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떨기나무」, 김승학 사우디아라비아 왕실 주치의, 정확히는 메카 주지사 마지드 왕자의 주치의로 16년을 일했던 김승학 씨가 쓴 미디안 땅의 시내산 탐사기를 완독하다. 단 하루만에 단숨에 읽어내긴 했지만 408쪽에 이르는 두꺼운 책이다. 냉정하게는, 저자의 흥분이 지나치게 생생하게 기록돼 있어서 일부 과장이 있지는 않나 의심스럽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충분히 논리적이고 성구 인용도 적절하고 충분히 신중하다. 저자는 현재 평택 동산교회에 다니며, 평택박애병원 이사 겸 행정원장으로 있다. 왕족들이 특권을 누리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독특한 내면 질서와 생활을 들여다 볼 수도 있다. 예컨대, 여성들에게는 2000년에야 주민등록증이 발급됐고(34쪽), 다른 도시로 여행할 때 반드시 있어야 했던 여행증명서는 2005년에야 해제됐다(17쪽). 지은이는, 기독교인들이 지금까지 시나이반도에 있는 무사산을 시내산으로 알아왔으나 이는 성지순례를 열망하는 기독교인들의 요구에 부응한 교황청의 정치적 결정의 결과일분 실제로는 현 사우디아라비아 타북(Tabuk) 지역에 있는 라오즈산(Jabal al Laowz)이라는 주장을 펼친다. 여러 논거로 볼 때 타당한 주장으로 여겨진다. -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1.6% 감소한 것에 비해 천주교는 74.4%, 불교는 3.9% 증가했다. / 5쪽 - 기원후 527년 시나이반도에 있는 무사산(Jabal Musa: 모세산)을 시내산으로 명명한 로마 제국의 일방적인 선언.../ 22쪽 - 회교도들의 제2의 성지인 메디나(Medina)... 기원후 632년에 죽은 그(마호메트)의 무덤이 있는 곳... / 23쪽 - 탐험가 론 와트(Ron Watt)와 그의 아들이 찍은 것... <디스커버리(Discovery)>라는 제목... 아라비아 북서부의 홍해 횡단 기념기둥과 진짜 시내산이라는 라오즈산의 금송아지 제단도 촬영되어 있었다. / 24쪽 - 1947년 사해 사본을 발견한 것은 유명한 성경학자가 아니라 17세의 양치는 소년... 터키 아라랏산의 빙하 속에 갇혀 있던 노아의 방주를 발견한 사람도 .... 바로 그 비디오테이프를 찍은 론 와트라는 탐험가였다. / 26쪽 - 미 특수부대(SWAT) 요원이었던 로버트 코루녹(Robert Cornuke) 박사와 아폴로 15호에 동승했던 짐 래리(Jim Larry) 또한 라오즈산을 정탐... / 27쪽 - 헤지라력... 동양의 월(음)력과 비슷... 무하람(1월), 싸파르(2월), 라비I(3월), 라비II(4월), 쥬마다I(5월), 쥬마다II(6월), 라잡(7월), 샤반(8월), 라마단(9월), 샤왈(10월), 알카다(11월), 하지(12월). 이슬람교는 1년에 두 달, 즉 라마단과 하지의 달을 절기로 지킨다. / 30쪽 - 하지는 일 년 동안 지은 죄를 대속받는 기간이다. ... 회교도들의 제1의 성지인 메카로 가서... 하지가 끝날 무렵인 10일에서 14일까지 ‘이드 알 아드하(Id al Adha: 속죄제)’라 하여 양을 죽이면서 축제가 시작된다. 하지 기간의 첫째 날은 ‘미나’ 평원의 북쪽에서, 둘째 날은... ‘아라파트’ 산에서, 셋째 날은 메카의 ‘카바’라는 검은 장방형의 대사원에서 기도한다. ... 다섯째 날은 다시 메카에 있는 대사원을 일곱 번 도는 것으로 끝이 난다. 이것을 ‘싸이(질주)’라고 하는데, 하갈이 이스마엘을 위해 물을 구하려고 일곱 번 뛰어 다녔다는 데서 유래한 의례이다. / 31~32쪽 - 종교의식 복장은 ‘이흐람’이라는 커다란 흰 타월 두 장... 라마단 기간... 무타와(Mutawa: 종교 지도자)... 아바야(여인들이 겉옷 위에 걸치는 검은색 망토).../ 32~33쪽 - ‘미디안’... ‘메다인’과 ‘마다인’에 가까운 발음 / 35~36쪽 - 미디안 땅은 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 나바테아인(Nabataeans: 이스마엘의 장남 느바욧을 일컫는다)의 유적지가 산재해 있는 곳 / 36쪽 - 와디 무사(Wadi Musa: 모세강, 아랍인들은 무사로 발음한다. 와디는 비 올 때만 형성되는 마른 강) / 48쪽 - 쌀라(회교도 예배)... 이맘(Imam: 회교도의 예배를 집전하는 종교 지도자) / 52쪽 - 라오즈산은 해발 2,400m가 넘고, 정상에는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1985년에 맺은 ‘평화의 방패(Peace Shield)’라는 조약에 따라 미국이 20조 달러를 들여서 시공한 레이더 기지가 있다. / 55쪽. 72쪽에 의하면, 현지에서는 알라(하나님)의 산, 무사(모세)의 산으로 불리고 있다. - 베두인(Bedouin) / 55쪽 - 신을 벗는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의 함축된 뜻... 하나는 자기의 권리 주장을 전혀 하지 못하는 종으로서의 모습이며(삼하15:30), 또 하나는 그것을 약속의 징표로 삼았다는 것이다(룻4:7). / 68쪽. 출3:4-5는 이 두 가지 경우 모두에 해당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바드에 가면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집터... / 72쪽. 396쪽에 보면, 나중에 푸른 바탕에 영어로 아랍어로 ‘Shuaib Villege(이드로 마을)’라고 쓰인 간판이 세워졌다고 한다. - 모세가 처음 떨기나무에 현현하신 하나님을 만나고 샌들을 벗은 거룩한 장소는 호렙산 뒤쪽이며 르비딤이다. ... 출애굽기 한 권만 보면 호렙산과 시내산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지만, 신명기에서부터는 뒤섞여 있다. ... 하나님이 모세에게 법도와 율법을 주신 곳은 시내 광야 동편에 있는 시내산이다. 모세는 왜 이산을 시내산이라고도 하고 호렙산이라고도 했을까? ... 같은 산인데 산의 동쪽과 서쪽 위치에 따라 이름을 다르게 부르는 것... 고지도 사본에는 라오즈산을 따라 서남쪽으로 내려가다가 끝나는 산을 호렙산(해발 1890m)이라고 분명히 명시하고 있었다. 또 ‘쓰나’에 가깝게 발음되는 ‘시나이’라는 아랍말은 낙타 등에 있는 두 개의 낙타 봉을 뜻한다. 한 산에 두 개의 봉우리를 역시 ‘시나이’라고 한다. ... 호렙산이든 시내산이든 산의 밑 둥지(Mountain Foot)는 시내 광야를 끼고 서 있었다. / 73~74쪽. - 에인 무사(Ain Musa: 모세의 우물) / 78쪽 - 사막 지역에는 오아시스, 에인(Ain), 비르(Bir)가 있다. ... 오아시스는 사막 한가운데 물이 고여 있어서 나무와 그늘이 있는 곳을 말하고, 에인은 물이 땅에서 솟구쳐 올라오는 웅덩이를 말한다. ... 비르는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지하수를 모아놓은 우물이다. 구약성경의 ‘브엘세바’는 일곱 개의 우물을 뜻하는 히브리어와 흡사하다. / 79쪽 - 숄마(Sholma: 아랍식 샌드위치) / 79쪽 - 이슬람교도들은 하루에 다섯 번씩 알라신에게 쌀라(제사)를 지낸다. ... 동트기 전인 ‘파즈르(Pazr)’, 해가 중천에 떠 있는 ‘주흐르(Juhre)’, 오후에 그림자의 길이가 자기 키 높이와 같을 때인 ‘아스르(Asre)’, 해가 지자마자 ‘마그립(Magrib)’, 밤에서 새벽 사이인 ‘이샤(Isha)’... / 79쪽 - 쌀라를 하기 전에 ‘우드(Wud: 제사 전에 행사는 의식)’라 하여 물로 얼굴을 일곱 번씩 씻고 신체의 각 구멍마다 일곱 번씩 헹궈 내며 손에서 팔꿈치까지, 발에서 무릎까지 일곱 번 씻는다. / 80쪽 - 지구 전체에서 바다가 차지하는 비율이 75%인 것처럼 우리 몸속의 피와 수분도 75%를 차지한다. 지구축의 기울기만큼 심장도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지구의 자장이 7.83Hz인 것처럼 우리의 뇌파도 동일하게 7.83Hz이다. / 92쪽 - 론 와트 팀은 영국 해군사령부가 위성 촬영한 홍해 지도를 통해 누웨이바 해안에서 홍해를 가로질러 미디안(사우디아라비아) 땅까지의 바닷길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 누웨이바 해변, 즉 시나이반도 쪽에서 경사가 6도 기울기로 서서히 바다 속으로 내려가다가 다시 완만한 넓은 길이 바다 건너편 미디안 땅까지 연결되어 있다... 그 바닷길을 조사하던 중에 애굽 병거들의 바퀴를 홍해바다 속의 산호더미 속에서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 118쪽. 237쪽에 의하면, ‘맞은 편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디안 땅의 수르 광야로 6도 기울기로 올라간다. 또 그 폭이 수 킬로미터에 해당하며, 반면에 누웨이바 외의 다른 지역의 홍해 바닥은 모두 1,200m의 낭떠러지로 급변한다. 론 와트 다이버 팀의 조사에 의하면... 해저 도로의 가장 깊은 곳은 200m밖에 되지 않는다...’ - ‘홍해’를 놓고 일부에서는 갈대바다(얌쑵)라고도 한다. 그 당시 애굽인들에게 죽음은 곧 내세와 직결되었다. 고대 애굽인의 장례 관련 문서에서도 죽은 자의 영혼들이 내세로 들어갈 때 ‘갈대바다’를 건너간다고 표현했다. ... 모세는 ... 그들의 종교적 특수용어인 ‘갈대바다’의 의미를 알고 있었을 것이다. ... 그들이 홍해를 건너 안전한 땅으로 간 것을 모세는 ‘갈대바다’로 표현했을 것이다(≪고고학과 구약성경≫, 알프레드 J. 허트, 강대흥, 미스바, 224쪽). 라훔 M. 사르나 교수도 애굽의 기록들을 통해 지중해와 홍해를 구별하지 않고 ‘푸른 바다(Green Sea)’로 사용했던 점을 들어 홍해와 갈대바다는 동일한 바다라고 주장했다. / 118쪽 - ‘앗뜨랏드(Atrat)’... ‘고고학 지역’이라는 뜻 / 128쪽 - 고센 지역뿐 아니라 애굽 전역에 걸쳐서 ‘아피스’라는 황소 신과 ‘하토르’라는 암소 신을 섬겼다. 두 신 모두 얼룩소 문양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144쪽 - 광야에서 유목민 생활을 하는 베두인들은 우물을 놓고 끈질기게 싸우지만 예쁜 여인이 있으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빼앗으려고 한다. / 168쪽 - 얀부(Yanbu)... 세계에서 제일 큰 정유공장이 있는 곳... 그곳에서 팔려나가는 기름은 공식적으로도 하루에 1,400만 배럴... 코란 경전에는 ‘자카트’라 하여 수입의 2.5%(40분의 1)를 정부에 내도록 되어 있다. ... IDB(Islamic Development Bank)... / 172쪽 - AP통신 2002년 2월 19일 토요일자에 2002년 2월 26일에 있을 로마 교황 폽 존 바울 2세의 이집트 시나이반도의 시내산 성지 순례는 잘못된 방문일 수도 있으며 시내산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있을 것이라는 리처드 오스트링 기자가 쓴 기사가 실렸다. ... 근대 구약성서 연구의 최고 권위자이자 78세의 고령에도 하버드대학 명예교수로 있는 프랭크 무어 크로스 교수를 만나 인터뷰를 했다. / 188쪽 - 울라 = 드단(아브라함의 후처인 그두라의 둘째아들 욕산이 낳은 아들, 겔27:15)... 로마의 지배를 받지 않았다... / 196, 199, 200쪽 - 싯딤나무(조각목)... 3~4년에 한 번씩 지나가는 빗물을 먹고 그렇게 살아 있는 것이 신기할 따름... / 207, 224쪽에 의하면, 가지와 줄기마다 억센 가시들이 있지만 낙타와 양의 먹이이기도 하다. 무게가 일반 나무보다 배 이상이고 밀도가 아주 조밀하다고 한다. 광야에서 자라는 다른 수종인 로뎀나무로 만든 숯은 화력이 강하고 화기가 오래 간다고 한다. 잎사귀가 침엽수처럼 가늘고 길기 때문에 그늘을 만들기에 적합한 나무는 아니다. - 이슬람교도들은 항상 알라신과 연관지어 말한다. 물이나 음식을 먹기 전에는 “비스 밀라(신의 이름으로 시작한다).”라고 말하고, 마신 뒤에는 “알 함두릴라(신의 이름으로 마친다).”라고 말한다. 인사말이나 헤어질 때도 “인샬랴(신의 은총을 빈다).”라고 말한다. / 210쪽 - 므리바 반석은 약 200m 정도의 산 정상에 우뚝 서 있어서 ... 200만 명에 가까운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떤 위치에서도 볼 수 있도록... 호렙산 뒤쪽에서는 직선거리로 약 500m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위의 높이는 어림짐작으로 20m도 넘어 보였다. 바위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쫙 갈라져 있었다. ... 그 갈라진 틈 사이로 물이 흐른 자국이 또렷하게 남아 있었다. / 215쪽 - 와디 와투르(누웨이바 중간 지점에 큰 산들 사이로 형성된 큰 협곡) / 237쪽 - 가시떨기나무는 아라비아 반도 미디안 지역 전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식물이다. / 246쪽 - ‘합비루’ 또는 ‘하비루’로서 히브리인... / 247쪽 - 합셉슈트 공주는 투트모세 1세의 딸로 태어나 아버지의 첩(아이시스)에서 태어난 이복형제인 투트모세 2세와 결혼했으나 자식을 낳지 못했다. 투트모세 3세는 다시 첩을 얻어 투트모세 3세를 낳았다. ... 합셉슈트는 나일 강변에서 히브리 아이인 줄을 알면서도 갈대상자에서 건져 올린 모세를 양자로 삼았다. ... 합셉슈트의 권력을 등에 업은 히브리인 모세와 투트모세 3세의 관계는 묘연해질 수밖에 없었다. ... 40년 후 다시 자기 백성들을 인도하기 위해 애굽으로 찾아왔을 때 투트모세 3세는 애굽을 호령하는 파라오(바로 왕)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 247~248쪽. 지미 둔(Jimmy Dunn)의 논문 ≪시나이반도 세라빗 엘 카딤의 수도원과 광산, The Temple and Mines at Serbit el Khadim in the Sinai≫에서 인용한 내용인 듯. - 세계적인 휴양지... 샤름 엘-셰이크 / 249쪽 - 회교도들 사이에서는 모세가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받을 때 라비스라졸리(푸른빛이 나며 잘 연마하면 진한 청색 잉크빛이 나며, 가끔 금색이 섞여 있기도 한다)라는 돌판에 받았다고 전래되고 있다... 가톨릭 측에서는 사파이어로 믿고 있어서 ... 추기경들은 사파이어 반지를 끼고 있다. / 250쪽 - 시시케밥(양고기를 갈아서 각종 양념을 섞어 길게 만든 다음 꼬치에 끼워 숯불에 구운 것) / 250쪽. 케밥이라고 해서 같은 종류가 아니구나! - 에서의 후손인 에돔족의 수도였던 페트라... 페트라에서 가장 놓은 하룬산(Jabal Harun: 아랍인은 이스라엘 초대 대제사장이었고 모세의 형인 ‘아론’을 ‘하룬’이라고 부른다)은 해발 1,500m에 이른다. 그 정상에는 하얀 모스크가 하나 있고, 그 안에는 아론의 무덤이 있다(민33:29). ... 신약 시대에 와서는 여기를 ‘이두매(Idumae)’라고 부르는데(막3:8 참조), 이는 곧 에돔을 두고 하는 말이다. 고고학적인 자료에 따르면 이두매는 BC 13세기에 창건되었고 에서의 후손에 의해 세일산이라고도 불렸다(≪CLP 성경사전≫ , 기독교문화사, 938쪽). / 252~255쪽 - 현지 마을 사람들이나 베두인들까지도 이구동성으로 그곳은 이드로의 집터라고 했다. ... 아랍말로는 ‘베이트 쇼합’... 코란에는 모세의 장인 이름이 쇼합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257쪽 - 이드로의 우물... 모세의 우물... 둘레는 4m, 깊이는 10m 정도... 우물 위쪽에 있는 반석 하나... / 264, 266, 267쪽 - 이드로의 집터는 동산의 3분의 2 지점에 있는 토굴형 집... 몇몇 학자들은 바드의 이드로 집터를 나바테아인의 무덤이라고 여기지만... / 269, 272쪽 - 지금도 사우다아라비아 북부지역에는 그들이 수천 년 전에 불렀던 지명이 그대로 불리고 있다(창25, 수15:52, 대상1:30, 사21:11). / 287쪽 - 타북 입구 어딘가에 있을 와디 바가르(소 골짜기. 그곳 골짜기의 수많은 바위에 소 그림이 그려져 있어서 생긴 이름)... 가데스 바네아로 추정되는 꾸레이야(Qurrayh) / 288쪽 - 성경 고고학자들은 시나이반도 중에서 아래 약 3분의 2지점의 중앙을 바란광야라고 말하며, 그곳에서 위쪽 방향으로 45도 정도 북동쪽에 있는 곳을 가데스 바네아라고 주장한다. ... 주의해야 할 것은, 그들은 시나이반도에 있는 무사산이 ‘시내산’이라는 가정 아래 모든 지명들을 짜 맞추기식으로 불였다는 사실이다. / 299~300쪽. 창25:17-18을 보면, 하윌라는 아라비아 땅이고, 술은 애굽 땅 앞에 위치하고 있었다. 에시온 게벨, 즉 아카바다 아라비아와 애굽이 나눠지는 경계점이다. 이상은 301쪽의 설명. - 가데스 바네아... 200만이 넘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 37년 6개월(민33:19-36) 동안 천막 생활을 하면서 지냈던 곳 / 303쪽. 인근의 20여 채 가옥밖에 없는 아이나 마을에서 무려 35km 떨어진 사막 한가운데임에도 수천수만 개의 고대 무덤들이 있다. - 14,508일(38년 6개월) 동안에 120만 명(남녀 각각 60만 명)이 죽었다면, 하루에 85명꼴로 죽은 셈이다. / 304쪽. 레온 우드(Leon J. Wood) 박사가 쓴 ≪이스라엘의 역사≫ - 타이마는 옛 고대 도시로 Taima 또는 Tema, Teima로 불렸다. 바벨론의 마지막 왕이었던 나보니두스(Nabonidus, BC 553-543)가 왕으로 즉위한 지 3년 되던 해부터 아들 벨사살이 섭정하게 하고 신(Sin)이라는 초승달 신을 섬기기 위해 10년을 거기에서 지냈다는 기록들이 여러 문헌들과 유물에 남아 있다. ... 페르시아가 바벨론을 함락할 당시에 바벨론에는 벨사살이 왕으로 있었음이 밝혀져 성경이 얼마나 정확한지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 317쪽. 1924년 시드니 스미스가 대영박물관에서 찾아낸 점토 문헌을 해독하여 쓴 책 ≪나보니두스에 관한 이야기≫. - 타이마는 이스마엘의 9번째 아들 이름(욥6:19, 사21:14 “데마”, 렘25:23) / 318쪽 - 타이마 만리장성(Taima Great wall)... / 321쪽. 319쪽은 에인 하제(Ain Haddaji: 니보니두스 우물)에서 1988년에 발견된 ‘타이마 스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322쪽에 의하면, 루브르박물관에 보관된 ‘타이마 스톤’은 1883년에 후버(C. Huber)가 발견한 것이다. - 끝도 없이 펼쳐진 이 수많은 무덤들, 아직도 어느 시대, 누구의 것인지 아무도 모르는 이 무덤들을. 3 X 7km의 면적 안에 8,000기 이상의 밀집된 무덤... 때로는 금 그릇과 부장품들이 함께 출토되기도 하여 도굴범들이 날뛰고 있다고 한다. ... 가는 길목 어디에서나 보이는 무덤들이 너무나 의아하게 생각되었다. / 322, 323쪽 - 아브라함의 장사를 지내기 위해서 이삭가 이스마엘이 막벨라굴에서 다시 만나는 장면...(창25:9) / 342쪽 - 아직도 아랍인, 특히 베두인은 아브라함이 우연 중 마므레 상수리나무 아래서 만난 세 사람의 손님을 대접하다가 하나님을 만난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창18). 그래서 불시에 찾아온 낯선 손님 대접하는 일을 귀한 일로 여긴다. / 345쪽 - 만나와 맷돌(민11:8) / 351쪽 - 와디 아사피르(W. Asfir)... 아에란산(Jabal Aeran)... 거의 6 X 5m에 달하는 커다란 바위에 그려진 암각화에는 히브리어가 있고, 바로 왕 시대의 마차를 탄 병사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 마차는 기원전 3500~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인이 사용한 것... 수메르인이 개량하여 사용... 이집트로 넘어 오면서 더 가볍고 간편하고 빠르게 달릴 수 있도록 고안... 투트모세 3세 때는 마차를 대량생산해서 군사용으로 사용... / 361, 363쪽. - 타북 일대... 와디 아타나는 야후드(히브리인)가 살았던 곳 / 387쪽 - 라오즈라는 말이 원래 아몬드라는 뜻... 성경을 찾아보니... 대신 살구나무라는 말... NIV와 킹 제임스 버전 성경을 찾아보니, 살구나무가 아니라 아몬드나무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이 보였다(창30:37, 출25:33-34, 37:19-20, 민17:8, 전12:5, 렘1:11 등 모두 8군데) ... 아론의 싹 난 지팡이도, 성막의 집기인 등대로 사실은 아몬드나무로 만들어진 것이라니... / 391쪽 - 시나이반도의 시내산이 진짜 시내산이 아닌 9가지 이유(398~402쪽, 파란 색은 요약임) ① 시나이반도는 당시에 애굽의 땅이었다. 1967년 이스라엘에 의해 침공 당하기 전까지 한번도 외부인의 침략을 받아본 적이 없는 애굽 땅이었다. ② 이스라엘은 이집트에서 조상들의 흔적을 찾아내지 못했다. 1967년 6일전쟁 이후 1982년 4월까지 15년 동안 이스라엘은 시나이반도를 다스리면서 조상들의 흔적을 찾았으나 실패했고, 무사산을 시내산이 아니라고 단정지었다. 《The Jewish Encyclopedia》 vol. 14. ③ 시나이반도의 시내산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시나이반도를 지나기 3천여 년 전부터 ‘신(=시나)’라 불렸다. 시나이의 어원은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디아 말 ‘신(Sin)’에서 유래... 약 5,000년 전부터 이 지역에서 달신을 섬긴 데서 전승... 알프레드 하워드(Alfred J. Howorth)의 저서 《고고학과 구약성경 Archaeology and the Old Testament》에 의하면 메소포타미아의 주신은 ‘아누(Anu)’이고, 차등에 해당하는 ‘달신’은 아브라함 당시에 ‘우르’ 지역에서 ‘신(Sin)’이라고 했다. 그 이전에는 ‘난나(Nana)’라 항 어둠, 달, 음력을 주관하는 신이었다. 이 달신은 ‘신’은 아라비아 전 지역과 시나이반도로 급속히 전파되어 갔다. ‘마루둑(Marduk)’은 태양과 마술의 신으로 추앙받다가 메소포타미아의 주신으로 등극한다. ④ 시나이반도의 시내산은 기원후 527년 순례객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급조된 성지일뿐이다. 성경고고학의 대가였던 요세푸스는 아라비아의 미디안 땅에 시내산이 있다고 주장했다(출2:15-16, 3:1, 4:19, 18:1, 민10:29, 22:4,7, 25:6). ... 로마교황청은 시내산을 순례하고자 하는 그리스도인의 성화에 못 이겨 기원후 527년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때 무사산의 북서쪽 언덕빼기에 캐더린 성당을 세운다(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그러나 주후 5세기 이전에 그 어느 기록에도 거기를 시내산이라 부르거나 기록한 적이 없다. ⑤ 출애굽해서 십계명을 받기까지 11개월 5일 동안 애굽 땅에 있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⑥ 애굽 왕자로서 애굽 땅을 잘 아는 모세가 애굽 군인들이 많은 곳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데리고 갔을 리는 없다. 무사산에는 지금도 구리와 터키석을 비롯한 광산이 있다. 이 광산은 출애굽 당시의 바로왕 이전부터 채굴이 시작됐던 곳이다. ⑦ 시나이반도는 르비딤과 호렙산 사이가 48kmsk 떨어져 있어 성경과 다르다(출17:6). ⑧ 시나이반도의 무사산 앞에는 250만 이스라엘 백성들이 다 앉을만한 광야가 없다. ⑨ 기존의 출애굽 경로에 의하면 홍해를 건널 필요가 없다. - 진짜 시내산이 미디안 광야에 있는 8가지 이유(402~406쪽, 파란 색은 요약임) ①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 땅은, 예로부터 미디안 땅이라고 불려 왔다(창25:1-3). 미디안은 아브라함 후처인 그두라의 자손 중 한 명... 미디안의 형제 중 하나인 욕산이 드단(현재의 알 울라)을 낳았다. 드단은 알 울라의 옛 이름이고, 나바테아인의 유적이 수도 없이 산재해 있다. ② 하나님은 구약 시대부터 이미 아라비아와 미디안에 관해서는 명명백백하게 구분해 말씀하신다(아라비아: 왕상10:15, 미디안:창25:2, 출2:15). ③ 애굽 왕자 모세가 애굽 사람을 죽이고 도망간 곳이 성경에 시나이가 아닌, 미디안이라고 분명히 명시되어 있다(출2:11, 3:1-12). ④ 하나님은 모세에게 모세가 살고 있는 미디안 땅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데려오라고 말씀하셨다(출3:12). ⑤ 홍해를 건너 그들이 수르 광야로 들어가 물을 찾아 사흘 길을 헤매다가 마라의 쓴 물을 달게 마시는 장면을 생각해 보라(민25:15). ⑥ 모세의 장인 이드로(Jethro)는 분명히 아라비아 사람이요 미디안 땅에 산다고 했지, 시나이에 산다고 한 적이 없다. 이스트 테네시 주립대학 도서실에 소장된 지도에는 바드 옆에 이드로(Jethro)라 표시하고 있다. 이슬람 경전에서는 모세의 장인을 이드로(Ma'ghair Shuaib)라고 명시해 놓았다. ⑦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아말렉족과 전투를 벌였다고 했는데, 아말렉족은 미디안 광야 인근에 살던 아라비아인이다. 르비딤에 도착한 이스라엘 백성들 중 뒤처진 약한 자들과 아녀자들을 아말렉족들이 잡아가자 전투가 시작됐다. ... 에서의 아들 엘리바스와 첩 딤나에서서 아말렉을 낳았다고 한다(창36:12). 아말렉 족장은 에돔 땅에 있다(창36:16). 에돔족들의 수도는 현재 요르단에 있는 세계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이며 영화 <인디아나 존스>의 촬영 장소로도 널리 알려진 ‘페트라’이다. ‘작은 페트라’라는 ‘메다인 살레’에 에돔족들의 문화유산이 아직도 남아있다. 아말렉족이 막강한 애굽 군사들이 진치고 있던 시나이반도에 들어와 이스라엘 백성들과 싸움을 할 수는 없다. 창25:18, 창2:11, 삼상15:7을 보면 아말렉은 아라비아 북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살았다. ⑧ 사도 바울은 시내산의 위치를 아라비아에 있는 산으로 정확하게 기록했다(행7:29). - 시내산이 미디안에 있다는 성경의 증거: 출2:15, 3:1, 3:12, 4:18, 4:19, 갈4:25 / 406쪽 |
출처: 하내미 원문보기 글쓴이: 하노이아웃사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