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시 : 2025.1 . 19. 06 : 00 ~ 부산출발.
산행구간 : 신의터재~무지개산~윤지미산~화령재
0. 신의터재~무지개산(오르락내리락)
거리 : 약 4,7 km.
시간 : 약 2시간10분.
0. 무지개산~윤지미산(오르락내리락윤지미산 ~핵~)
거리 : 약 4.8 km.
시간 : 약 2시간40분.(식사)
0. 윤지미산~화령재(급 하산과 오르락 내리락~)
거리 : 약 2.8 km.
시간 : 약 1시간 30분.
산행거리 : 약 12.3 km.
산행시간 : 약 6시간20분(후미내기준)
날씨 : 흐림.(산행하기 좋은 겨울 날씨)
동행자 : 사진 참조.
"신의 터재"
▲ 신의터재(해발 280m)
신의터재 유래는
임진왜란 때 김준신이란 의병장이
이곳 신의터재에서 창의의 깃발을 높이 올려
상주성에서 수많은 왜적을 죽이자
왜병들이 이를 보복하기 위해 판걱리에 침입해
마을 사람들을 닥치는 대로 학살했는데
당시 부녀자들은 욕을 당하지 않으려고
낙화담 너른 못에 몸을 던져 죽었다 해서
'낙화담(落花潭)'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으며
그 고개를 신의터재라 불렀다 한다
신의터재는
임진왜란 이전 신은현이고 불렸던 고개로
임진왜란 때 최초의 의병장이었던
김준신이 의병을 모아 큰 공을 세우고
임진년 순절한 후부터 신의터재로 불렸으며
그러나 일제강점기 때 민족정기를 말살한다고
어신재로 개명되었으나 광복 50주년을 맞아
옛 이름을 되찾은 사연 많은 고개이다.
무지개산(해발 441.4m)
경북 상주시 내서면 어산리와
화동면 선교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상주시청 자료에 따르면
내서면 어산리 쪽에 무지개폭포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윤지미산(해발 538m)
이번 구간의 최고 높은 해발 538m의 산이다.
경북 상주시 내서면과 화서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언제부터 윤지미산으로 불려지게 되었는지 유래는 알 수 없다.
▲화령재(火嶺, 해발 320m)
소백산맥의 줄기를 타고 북으로 조령,
남으로 추풍령과 연하여 화령으로 불리워 왔다(택리지 기록)
신라 때는 연비군(蓮匕郡), 경 덕광 때에는 화령군(化寧郡),
화령이란 지명은 고개 이름이 火嶺에서 연유된다
고려 때에는 화령현으로 지금은 화서면이다.
첫댓글 다들 수고 많았습니다
감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