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명에 대한 유래경기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한건 고려 현종8년에 역사에 처음 기록 됩니다.고려때 수도는 개경 이었어요.그래서 당시 개경의 지도를 바탕으로"京畿(경기)"의 유래를 따라가 보도록 해볼게요
위의 지도가 당시 개경의 지도입니다.
중심부에 임금이 사는 궁(宮)이 있고 주위로 성곽(城郭)이 보이시죠.경기도의 지명은 바로 임금이 사는 "궁(宮)"에서부터 시작 됩니다.
임금이 사는 궁에서 5리에서10리정도 떨어진곳을 통칭하여 "시(市)"라고 불렀어요.
그리고 "시"에서 10리쯤 밖을 "도(都)라고 불렀어요.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도시"와 같은 말이 여기에서 생겨났답니다.
그리고 "도"에서 10리밖쯤에 "성(城)"을 쌓아 임금이 사는 도시를 방어 하게 됩니다.이렇게 "도"와 "성"을 합해 "도성(都城)"이라 부르게 됩니다.이렇게 만든 "도성"을 통칭하여 "경현(京縣)"이라 하였습니다.임금이 사는 성 안쪽을 모두 "경"이라 합니다.그럼 "도성"밖의 이야기를 해볼께요.
성밖을 당시에 "곽(郭)"이라 하였답니다.임금이 사는 성과 성 밖의 100여리쯤 되는 지역을 통틀어 "성곽"이라 하였어요."곽"에 대해서 잠깐 알아 볼게요.성 밖의 50여리쯤을 "야(野)"라고 하였고 그 외곽 50여리를 "임(林"이라 하였어요."임야"라는 말도 있고 곽은 여기에서 유래된 말입니다.이렇게 "곽(郭)"을 통칭하여 "기현(畿縣)"이라 하였습니다
임금이 사는 도성의 "경"과 성밖 100여리 "기"를 포함하여 "京畿"라고 부르게 된거에요."경기"도에 대한 유래는 그 기원을 알면 재미있는 "도시" "도성" "성곽" "임야"등 여러 지명에 대한 유래도 알수 있어요.경기의 경과 기는 당나라때 사용하던 말이에요.당나라 임금이 사는곳과 그 인근 도성인이 사는곳을 "경현"이라 했고 도성밖을 "기현"이라 했어요.우리는 아직 중국의 문화를 그대로 따르는것이 너무 많습니다
[자료 출처] : http://naver.me/IxvhIGbS
"경기도" 지명에 대한 유래를 아시나요?
[BY 허당]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각 도에 대한 지명에 대해 많이들 아시죠? 음...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
m.pos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