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가사항 범위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허가사항 범위이지만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고시 제2009-13호)
- 아 래 -
- X선 촬영 소견상 뼈의 Paget's Disease 및 이상 부위 골화 (Heterotropic Ossification)가 확인된 경우
- 골다공증에 투여시에는 골다공증 치료제 일반원칙에 의하여 요양급여를 인정함
(적용일 : 2009.2.1)
※ 관련근거
·Martindale 2007, Thirty-fifth. ed. ·ROTE LISTE 2008
·DRUGS IN JAPAN 2008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th ed.
·Goldman : Cecil Medicine, 23rd ed.
·Kelley's Textbook of Rheumatology, 7th ed.
·대한정형외과학회 편저, 정형외과학 제6판, 2006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medical guidelines for clinical practic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2001 edition, with selected updates for 2003, Endocr Pract 2003 Nov-Dec;9(6):544-64.
·NICE TA 2005 Jan. Bisphosphonates (alendronate, etidronate, risedronate), selective oestrogen receptor modulators (raloxifene) and parathyroid hormone (teriparatide)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gility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SIGN 2003 Jun. Management of osteoporosis. A national clinical guideline.
※ 개정사유
허가사항(효능·효과)이 추가됨에 따라 골다공증치료제 일반원칙에 의하여 요양급여를 인정합니다.
▶ 종전고시 : 고시 제2001-28호(2001.6.8)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고시 제2013-127호)
- 아 래-
가. X선 소견에서 뼈의 파제트병(Paget's Disease) 및 이상 부위 골화 (Heterotropic ossification)가 확인된 경우
나. 골다공증에 투여 시에는 골다공증 치료제 일반원칙에 따라 인정
* 시행일: 2013.9.1.
* 종전고시: 고시 제2009-13호(2009.2.1.)
* 변경사유: 용어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