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 백 석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 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 밖에 나가지도 않고 자리에 누워서, 머리에 손깍지베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새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 울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 스스로 화끈 낯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또 눈을 떠서 높은 천장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때 나는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 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 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여 여러 날이 지나는 동안에,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은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꿇어 보며, 어니 먼 산 뒷옆에 바우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어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 <학풍>(1948) - 해 설 -------------------------------------
[ 개관 정리 ] ■ 성격 : 산문적, 고백적, 사변적, 분석적, 의지적 ■ 표현 : 산문적 진술에 의존 독백체의 어조 ■ 시어 및 시구의 함축성
* 삿 → 삿자리의 준말. 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 * 쥔을 붙이었다 → '주인을 붙이다'. 주인 집에 세를 얻어 기거하게 되었다. 세를 들었다. * 딜옹배기 → 둥글넙적하고 아가리가 넓게 벌어진 질그릇. * 북덕불 → 짚이나 풀 따위를 태워 담은 화톳불. *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새김질하는 것이었다. → 슬픔과 어리석음으로 점철된 회한의 삶을 되돌아보는 성찰의 기회를 가짐.
*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 어리석게 살아온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그 슬픔을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시적자아는 격렬한 감정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며, 이 순간 시적자아의 내적 갈등은 그 정점에 달하게 됨. * 이때 → 시상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부분 * 이것들 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 내부에 갇혀 있던 의식을 외부로 향하게 함으로써 마음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됨. 절대적 존재자를 떠올릴 만큼 겸허해진 상태에서 한 운명적 개체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있음. * 나줏손 → 저녁 무렵 * 갈매나무 : 갈매나무과의 작은 낙엽활엽수. 골짜기 개울가에 나는데 높이 2m, 가시가 돋고 늦봄에 꽃이 핌. ( 현실극복을 위한 의지의 표상 ) *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 눈을 맞으며 깨끗하고 단단하게 서 있는 갈매나무의 이미지가 시적자아로 하여금 삶의 고달픔과 외로움, 그로 인한 내면적 고뇌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함.
■ 주제 ⇒ 운명론적 삶의 확인과 자기 성찰 ■ 제목 : " 남신의주시 유동 마을에 사는 박시봉이라는 사람의 방(房) "이라는 뜻으로, 일종의 주소를 나타내는 말로, '박시봉'은 아마도 시적자아가 세들어 있는 집 주인인 목수의 이름일 것이다. . ■ 시적 자아 : 일제 강점기 무기력한 지식인의 자화상
[ 시상의 흐름(짜임) ] ■ 1 ∼ 8행 : 유랑하며 살아가는 쓸쓸한 처지 ■ 9 ∼ 15행 : 무기력하고 무의미한 삶 ■ 16 ∼ 19행 : 자살에 대한 충동을 느낌 ■ 20 ∼ 23행 : 운명론적(결정론적) 삶에 대한 체념 ■ 24 ∼ 32행 : 굳고 정한 갈매나무를 생각하며 삶을 성찰함.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이 시는 가족과 떨어져 객지에 홀로 나와 생활하면서 조용히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작품으로, 한국이 낳은 가장 아름다운 서정시의 하나로 손꼽히기도 한다. 다소 특이한 느낌을 주는 이 시의 제목에서 '남신의주'와 '유동'은 지명(地名)을 뜻하며, '박시봉'은 화자가 기행지에서 세를 든 주인집 이름에 해당한다. 결국 이 시는 남신의주 유동에 있는 박시봉이라는 사람의 집에 세들어 사는 화자가 자신의 근황과 심경을 편지 쓰듯 적어 내려가는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작품의 문맥으로 볼 때, 박시봉이라는 사람은 목수 일을 하는 사람임을 알 수 있으며, 화자는 그 곳에서 가족과 떨어져 자신이 지나온 삶을 되새기고 있다. 그런 만큼 우리는 이 시에서 홀로 객지에서 외롭게 생활하는 화자의 절실한 내면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
화자는 슬픔과 어리석음으로 점철된 자신의 지난 삶을 되새김하는 소처럼 회상하면서, 끝없는 비애와 영탄에 빠져들고 있다. 그런데 화자는 자신이 그렇게 살아온 것이 인간의 의지를 넘어선 운명론에 의해 결정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탓으로 화자는 자신의 슬프고 부끄러운 삶을 자신의 숙명으로 받아들이면서 체념을 하기에 이른다. 즉 삶에 대한 운명론적, 수동적 세계관에 갇혀 있는 넋이다. 그러나 그는 그런 가운데서도 어둡고 슬픈 현실 속에서, 눈을 맞고 서 있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처럼 굳세고 깨끗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이 시는 현실에 맞서는 치열한 의식을 보여 주고 있지는 못하지만, 현실의 아픔을 수용하고 그것을 마음 속 깊이 새기면서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겠다는 굳건한 삶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우리는 이를 통해 한국인의 내면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인생관의 한 단면을 읽을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시상의 전개 과정을 통해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자신의 무기력한 현실 대응 방식을 반성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