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대 불변이 아니요
답이 아니라는 점부터 참고^^
ㅡ즉, 그냥 술잔에 잔을 채운 뒤 가슴으로 살짝 당겼다가 올립니다ㅡ
기제사에는 시계방향,
장례기간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하는데
이것은 본래 불가의 풍습이라 하여
잔을 돌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함.
근원을 살펴보면
불교의 예법에
높고 귀한 분에 대한 지극한 공경의 표시로
오른쪽 어깨를 상대방으로 향하게 해서
상대의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도는
우요삼잡이라는 예법이 있는데
제사를 지내면서 그렇게 돌 수는 없으니까
대신 술잔을 돌리는 형태로
변형된 의례라 설명도 있다.
또 옛날에는
동쪽은 봄, 남쪽은 여름, 서쪽은 가을, 북쪽은 겨울에 해당하므로
계절의 순서에 맞추어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하면
시계방향이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방향이 된다.
* 장례기간에 상주는
부모를 지키지 못하고 돌아가시게 한 불효자라는 생각으로
불편한 옷을 입고 의례를 행하는데
이와 같이 불편을 감내해야 하므로
평소 일상생활에서 익숙한
오른쪽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돌리지만,
* 기제사는 돌아가신 고인을 뵙는 좋은 날이므로
'길사'라 하여 술잔도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 잔을 그냥 올리지 않고 왜 잔을 돌릴까?
이것은
거한(去寒)이라 하여
향로 위에서 돌림으로써
술을 따뜻하게 하고,
또 향의 기운으로
나쁜 기운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하는 정화의 의미도 있다.
▶ 왜 세 번 돌릴까?
이것은 하늘에 고하고 땅에 고하고 세상 만물에 고하는 의식으로
태초부터 우리 민족에게 내려오는 삼(參)사상 때문이다.
(제사음식도 3을 단위로 삼색전, 삼색나물, 삼색과일)
3신
ㅡ환웅 환인 단군,
ㅡ하늘 땅 인간. (삼신당 삼신각)
삼ㅡ태(胎) ㅡ탯줄이 삼줄.
ㅡ환생 재생 부활의 의미
ㅡ새로운 시작.
ㅡ삼신 할머니 삼 세판의 일상 용어.
불교와 유교 영향에
조선시대 말기에 양반자리를 사고팔면서
갑자기 양반이 된 사람들이
자기의 위상을 표내기 위해서 행한
변질된 문화가 많아서
현 시대와는 동떨어진 부분이 많다.
전혀 몰라도 된다고 보는건
마음의 문제요
올바른 자세로 열심히 살고
후손들이 서로 잘 소통하여
우애있게 지낸다면
형식에 결코 연연치 말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