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흰골무꽃(Scutellaria indica L. f. albiflora Y.N.Lee)은 신품종발표시 원기준표본이 없어 나명입니다. 이상태 등이 이를 보완해서 비바리골무꽃(Scutellaria indica var. alba S.Kim & S.Lee)이란 신변종을 발표했는데 골무꽃의 색상변이로 보고 기본종에 통합하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결론은 흰골무꽃은 아니라는.... 십수년전에 동래원예고등학교에서 출품한 이 작품을 야사모에서 보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그 후에 비바리골무꽃이란 종이 발표되었더군요. 그 당시는 한국특산식물...
비바리골무꽃은 Govaerts의 견해를 받아들이면서 특산목록에서 제외되는 비운을 겪기도 합니다. Scutellaria indica L. var. alba S. Kim & S. Lee 비바리골무꽃→S. indica L. (Govaerts,2003) 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kew-189217
첫댓글 흰골무꽃(Scutellaria indica L. f. albiflora Y.N.Lee)은 신품종발표시 원기준표본이 없어 나명입니다.
이상태 등이 이를 보완해서 비바리골무꽃(Scutellaria indica var. alba S.Kim & S.Lee)이란 신변종을 발표했는데
골무꽃의 색상변이로 보고 기본종에 통합하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결론은 흰골무꽃은 아니라는....
십수년전에 동래원예고등학교에서 출품한 이 작품을 야사모에서 보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그 후에 비바리골무꽃이란 종이 발표되었더군요. 그 당시는 한국특산식물...
흰골무꽃은 신품종발표시 원기준표본이 없어 <나명>입니다. ---> <비합법적 출판>으로 수정해요.
----------
Scutellaria indica f. albiflora Y.N.Lee, Fl. Korea 1160 (1996) 흰골무꽃
국제명명규약 art. 40.1(1958년 이후, 표본을 지정하지 않을시 비합법적 출판)에 위배되어 비합법적 출판입니다.
비바리골무꽃은 Govaerts의 견해를 받아들이면서 특산목록에서 제외되는 비운을 겪기도 합니다.
Scutellaria indica L. var. alba S. Kim & S. Lee 비바리골무꽃→S. indica L. (Govaerts,2003)
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kew-189217
왜 식물들을 구분할때 많은 꽃색중에서 변종이든 품종이든 유독 흰꽃만 구분하는 걸까요?
다른 색깔로 나타나는 꽃들도 많은데...........
형평성에 문제가 아닌감?~
암튼 난 다른 특징이 없이 꽃색만 다르다고 구분하는것은 여~엉.........
두 분의 말씀에 공감하면서 골무꽃으로.......
아직 국생종에 흰골무꽃으로 남아 있고 좀 보기가 어럽더라구요.
비바리골무꽃으로 유지시키셔도 될 것 같습니다.
국생종 흰골무꽃의 학명은 나명이니 폐기되어야 하고요.
골무꽃의 이명으로 처리하는 의견이 있어서 특산에서 제외시킨 것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흰색은 처음 봅니다. 좋은 자료와 심도깊은 댓글 감사하며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