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굽다 bake
볶다의 어근 볶-이 어원이다.
bake (v.)
Old English bacan "to bake, to cook by dry heat in a closed place or
on a heated surface," from Proto-Germanic *bakan "to bake"
(source also of Old Norse baka, Middle Dutch backen, Old High German bahhan,
German backen), from PIE *bheg- (source also of Greek phogein "to roast")
, extended form of root *bhē- "to warm" (see bath).
터키어 케밥
굽어뿌(굽어의 경상도사투리) -->어원
터키어사전
kebap
[명사] 구이 [형용사] 구운
케밥(kebab)은 작게 썬 고기 조각을 구워 먹는 터키의 전통 요리다.
케밥은 작게 썬 고기 조각을 구워 먹는 터키식 요리를 의미한다.
쿹-->쿧-->쿠르-->구르-->구흐-->굽
캍-->칻-->카르
우리말 갈색 brown은 불에 탄 색을 의미한다.
까맣다 까만 의 어근 까-는 인도 드라비다어의 kar,kal의 변음이다.
맣은 mar 의 변음이 된다.
mar 역시 burn 의 뜻이다.
드라비다어를 봄으로써 우리말의 어원을 정확히 알 수가 있다.
사실 grill 역시 우리말 끓다의 활용형 끓일-->어원
열을 가한다는 말이다.
영어사전
grill
1. 그릴(cooker의 일부로, 위에서 불길이 바로 내려오고 그 아래 음식을 넣어 익히게 되어 ..
그릴
조수육 · 어패류를 석쇠 위에 올려놓거나 꼬치에 꿰어 직접 불에 쬐어 굽는 방법
도자기를 뜻하는 china 역시 국명china와 동음이의어이지만 변화가 다르다.
ch는 ㅋ 발음으로 그은-->구운 굽다의 활용형
흙을 구워 도자기를 만드는 것이다.
스페인어사전
terracota
[여성명사] 1. 테라코타 (틀에 떠 화덕에 구운 단단한 점토) 2. 테라코타로 만든 ...
테라 터 따 땅 즉 흙을 의미한다.
cota는 궜다-->구웠다 (어원)
흙으로 구운 것을 말한다.
우리말의 물이 말라 증발되어 없어지는 것도 드라비다어에 있다.
목이 마르다 ,빨래가 마르다 의 그 어원을 알 수 있는 자료다.
Konda : mar_g- (-it-)
영어사전
roast
1. (특히 고기를 오븐 속이나 불 위에 대고) 굽다; (이런 식으로) 굽히다
2. (밤 등을) 굽다.
국어사전
로스트 (roast)
1. 고기 따위를 직접 불에 굽는 것.
2. 고기 따위를 뜨겁게 단 재에 묻어서 굽는 것.
역시 r이니 앞에 kh나 gh가 생략이 되었다.
추가하여 복원하면 khroast
끓었다-->어원
끓다라는 말이 드라비다어에 있다.
경상도말처럼 끓어뿌 ㅋㅋㅋㅋ
roast (v.)
late 13c., "to cook by dry heat," from Old French rostir "to roast, burn"
(Modern French rôtir), from Frankish *hraustjan
(cognate with Old High German rosten, German rösten,
Middle Dutch roosten "to roast")
, originally "cook on a grate or gridiron," related to
Germanic words meaning "gridiron, grate;" such as German Rost, Middle Dutch roost.
굽다의 어근 굽 이 만들어진다.
아래 어원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주전자 kettle 역시 어근 ket는 굽다 ,끓다,타다,열을 가하다는 의미다.
그리고 우리말 숱 이나 솥 과 ㅋ<-->ㅅ 발음상의 변형이지 어원은 같다.
퉅-->춭-->숱-->숯
톹-->th번데기-->솥 (가마)
sh ch kh gh 등이 왔다갔다하는 것처럼 말이다.
인도 드라비다어에도 있다.
우리말 볶다 라는 말도 인도 드라비다어에 있다.
포르-->보르-->보흐-->복-->볶
열을 가해 끓이는 것도 어근 끌(끓-)은 드라비다어에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