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15:1
공주야!
선물은 존재에 대한 해석과 성찰에 대한 예술이다. 선물은 주고받는 관계의
거리와 상태, 과거와 미래, 필요와 요구가 관철되어야 한다. 적절하지 않는
선물은 주지 않는 것이 낫다. 하나님과 언약관계에 있는 이스라엘이 제물,
곧 합당한 선물을 드리는 방식에 대해 교훈을 받고 있다.
It's a princess!
Gift is the art of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on existence. The distance
and state of the relationship, past and future, needs and demands of the
gift must be fulfilled. It's better not to give an inappropriate gift. Israel,
which is in a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is being taught a lesson in
the way it gives a sacrifice, a reasonable gift.
-
"내가 인도하는 땅에 들어가거든" "내가 주어 살게 할 땅에 들어가거든" 이라
는 말이 얼마나 위안을 주는지 모른다. 이런 불신과 원망과 배신 속에서도
하나님은 자신의 약속을 철회하지 않으셨다. 그 축복을 거절하는 자들에게만
그냥 거절당하기로 하셨고, 그들은 자신들의 선택에 합당한 대가를 치르게
하셨다.
You don't know how comforting it is to say, "You enter the land I lead you to"
and "You enter the land I will give you to live in." Despite this distrust,
resentment, and betrayal, God did not withdraw his promise. Only those who
refuse the blessing have chosen to be rejected, and they have made them
pay a reasonable price for their choice.
-
하나님은 자기 백성이 이미 그 땅을 차지하는 것을 전제로 말씀하신다. 그 일
은 하나님이 반드시 이루실 것이라는 뜻이다. 순종하는 자들이 아무리 소수
라고 해도, 하나님께는 문제가 안 된다. 이 약속을 통해 오히려 믿음을 고취
하고 계신다.
God speaks on the premise that his people already occupy the land. It
means that God will surely achieve it. No matter how few people obey,
it doesn't matter to God. He is rather inspiring faith through this promise.
-
하나님께서 정하신 화제 드리는 율례를 타국인들도 이스라엘 백성들은
물론이고 그 땅에 거류하는 타국인들도 똑같이 지켜야 한다. 그 율례는
임시적인 법이 아니라 주 예수께서 완성하실 때까지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영원한 율례라고 하신다.
The laws and regulations set by God must be observed not only by the
people of Israel but also by the people of other countries living in the
land. It is said that the law is not a temporary law, but an eternal law
that must be followed until the Lord Jesus completes it.
-
거류민들에게도 같은 법도, 같은 규례라는 것을 새삼 강조하신다. 하나님
나라는 이스라엘만의 나라가 아니다. 이스라엘은 증인이다. 먼저 지키고
먼저 살고 먼저 누려서 이웃들에게 하나님 믿고 사는 축복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고, 하나님께 합당한 백성의 도리를 시연하는 것이 제사장 나라로서
이스라엘의 존재 목적이다.
He emphasizes again that the same laws and regulations are the same
for residents. The kingdom of God is not just Israel. Israel is a witness.
The purpose of Israel's existence as a priest country is to protect first,
live first, and enjoy it first, so that neighbors can know what the blessing
is to believe in God and demonstrate the principles of the people
reasonable to God.
-
이스라엘이 드릴 화제, 즉 번제와 희생제를 어떻게 드려야 하고, 또 그와
함께 드려야 하는 소제와 전제를 드리는 법도 소개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세 경우에 화제를 드렸다. 서원을 이행할 때, 자원하여 낙헌제로 드릴 때,
절기에 제사를 드릴 때다. 하지만 목적은 하나였다.
It also introduces how to give Israel a topic, namely burnt offerings and
sacrifices, and how to give them a ritual and premise that they should
share with him. Israel has made headlines on three occasions. When
fulfilling the Seowon, when volunteering to offer a nakheonje, it is time
to offer a memorial service in the season. But there was one purpose.
-
모든 화제는 여호와께 향기롭게 하기 위해서 드렸다. 제물과 함께 소제와
전제를 드릴 때, 희생제물의 등급에 비례하여 소제와 전제의 양도 많아지고
있다. 또 짐승의 수효가 많아질수록 곁들이는 제물, 즉 곡식과 기름과 포도
주의 양도 많아져야 했다.
All the subject matter was given to Jehovah to make him fragrant. When
offering offerings and premises along with offerings, the amount of
offerings and premises is also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grade of
the sacrifice.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animals increased,
the amount of grain, oil, and wine to be served increased.
-
제사는 구원을 받기 위한 조건이 아니라 구원의 은혜에 대한 반응이다.
예배자의 삶은 그 하나님과의 사귐이다. 은혜에 대한 각성과 감사가
예배의 전제 조건이다.
하나님께서 받으시기에 합당한 예배를 드리는 조건은 무엇인가?
A memorial service is not a condition for receiving salvation, but a
response to the grace of salvation. The life of a worshipper is his
relationship with God. Awakening and appreciation of grace are
prerequisites for worship. What are the conditions for God to worship?
-
추가되는 제사 제도(1-3)
희생 제물에 따라 추가되는 헌물(4-12)
a.어린 양과 염소:4-5
b.숫양과 수소:6-12
본토인과 타국인에게 적용되는 제사 제도(13-16)
첫 곡식 가루 봉헌(17-21)
-
여호와께서(1a)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1b)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그들에게 이르라(2a)
너희가 내가 주어 거하게 할 땅에 들어가서(2b)
-
여호와께((3a)
화제나 번제나 서원을 갚는 제나(3b)
낙헌제나 정한 절기 제에(3c)
소나 양으로 여호와께 향기롭게 드릴 때에는(3d)
-
그 예물을 드리는 자는(4a)
고운 가루 에바 십분 지 일에(4b)
기름 한 힌의 사분지 일을(4c)
섞어 여호와께 소제로 드릴 것이며(4d)
-
번제나 다른 제사로 드리는 제물이(5a)
어린 양이면(5b)
전제로(5c)
포도주 한 힌의 사분 일을 예비할 것이요(5d)
-
수양이면(6a)
소제로(6b)
고운 가루 한 에바 십분 지 이에(6c)
기름 한 힌의 삼분지 일을 섞어 예비하고(6d)
-
전제로 (7a)
포도주 한 힌의 삼분지 일을 드려(7b)
여호와 앞에 향기롭게 할 것이요(7c)
번제로나 (8a)
-
서원을 갚는 제로나(8b)
화목제로(8c)
수송아지를 예비하여 여호와께 드릴 때에는(8d)
소제로(9a)
-
고운 가루 한 에바 십분 지 삼에(9b)
기름 반 힌을 섞어(9c)
그 수송아지와 함께 드리고(9d)
전제로(10a)
-
포도주 반 힌을 드려(10b)
여호와 앞에 향기로운 화제를 삼을 찌니라(10c)
수송아지나 수양이나(11a)
어린 수양이나 어린 염소에는(11b)
-
그 마리 수마다 이 위와 같이 행하되(11c)
너희 예비하는 수효를 따라(12a)
각기 수효에 맞게 하라(12b)
무릇 본토 소생이(13a)
-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를 드릴 때에는(13b)
이 법대로 할 것이요(13c)
너희 중에 우거하는 타국인이나(14a)
너희 중에 대대로 있는 자가(14b)
-
누구든지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를 드릴 때에는(14c)
너희 하는 대로 그도 그리할 것이라(14d)
회중 곧 너희나 우거하는 타국인이나(15a)
한 율례니(15b)
-
너희의 대대로 영원한 율례라(15c)
너희의 어떠한 대로(15d)
타국인도 여호와 앞에 그러하리라(15e)
너희나(16a)
-
너희 중에 우거하는 타국인이나(16b)
한 법도, 한 규례니라(16c)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17)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18a)
-
너희가 나의 인도하는 땅에 들어가거든(18b)
그 땅의 양식을 먹을 때에(19a)
여호와께 거제를 드리되(19b)
너희의 처음 익은 곡식 가루 떡을(20a)
-
거제로(20b)
타작마당의 거제 같이 들어 드리라(20c)
너희의 처음 익은 곡식 가루 떡을(21a)
대대에(21b)
여호와께 거제로 드릴 찌니라(21c)
-
내가 주어 살게 할 땅에 들어가서_
I'll go into the land that I'm going to live on
타국인에게도 같은 율례이니_
It's the same rule for other people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드릴 제사들_
sacrifices to be offered in Canaan
-
내 불순종에도 변함없이 구속사를 진행해 가시는 주님,
제물과 함께 소제와 전제를 드릴 때, 희생제물의 등급에 비례하여
드리게 하심으로 평균의 원리를 적용시키신 것을 감사합니다.
오늘도 내 삶이 여호와께 향기롭게 드려지기를 기대합니다.
The Lord, who is still carrying out his confinement in spite of
my disobedience, Thank you for applying the principle of
average in proportion to the grade of the sacrificial offering
when offering the sacrificial offering and the premise with
the sacrifice. I hope that my life will be given to Jehovah
again today.
2023.4.18.tue.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