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무역규모 2억8000만 달러, 무역수지 2억 달러 -
-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 합성수지, 섬유제품 -
□ 교역 현황
ㅇ 2017년 한국의 대가나 수출액은 2억4000만 달러, 수입액은 3800만 달러로 양국 간 총 2억8000만 달러의 무역 규모를 형성함.
- 지난해 한국의 수출, 수입 건수는 각각 1만5629건, 463건으로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해당 금액은 전년 대비 각각 13.3%, 24.4% 증가함.
연도별 대가나 수출입 현황
(단위: 건, 천 달러, T, %)
구분 | 수출 | 수입 | 무역수지 |
건수 | 금액(증감률) | 중량(증감률) | 건수 | 금액(증감률) | 중량(증감률) |
2013년 | 10,404 | 350,954 (23.6) | 204,423 (-65.7) | 313 | 40,681 (28.9) | 16,284 (16.7) | 310,273 |
2014년 | 8,145 | 219,953 (-37.3) | 644,980 (8.0) | 309 | 37,760 (-7.2) | 19,103 (17.3) | 182,193 |
2015년 | 8,382 | 252,856 (15.0) | 790,426 (22.6) | 386 | 40,079 (6.1) | 21,364 (11.8) | 212,777 |
2016년 | 11,306 | 215,328 (-14.8) | 853,602 (215.5) | 347 | 30,814 (-23.1) | 16,818 (-21.3) | 184,513 |
2017년 | 15,629 | 243,876 (13.3) | 292,489 (69.4) | 463 | 38,346 (24.4) | 23,789 (41.4) | 205,530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한국 관세청
ㅇ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의하면 2017년 우리나라의 대아프리카 수출액은 75억 달러, 수입액은 53억 달러이며 총 128억 달러의 교역이 이루어짐.
- 같은 시기 한국의 대아프리카 무역 중 대가나 무역은 2.2%를 차지하고, 수출과 수입은 각각 3.2%, 0.7%의 점유율을 보임.
- 대륙 내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국으로는 △나이지리아(28.1%) △이집트(17.5%) △라이베리아(17.3%) △알제리(16.4%) △토고(13.9%) △남아프리카공화국(12.9%) 등이 있으며 가나(3.2%)는 8위임.
ㅇ Global Trade Atlas 자료에 의하면 작년 전 세계 국가들 중 한국은 가나의 22위, 가나는 한국의 96위의 무역 상대국으로 통계됨.
- 이는 전년 대비 한국은 1단계, 가나는 4단계 상승한 수치임.
- 한편, 2017년 기준 한국은 가나의 37위(0.13%) 수출국, 11위(2.4%) 수입국으로, 가나는 한국의 86위(0.04%) 수출국, 111위(0.01%) 수입국으로 집계됨.
□ 수출
ㅇ 2017년 한국의 가나 수출액은 2억4000만 달러이고 지난 4년간 2억 달러대의 수출을 보임.
- 한국의 대가나 주요 수출 종목으로는 △기계류 △광산물 △화학공업제품 △섬유류 △전자전기제품이 있음. 합성수지, 차량, 섬유제품 등이 가장 많이 수출됨.
- 인근 서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한국의 수출품과 비교 시, 가나 수출은 중고의류 및 자동차(부품 포함)의 비중이 큼.
연도별 한국의 수출품목 순위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1단위) | 품목 | 2015년 | 2016년 | 2017년 |
수출 | 비율 | 수출 | 비율 | 수출 | 비율 |
1 | 7 | 기계류 | 91,187 | 42.3 | 91,232 | 42.3 | 89,530 | 36.7 |
2 | 1 | 광산물 | 34,977 | 16.2 | 588 | 0.3 | 47,917 | 19.6 |
3 | 2 | 화학 공업 제품 | 65,368 | 30.4 | 61,967 | 28.8 | 46,363 | 19.0 |
4 | 4 | 섬유류 | 19,997 | 9.3 | 22,907 | 10.6 | 22,666 | 9.3 |
5 | 8 | 전자 전기 제품 | 26,574 | 12.3 | 15,435 | 7.2 | 20,409 | 8.4 |
6 | 6 | 철강 금속 제품 | 4,561 | 2.1 | 11,436 | 5.3 | 5,591 | 2.3 |
7 | 0 | 농림 수산물 | 3,381 | 1.6 | 5,036 | 2.3 | 4,308 | 1.8 |
8 | 5 | 생활용품 | 2,032 | 0.9 | 2,479 | 1.2 | 3,892 | 1.6 |
9 | 9 | 잡제품 | 2,065 | 1.0 | 1,067 | 0.5 | 1,712 | 0.7 |
10 | 3 | 플라스틱 고무 및 가죽제품 | 2,713 | 1.3 | 3,182 | 1.5 | 1,486 | 0.6 |
총 계 | 252,856 | 100 | 215,328 | 100 | 243,876 | 100 |
주: 해당통계는 2017년 수출 순위 기준임
자료원: 한국 관세청, Global Trade Atlas
ㅇ 한편, 지난해 가나의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미국 △영국 △스페인 △벨기에 등이 있으며, 한국은 11위(2.4%)를 기록함.
2017년 가나의 수입국 순위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2017년 | 주요 수입품(HS Code) |
수입 | 비율 |
1 | 중국 | 1,843,648 | 16.6 | 기계류(84), 철강(72), 전자기기(85), 차량(87) |
2 | 미국 | 1,090,591 | 9.8 | 차량(87), 전자기기(85), 기계류(84), 각종 비금속 제품(83) |
3 | 영국 | 969,673 | 8.7 | 종이∙판지(48), 서적(49), 기계류(84) |
4 | 스페인 | 727,434 | 6.6 | 토석류(25), 도자제품(69) |
5 | 벨기에 | 649,448 | 5.9 | 기계류(84), 차량(87), 육과 식용설육(02), 어패류(03)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2017년 수출 실적
ㅇ 1위, 기계류
- 9000만 달러의 기계류 수출액 중 승용차는 3할을 점유하며 전년 대비 26%대의 증가율을 보임. 승용차 및 화물 자동차가 기계류 수출의 55%를 차지함.
- 현지 관세 당국에 의하면 2005~2016년 가나에 수입된 차량은 총 100만 대 이상이며 그 중 80%가 중고차임.
기계류 하위품목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4단위) | 내용 | 2017년 |
수출액 | 증감률 | 비율 |
1 | 7411 | 승용차 | 28,690 | 26.5 | 32.0 |
2 | 7412 | 화물 자동차 | 20,969 | -7.1 | 23.4 |
3 | 7420 | 자동차 부품 | 13,751 | -4.6 | 15.4 |
4 | 7111 | 원동기 | 11,707 | 4.0 | 13.1 |
5 | 7251 | 건설 중장비 | 8,448 | -7.4 | 9.4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현지 중고 자동차시장

자료원: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체 촬영
ㅇ 2위, 광산물
- 광산물 수출에서는 경유가 4760만 달러로 99.3%를 차지하며 작년 수출액(0원) 대비 확고한 차이를 나타냄. 또한 2015년 수출규모는 3400만 달러로 연도별 불규칙한 교역량을 보임.
- 현지 원유 관련 업자에 의하면 가나로 수입되는 석유제품은 북유럽산이 압도적임. 극동산 제품의 수입은 운송비용을 상쇄시키는 글로벌 기업들의 차익거래가 이루어지거나 극동 조선소에서 생산된 공선에 제품을 선적해 같이 이동할 때 주로 발생함.
광산물 하위품목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4단위) | 내용 | 2017년 |
수출액 | 증감률 | 비율 |
1 | 1332 | 경유 | 47,601 | - | 99.3 |
2 | 1336 | 윤활유 | 307 | -27.5 | 0.6 |
3 | 1290 | 기타 비금속 광물 | 9 | -94.8 | -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현지 주유소

자료원: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체 촬영
ㅇ 3위, 화학공업제품
- 4600만 달러의 수출액 중 합성수지는 3000만 달러로 전체의 2/3를 차지하며 주요 하위 품목으로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폴리메탄아크릴산메틸 등이 있음.
- 시멘트 수출은 2014~2016년 2000만 달러 내외였으나 2017년에는 전년 대비 90% 감소한 200만 달러 수준을 보임.
화학공업제품 하위품목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4단위) | 내용 | 2017년 |
수출액 | 증감률 | 비율 |
1 | 2140 | 합성 수지 | 30,479 | 29.3 | 65.7 |
2 | 2190 | 기타 석유 화학 제품 | 5,624 | 97.5 | 12.1 |
3 | 2289 | 기타 정밀 화학 원료 | 4,588 | -2.1 | 9.9 |
4 | 2410 | 시멘트 | 2,286 | -89.9 | 4.9 |
5 | 2110 | 기초 유분 | 665 | 166 | 1.4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현대식 쇼핑몰 Marina Mall

자료원: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체 촬영
ㅇ 4위, 섬유류
- 섬유류 수출 중에서는 기타섬유제품(의류, 로프, 어망 등)이 대부분이고, 최근 10년간 그 금액의 변동 폭이 비교적 좁은 편임.
- 한편, 중고의류 및 기타 중고섬유제품(HSK 6309)은 1500만 달러로 작년과 유사한 수치를 보임.
섬유류 하위품목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4단위) | 내용 | 2017년 |
수출액 | 증감률 | 비율 |
1 | 4490 | 기타 섬유 제품 | 21,732 | 3.6 | 95.9 |
2 | 4414 | 의류 액세서리 | 511 | 133.3 | 2.3 |
3 | 4111 | 폴리에스텔 섬유 | 180 | -78.9 | 0.8 |
4 | 4229 | 기타 인조 섬유장섬유사 | 94 | -82.5 | 0.4 |
5 | 4412 | 직물제 의류 | 76 | 3888.2 | 0.3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5위, 전자전기제품
-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제품은 축전지와 컬러TV이며 전년 대비 각각 27%, 57% 증가한 630만 달러, 470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함.
- 우리나라 브랜드인 삼성, LG는 가나의 현대식 대형 쇼핑센터에 다수 입점한 상태이며 TV 및 전자기기 등이 현지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알려져 있음.
전자전기제품 하위품목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4단위) | 내용 | 2017년 |
수출액 | 증감률 | 비율 |
1 | 8352 | 축전지 | 6,328 | 27.2 | 31.0 |
2 | 8211 | 컬러TV | 4,715 | 57.7 | 23.1 |
3 | 8414 | 배전 및 제어기 | 2,764 | - | 13.5 |
4 | 8421 | 제어용 케이블 | 906 | 194 | 4.4 |
5 | 8147 | 의료용 전자기기 | 875 | 115.2 | 4.3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현대식 쇼핑몰 Game

자료원: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체 촬영
□ 수입
ㅇ 지난 5년간 한국의 대가나 수입규모는 매년 3000만~4000만 달러로 통계됨.
- 한국의 대가나 주요 수입품으로는 △견과류, △폐건전지, △연괴 및 스크랩, △동괴 및 스크랩, △금 등이 있음. 2015~2017년 상위 3개의 집단이 수출의 70%의 차지함.
- 인근 서아프리카 국가와 비교 시 견과류, 폐건전지, 금의 수입 비중이 높음 편임.
연도별 한국의 수입 품목 순위
(단위: 천 달러, %)
순위
| MTI (1단위) | 품목 | 2015년 | 2016년 | 2017년 |
수입 | 비율 | 수입 | 비율 | 수입 | 비율 |
1 | 0125 | 견과류 | 14,029 | 35.0 | 13,653 | 44.3 | 13,047 | 34.0 |
2 | 8353 | 폐건전지 | 7,586 | 18.9 | 6,201 | 20.1 | 11,679 | 30.5 |
3 | 6251 | 연괴 및 스크랩 | 7,268 | 18.1 | 1,660 | 5.4 | 3,492 | 9.1 |
4 | 6221 | 동괴 및 스크랩 | 5,709 | 14.2 | 1,140 | 3.7 | 2,935 | 7.7 |
5 | 1111 | 금 | 303 | 0.8 | 1,950 | 6.3 | 2,188 | 5.7 |
6 | 0149 | 기타 식물성재료 | 2,563 | 6.4 | 2,107 | 6.8 | 1,854 | 4.8 |
7 | 0313 | 합판 | 0.54 | - | 422 | 1.4 | 911 | 2.4 |
8 | 0319 | 기타 목재류 | - | - | - | - | 683 | 1.8 |
9 | 6211 |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 812 | 2.0 | 818 | 2.7 | 526 | 1.4 |
10 | 0135 | 박류 | 439 | 1.1 | 133 | 0.4 | 201 | 0.5 |
총 계 | 40,079 | 100 | 30,814 | 100 | 38,346 | 100 |
주: 해당 통계는 2017년 수입 순위 기준임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시사점
ㅇ 2017년 기준 한-가나의 2억8000만 달러 교역 중 수출은 2억4000만 달러, 수입 3800만 달러임.
- 한국의 주요 수출품으로는 차량, 합성수지, 섬유제품 등이 있고 주요 수입품으로는 견과류, 폐건전지, 원자재 등이 있음.
ㅇ 최근 몇 년간 △합성수지 △승용차 △화물 자동차 △자동차 부품 △중고의류 △축전지 △서적 등의 수출은 일정 수준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했으며 컬러TV 및 원동기 수출은 증가하는 추세임.
- 컬러TV의 증가는 국민들이 선호하던 미디어 매체가 라디오에서 TV로 조금씩 이동하기 때문임. 원동기의 경우는 정부의 에너지 사업 추진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됨. 한편, 정부의 개발 정책과 맞물려 건설 중장비의 수출규모도 5년 전 대비 커진 것으로 보임.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한국무역협회 및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