용) 事 (사) 之 (지) 神 (신) , 宅 (택) 之 (지) 向 (향) 也 (야) , 不 (불) 可 (가) 以 (이) 不 (불) 卜 (복) .
명리(命理)는 원래 이기(理氣) 양면을 모두 가려 취하는 것이다.
즉 기세(氣勢)를 다같이 보아야 한다.
가령 午月 庚金은 매우 뜨거운 때에 있으므로 패지(敗地)를 만나 약(弱)하기 쉽다.
이것은 계절의 기(氣), 쇠왕(衰旺)을 중시한 입장이다.
반면 세(勢)로 보자면 午 중에는 己土가 있고, 己土가 출간(出干)하면 신강(身强)으로 변한다.
이것은 ‘자평진전’의 관점에서 보아도 마찬가지다.
午月 庚金은 원래 정관격(正官格)이다. 그러나 이때 己土가 투간(透干)하면 격국(格局)이 인수격(印綬格)으로 변한다.
즉 택향(宅向)이 ‘土’로 정해진다는 얘기다.
이를 두고 ‘용신(用神)의 변화’, 즉 격국(格局)이 바뀌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월지(月支)에서 통근(通根)하여 출간(出干)한 글자를 중시하여 택향(宅向)을 정하고,
그것으로 격(格)을 삼는 ‘적천수적요’의 관법은 ‘심효첨’의 이론과 흡사하다. ‘진소암’이나 ‘서락오’ 역시 마찬가지다.
독자들은 이때
人 (인) 元 (원) 用 (용) 事 (사) 之 (지) 神 (신) ,즉 宅 (택) 之 (지) 向 (향) 에 대해서 체용(體用)에 따른 이원적(二元的)인 사고를 실행해야 한다.
첫째 午月에는 丁火가 사령(司令)한 때로 庚金이 몹시 약(弱)하니 팔자(八字)에 水가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하월(夏月) 군금(群金)은 원무(元武)가 있으면 묘(妙)하다고 했는데,
원무(元武)는 북방(北方) 壬癸水로 사주(四柱)에 水가 없다면 대운(大運)이라도 북방(北方)으로 흘러야 하는 것이다.
午月 庚金에 壬水가 투(透)하면 일원(日元)이 몹시 허약해져 얼핏 불리하게 여기기 쉽지만
지지(地支)에 庚辛金이 있어 통근(通根)한 이상 대개 부귀격(富貴格)을 이룬다.
이상은 팔자(八字)와 대운(大運)의 체신(體神)에 한정되어 人 (인) 元 (원) 用 (용) 事 (사) 之 (지) 神 (신) 을 살핀 것이다. 이때 戊己土가 출간(出干)하여 水를 제(制)하면 평범한 명(命)이 되기 쉽다.
그런데 이미 戊己土가 투(透)했다면 宅 (택) 之 (지) 向 (향) 이 火에서 土로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신약(身弱)이 신강(身强)으로 변한다.
이때 水를 용(用)하는 것은 전자의 조후(調候) 개념이 아닌 인수용재(印綬用財)의 부억(扶抑) 차원을 뜻한다.
즉 체(體)가 아닌 용(用)의 영역에서는 월지(月支)에 통근(通根)한 투간(透干)의 동태가 관건이 된다.
한 마디로 세월(歲月)의 희기성패(喜忌成敗)를 주관하는 법칙은 부엌(扶抑)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조후(調候)나 병약(病藥)과 같은 원칙은 논할 여지가 없다.
‘서락오’는 체용(體用) 전체의 영역에서 일관되게 작용하는 법칙을 부엌(扶抑)으로 확정지었으므로
후에 병약(病藥)을 강조한 명리정종(命理正宗)을 심하게 비난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이것은 엄밀한 체용(體用)의 분할 선상에서 고찰하면 크게 비난을 살 대상이 못된다. 결론적으로
人 (인) 元 (원) 用 (용) 事 (사) 之 (지) 神 (신) 또한 체용(體用)의 분할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이치를 터득하는 게 중요하다.
기세(氣勢)에 따른 인원용사지신(人元用事之神)
氣 (기)勢 (세)
體 (체) 用 (용)
宅 (택)之 (지)向 (향)
喜 (희)神 (신)
備 (비)考 (고)
氣 (기)
體 (체)
司 (사)令 (령)之 (지)神 (신)
調 (조)候 (후)之 (지)神 (신),病 (병)弱 (약)之 (지)神 (신),
扶 (부)抑 (억)之 (지)神 (신)
八 (팔)字 (자), 大 (대)運 (운)
勢 (세)
用 (용)
月 (월)支 (지)에 通 (통)根 (근)하여
透 (투)한 天 (천)干 (간)
扶 (부)抑 (억)之 (지)神 (신)
歲 (세)月 (월)
투파(透派)는 인원(人元)을 용사(用事)함에 있어,
즉 택향(宅向)을 정할 때 종래의 분일용사법(分日用事法)을 견지하는 유파들과 별반 차이가 없는 관점을 피력한다.
따라서 午月 庚金에 己土가 투간(透干)했다 할지라도 火의 계절을 취해 택향(宅向)은 火가 된다.
이것은 결국 체신(體神)에 집중되는 종래의 관법과 얼핏 유사하지만 절입일(節入日)에 따라
초기, 중기, 정기로 엄밀하게 구분하는 식이 아니므로 같다고 볼 수 없다.
어쨌든 택향(宅向)을 정하는 방법에 따라 각 유파가 정의하는 격(格)의 명칭이 달라지므로,
먼저 午月 庚金에 己土가 투(透)한 팔자(八字)의 유형을 통해 이를 구분해보겠다.
己庚□□ □□午□
현대적 관법으로는 인수(印綬)가 주도하는 팔자로 규정한다.
‘투파’적 관법으로는 火가 주도하는 관격(官格)의 팔자로 규정한다.
종래의 ‘분일용사법’으로 보자면 절기 소서(小暑) 이후의 절입일을 따져 전반기에는 丙火가 주도하는 살격(殺格), 10일 이후 19일 전 사이는 己土가 주도하는 인수격(印綬格), 19일 이후는 丁火가 주도하는 정관격(正官格)으로 규정한다.
午月에 화기(火氣)가 왕(旺)한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金은 약해진다. 그러나 己土가 투(透)하면 약변강(弱變强)이 된다.
따라서 신강(身强)한 팔자(八字)로 능히 재관(財官)을 감당할 수 있고, 운(運)에서 대개 재운(財運)을 기뻐한다.
바로 이러한 입장이 근세 ‘서락오’ 이후 최근 관법으로 굳어진 대세라 할 수 있다.
‘적천수적요’ 또한 이 같은 틀을 견지했는데 이것은 다분히 세월(歲月)의 성패희기(成敗喜忌)를 가리는 법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체신(體神)의 범주에서 따지면 水木은 단순히 인수격(印綬格)의 신강(身强)한 팔자(八字)가
식재(食財)를 기뻐하는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水는 팔자(八字)를 조후(調候)하고 木은 水를 극하여 병(病)이 되는 土를 파(破)하여 구(救)하는 약(藥)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체신(體神)의 범주에서 먼저 용신(用神)을 가려 격국(格局)의 귀천(貴賤)을 취하는 단계를 거쳐
다음으로 세력(勢力)의 강약(强弱)을 구분하여 부엌용신(扶抑用神)을 정하는 과정을 다 같이 밟아야 마땅한 것이다.
그러므로 각 유파마다 주장하는 논리에 틀림은 없다.
다만 ‘적천수’는 여타의 고서(古書)와는 달리 체용(體用) 전체를 논한다.
그렇다면 기본적으로 세(勢)에 따른 부억(扶抑)의 잣대로 택지향(宅之向)을 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체용(體用)을 구분하여 인원용사(人元用事)하는 이치를 명백히 구분해서 설명해두었더라면
후학(後學)들의 학습이 좀 더 용이했을 터이고,
다른 각도에서 보면 선학(先學)들이 수월하게 극복하지 못한 체용론(體用論)의 한계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고전적인 월령(月令)의 분일용사법(分日用事法)은 청대(淸代)부터 이미 부정되어 온 상황인데,
아래 ‘진소암’의 입장을 살피면 내용의 대강을 이해하기 용이하다.
“고서에 보면 12월의 지지(地支)에 내포되어 있는 천간(天干)은 모두 분일용사(分日用事)의 적용으로
이미 오래되어 마치 금과옥율(金科玉律)과 같이 중요한 것이 되었다. 그러나 실은 그렇지 않다.
가령 巳에 戊가 있다고 말할 수는 있다. 그런데 亥에 戊가 있는 것은 어떤 이치 인가.
과거나 지금이나 명(命)을 논할 때 어떻게 亥를 보면 戊를 취할 수 있는가.
사계절(四季節)은 365일에 그치고, 매 지지(地支)의 천간(天干) 일수(日數)는 모두 합하면 30일이 된다.
그렇다면 사계(四季)는 왜 모두 372일이 되지 않는가.
하나하나 모두 이해하기 어려우니 어떤 설(說)을 따라 이것을 이해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각각의 지장간(支藏干)에 날 수를 배정한 것에 구애될 필요가 없다.”
‘진소암’의 이론은 현재의 투파(透派)가 견지하는 이론체계와 맥락이 닿아있다.
그래서인지 현재 투파(透派)가 견지하는 분일용사(分日用事)의 시스템은 한결 진화 된 것임에는 틀림없다.
투파(透派)는 매 지지(地支)별 일수(日數)를 30일로 맞추어 계절별로 왕성(旺盛)한 오행(五行)을 분류하여
인원용사(人元用事)하는 지침을 삼았다.
즉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사계절을 구분하고, 이를 각각 木火金水로 배정하며
辰未戌丑 사시(四時)에 한해 절입(節入)일로부터 12일간은 계절 오행(五行)을 쓰고, 13일 이후부터는 土를 취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것은 다소 변형된 분일용사법(分日用事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세월(歲月)의 성패(成敗)를 주관하는 부억(扶抑) 시스템에서는 분일용사법(分日用事法)이 유용하지 않다.
현대 명리(命理)의 이론적 근거는 동정설(動靜說) 이 제공한다.
동정설(動靜說)에 의하면 천간(天干)은 사시(四時)에 동(動)하므로 겨울철에도 여름의 기운이 태성할 수 있고
여름철에도 겨울의 기운이 태성할 수 있게 만드는 요체가 된다고 했다.
즉 현대 명리(命理)가 투간(透干)의 상태를 중시하는 바는 변화의 열쇠인 천간 (天干)의 동인(動因)에 근거한다는 뜻이고
그것이 곧 택향(宅向)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분일용사(分日用事)를 적용할 필요는 없고, 24절기(節氣)와 기(氣)의 진퇴(進退)를 고려하는 것으로 족하다는 얘기다.
그러나 어느 일면에서 효율성이 뛰어나다고 해서 그것을 곧 정론(正論)으로 삼을 수는 없다.
이미 내가 여타의 저술을 통해 명리학(命理學)은 이미 4세대로 진화하고 있음을 논한 바 있는데
이것은 결국 체용(體用)의 엄격한 구분에 따른 용법(用法)을 말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인원용사지신(人元用事之神)을 정하는 최종 용법(用法)과 운용(運用) 기법 상의 차이는 다음과 같으므로
체용(體用)에 따라 가려 써야 하는 것이다.
체(體)
팔자와 대운
기세(氣勢)
팔자 원국과 대운법에 해당하는 범주에서는 팔자의 기세(氣勢) 모두를 살펴 귀천과 변화를 논해야 한다. 따라서 분일용사(分日用事)가 유효
용(用)
팔자와 세월
세력(勢力)
팔자의 매년 희기(喜忌)는 오직 세력의 강약(强弱)을 살펴 부억(扶抑)으로 가늠한다. 분일용사(分日用事)로 정하는 택향(宅向)은 의미가 없음
이상에서 동정설(動靜說)은 용(用)의 영역인 매년(每年) 세월(歲月)의 성패(成敗) 추이를 가르는 실전 기법에서
중요시되어야 할 이론임을 알 수 있다.
또 체용(體用)의 구분 없이 분일용사(分日用事)만을 중시하는 인사들은 비록 체신(體神)의 영역인 팔자의 격국(格局)
고저(高低)나 대강(大綱)의 성패(成敗) 사안에는 주효할지 모르나,
정작 절실한 세월(歲月)의 성패(成敗)에서는 몹시 허무한 추명(推命)에 그치기 십상이다.
반면 기세(氣勢)를 다같이 보지 못하고 오직 오행(五行)의 세력(勢力)만 살펴 팔자 추론에 임하는 정도의 실력이라면
한 마디로 팔자의 그릇을 헤아리지 못한다.
또한 매년의 적확한 성패 추론은 부억(扶抑)에만 달린 것이 아니므로,
형충회합 (刑沖會合)의 선후(先後), 득실(得失) 변화 등을 추산(推算)하는 첨단 기법에 달하면 또 다른 한계에 봉착하고 만다.
요점은 기세(氣勢)와 세력(勢力)을 살펴 적용하는 영역을 가리는데 있고,
이는 팔자학(八字學)의 ‘베이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얘기다.
한편 월령(月令)의 분일용사(分日用事)에 대해서는
‘삼명통회(三命通會)’, ‘연해자평(淵海子平)’, ‘신봉통고(神峯通考)’, ‘성평회해(星平會海)’ 등 역대의
고서(古書)부터 최근의 숱한 교재에 이르기까지 모두 예시되어 있다.
약간의 일시(日時) 차이가 나타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다.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壬 10일3분5 癸 20일6분5
癸 9일3분 辛 3일1분 己 18일6분
戊 7일2분3 丙 7일2분3 甲 16일5분4
甲 10일3분5 乙 20일6분5
乙 9일3분 癸 3일1분 戊 18일6분
戊 5일1분7 庚 9일3분 丙 16일5분3
丙 10일3분5 己 9일3분 丁 11일3분15
丁 9일3분 乙 3일1분 己 18일6분
己 7일2분 戊 3일1분 壬 3일1분 庚 17일6분
庚 10일3분5 辛 20일6분5
辛 9일3분 丁 3일1분 戊 18일6분
戊 7일2분3 甲 5일1분7 壬 18일6분
투파(透派)의 변형된 분일용사(分日用事)는 다음과 같다.
이를 통해 팔자(八字) 체신(體神)의 중화(中和)를 위주로 귀천(貴賤)을 가리는데, ‘난강망’ 이론과 거의 흡사하다.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春
夏
秋
冬
木
木
木 12일 土 18일
火
火
火 12일 土 18일
金
金
金 12일 土 18일
水
水
水 12일 土 18일
복습의 차원에서 택향(宅向)을 결정짓는 법, 즉 각 유파(流波)간 격국(格局)을 정(定)하는 방식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한다.
가령 寅月 壬水 일주(日主)로 입춘(立春) 이후 5일째 태어난 팔자(八字)로 타간(他干) 丙火를 보았다고 치자.
丙壬□□ □□寅□
1 ‘써머리’는 寅月에서 투(透)한 丙火에 주목, 재격(財格)이 된다
2 분일용사(分日用事)로 따져 戊土가 사령(司令)하므로 살격(殺格)이 된다
3 투파(透派) 관점에서는 寅月에는 甲木이 주관하므로 식신격(食神格)이 된다.
4 이것저것 가릴 것 없이 월지(月支)의 정기(正氣)를 채용, 식신격(食神格)으로 간주한다.
이상의 예에서 각기 관점에 따라 격(格)이 상이해짐을 알 수 있다.
의외라면 ‘4’의 관점인데, 이런 식으로 격(格)을 정하는 부류도 적지 않다.
가령 일본(日本)에서 출시된 몇 종의 교재들과 ‘사주정설’과 같은 교재는 ‘4’의 관점만을 언급할 뿐이다.
이게 보통 문제인가. 격(格)의 정의조차 분분하다면 학문의 원칙이 애매해진다.
아무튼 ‘1’의 관점이 대세다.
더구나 세월(歲月)의 성패를 세력(勢力) 위주의 부억법(扶抑法)으로 가리는 원칙상에서는 오직 ‘1’의 관법만이 타당한 것이다.
‘2’와 ‘3’은 기세(氣勢)를 살피는 팔자 원국의 체신(體神) 관법에서는 유효하지만,
이 또한 24절기(節氣)로 구분되는 ‘난강망’ 지식체계로 커버되는 것이므로 굳이 분일용사(分日用事)를 채택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