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KBS는
대전지역 방송을 대표하는
주요한 언론사임과 동시에 대전시민들의 공기와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KBS 대전방송총국 사람들과 프로그램 그리고 몇 가지 주요 사항들을 살펴보도록 할께요.
program.kbs.co.kr/1tv/local/discussion
<KBS 생생토론>
대전 KBS 생생토론은 지역의 대표 프로그램의 명성을 지키겠습니다. 지역에 새로운 토론 문화를 만들겠습니다. 진솔하고 생산적인 토론으로 대안 제시와 화합을 이끌겠습니다.
방송 KBS 1TV 매주 금요일 오후 7시40분~8시30분 (50분)
제작 양민오
작가 김민영
연출 황정환
program.kbs.co.kr/1tv/local/morningdj
<아침마당 대전>
우리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진솔하게 전하는 시간
방송 1TV 매주 금요일 오전 08:25~09:30
제작 김연선
연출 신예슬
작가 이홍희
진행 최연수 아나운서, 박명원 아나운서
program.kbs.co.kr/1radio/local/djssnews
<KBS대전 생생뉴스>
대전, 세종, 충남 지역에서 발생하는 매일매일 뉴스와 청취자들이 궁금해하는 소식, 뉴스 뒷이야기를 전하는 정통 시사보도 프로그램
편성 KBS 1라디오 월-금 08:30
제작 유진환
작가 조미연
출연 유진환
program.kbs.co.kr/1tv/local/neighbor/
<TV 이웃 다정다감>
2012년 07월 30일 ~ 2022년 09월 16일
매일 저녁 5시 30분, 다양한 정보와 다양한 감동이 찾아갑니다.
대전, 세종, 충남지역의 중요한 소식과 우리 생활에 밀착돼 있는 생생한 정보, 고향마을 사람들의 구수한 이야기 그리고 다채로운 문화예술 소식까지 TV이웃 다정다감에서 전해 드립니다.
편성 KBS 1TV 수-금 17:30 (30분)
제작 김연선 김웅식
연출 함혜영
작가 김가미 황효진 배지원 김주희
출연 김숙경 아나운서
https://program.kbs.co.kr/1tv/local/sisan
<시사N대세남>
대전·세종·충남의 대표 시사 프로그램 [시사N대세남]은 기존 라디오 프로그램인 [5시N 대.세.남]을 TV로 확장하여 라디오의 긴밀함과 TV의 생생함을 연결하겠다는 취지다. 시청자들의 제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 과정을 함께 고민하는 ‘이럴 수 이슈’, 지역에서 살아가는 개인의 삶을 통해 시사적 의제를 던지는 인터뷰 코너 '현지인', 지역의 전문가들과 함께 현안을 논의해보는 '집중인터뷰' 등의 코너를 통해 시청자를 만난다.
방송 TV 화 저녁 7시 40분 ~ 8시 10분(30분)
제작 김연선
연출 고하늘 곽효원
작가 김정미 조연미 김화정
출연 김연선
program.kbs.co.kr/1radio/local/magazinedsc
2017년 01월 02일 ~ 2018년 06월 01일
<라디오 매거진 대전세종충남>
인터넷포털같은 라디오로 매일 쏟아지는 수많은 정보 가운데 알아둬야할 생활교양정보를 라디오라는 편안한 매체로 일부러 찾지않아도 알아서 더 쉽고 친절하게 전달하는 프로그램
매일코너
(월-금) 날씨 매일 저녁 퇴근길 현재날씨와 다음날 날씨 전달
(월-금) 오늘의 화제 지역현안, 이슈가 되는 내용을 초대, 전화연결해 자세하게 살펴봄
(월-금) 생활정보 간단하고 요긴한 생활정보, 살림의 팁
주간코너
(월) 내마음이 이래요 심리상담, 사회현상 해설
(월) 쏙쏙 들어오는 살림경제 부자되는 방법
(월) 주간 스포츠 스포츠뉴스와 화제
(화) 100세인생 건강비법 건강상담, 건강이슈 해설, 건강을 위한 제언
(화) 머릿속탐험 재밌는 뇌이야기 뇌에서 벌어지는 신기한 과학, 뇌운동법
(화) 알쏭달쏭 클래식 알 듯 모를 듯 궁금한 클래식음악 제목 맞추기
(수) 차근차근 법률상식 법률상담
(수) 오늘의 현장 화제의 현장 취재
(수) 스튜디오미술관 지역 미술계 동향과 미술가의 작품이야기
(목) 청년백서
(목) 더 친절한 뉴스 뉴스 속에 담긴 어려운 단어와 과정을 알기쉽게 해설
(금) 주제토크 이슈, 현안, 트랜드에 관한 미니토크
(금) 영화산책 개봉작 등 영화계 소식
방송 매주 월~금 오후 4시10분~55분
주파수 94.7㎒/882㎑/89.9㎒/88.1㎒/107.3㎒
제작/진행 전유미
작가 이윤미
<2023년 대전 KBS 아나운서 라인업>
한국방송
대전 KBS 방송총국 연혁 : 프로필
연혁
1943년 07월 15일 대전방송국 개국
1943년 07월 15일 이치마루 쇼 대전방송국장 취임
1944년 10월 01일 45m 목주안테나 설치
1961년 01월 22일 대흥동청사로 이전, 목동연주소는 송신소로 개수
1965년 08월 05일 홍성중계소 개소(510kHz)
1966년 05월 16일 식장산 TV중계소 개소(CH4)
1971년 04월 23일 부여중계소 개소(930kHz)
1971년 11월 01일 홍성출장소 개소
1973년 03월 01일 한국방송공사 대전방송국으로 승격
1975년 02월 10일 천안출장소 개소
1975년 12월 27일 공주중계소 개소(1485kHz)
1976년 05월 29일 대덕송신소 개소(882kHz)
1977년 11월 30일 한국방송공사 대전방송총국 목동 신축 사옥 기공식
1978년 05월 03일 부여출장소 개소
1978년 07월 01일 로컬방송 실시
1978년 11월 17일 대전방송국 목동청사 준공
1978년 11월 20일 계룡산송신소 개소(VHF CH6, UHF CH39)
1980년 01월 30일 금산중계소 개소(1584kHz)
1980년 07월 24일 원효봉중계소 개소(CH12)
1981년 03월 20일 식장산중계소 2TV 로컬방송 실시(CH48)
1981년 05월 25일 FM 스테레오 방송 송출(98.5MHz)
1983년 02월 12일 계룡산송신소 2TV 로컬방송 실시(CH42)
1983년 08월 01일 서산출장소 개소
1984년 12월 01일 대덕, 계룡산송신소, 원효봉, 흑성산중계소 시설운영 KTA에 위탁
1986년 12월 08일 대전방송총국으로 승격
1987년 01월 17일 흑성산종합중계소 신설(1, 2, 3TV)
1987년 07월 20일 공주방송국 개국
1988년 06월 01일 대덕, 계룡산송신소, 원효봉, 흑성산중계소 시설 및 인원 환원
1992년 11월 03일 천안방송센터 개국
1993년 04월 21일 대전방송총국 천안사업소, 홍성사업소, 서산사업소로 명칭 변경
1993년 05월 18일 박응칠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1993년 08월 10일 식장산중계소 1TV 신설(CH56)
1994년 08월 07일 김상수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1995년 02월 08일 윤기로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1995년 05월 01일 천안사업소, 서산사업소 폐소
1996년 04월 22일 전병채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1996년 12월 27일 대전방송총국 홍성방송센터 개국
1997년 03월 14일 대전KBS 대덕송신소, 금산중계소, 홍성중계소 원격제어 운용
1997년 03월 15일 이상덕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1998년 02월 28일 대전KBS 대전방송총국 둔산 신사옥(만년동) 준공
1998년 04월 20일 대전KBS 식장산중계소, 원효봉중계소 원격제어 운용
1998년 07월 15일 대전방송총국 둔산 신사옥(만년동) 준공식
2001년 03월 12일 대전KBS 흑성산중계소 원격제어 운용
2001년 12월 05일 대전KBS 2라디오 FM방송 개국(HLQT-SFM 100.9MHz, 3kW)
2003년 04월 01일 대전KBS 계룡산송신소 원격제어 운용
2003년 05월 09일 신행식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2004년 07월 12일 대전KBS DTV 지상파 방송 실시(계룡산송신소, 식장산중계소)
2004년 11월 01일 대전KBS 공주방송국 폐소(기능조정)
2005년 02월 18일 대전KBS 계룡산송신소, 식장산중계소 교육DTV 방송 실시
2005년 04월 12일 고희일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2005년 12월 26일 대전KBS 흑성산중계소 1TV, 2TV, 교육DTV 방송 실시
2006년 06월 01일 대전KBS 원효봉중계소 1TV, 2TV, 교육DTV 방송 실시
2006년 12월 01일 대전KBS 공주중계소 폐소(방송 구역 중복 중파 송신 시설 효율화 추진)
2006년 12월 14일 길환영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2007년 01월 11일 대전KBS 식장산중계소 DMB방송 실시
2007년 06월 18일 대전KBS 천안방송센터 개소(뉴스 참여 재개)
2007년 08월 01일 대전KBS 지역 지상파DMB 본방송 개국
2007년 11월 08일 대전KBS 계룡산송신소 DMB방송 실시
2007년 12월 13일 대전KBS HD뉴스부조, TOC준공
2008년 01월 04일 대전KBS 계룡산송신소 표준FM 출력 증강
2008년 09월 02일 대전KBS 홍성방송센터 개소(뉴스 참여 재개)
2009년 01월 01일 이승원 KBS 대전방송총국장 취임
2009년 04월 16일 이세강 KBS 대전방송총국장 부임 (이병순 KBS 사장)
2009년 11월 04일 대전KBS 홍성송출센터 개소(공주송출센터 홍성 이전)
2011년 07월 08일 임창건 KBS 대전방송총국장 임명 (김인규 KBS 사장)
2012년 10월 16일 대전KBS 일지상파 아날로그TV방송 송출 종료
2013년 10월 16일 디지털TV 채널재배치 완료
2014년 08월 08일 박상현 KBS 대전방송총국장 부임
2015년 12월 07일 김정훈 KBS 대전방송총국장 부임
2017년 12월 29일 대전KBS UHD 방송 개국
2017년 08월 01일 정지환 KBS 대전방송총국장 발령 (고대영 KBS 사장)
2018년 04월 16일 제56대 이완희 KBS 대전방송총국장 부임
2018년 06월 20일 공주시, 보령시, 금산군, 서천군 21년 UHD 전국방송 위한 채널재배치
2018년 09월 19일 대전KBS 홍성송출센터 이설공사 시행
2021년 12월 11일 황대준 KBS 대전방송총국장 부임
(2023년 현재 대전 KBS 방송총국 시청자 위원회 위원 명단 및 프로필)
이광섭 위원장 한남대학교 총장
김영돈 부위원장 마음편한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박재용 위원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실장
신정섭 위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교사
신현숙 위원 대전학부모연대 대표
오명주 위원 명안과 원장
임전배 위원 문화예술경영인
정미숙 위워 이레건축하사무소 대표
안현준 위원 법무법인 대전제일 구성원 변호사
조은희 위원 목원대학교 교수
|
첫댓글
대세남 괜찮음
스마트폰에서 모바일용으로 보는데 자꾸 화면 버퍼링이 걸려서 보기 힘들더라구요.
음성은 그대로 진행되는데 화면은 자꾸 정지됩니다.
지역방송사 예산이 책정되지 않아서 생기는 일인거 같은데 방송국 본사에서 투자를 과감히 하기를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