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향연 이끄는 서둘대학교 최고지도자 인문학과정(AFP)
6월 19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저녁 7시 강의를 30분 남긴 학생 열댓 명이 강의실 아래층 식당에 쪼르륵 모여 앉아 밥을
먹는다.
“지난주 데카르트 수업은
어땠어요?”
“아이고… 심오했지….”
“난 지난번이 세 번째 결석이었어. 문제 없으려나.” 한쪽에서는 한숨이
나온다.
“졸업 리포트 제출이 다음주인데
큰일이네.”
“작년 수강생이 낸 모범사례 좀 구해볼 수
없을까.”
지나가던 교수가 이들의 대화에
끼어들었다.
“리포트 못 썼다고 수업 빠지고 그거 하면 안
됩니다.”
대학 교정 어디서나 들을 수 있을 법한 대화다. 말하는 이들이 양복 차림의
50~60대 중년 남성이라는 것만 빼면 말이다. 이들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부터 10시30분까지 인문학을 배우는 서울대 AFP 10기
수강생들이다. 안병근(69) 안세 대표이사, 이윤우(66) 삼한국증권금융 상무 등 48명이 한 반이다. 이들의 14, 15주차 수업을 함께
들으며 취재했다.
15주차 수업 1교시는 최윤영 서울대 독어 독문학과
교수의 ‘헤르만 헤세’ 강의였다. 예습 자료로 내준 헤세의 『싯다르타』를 읽고 와야 이해할 내용이었다. 강의를 마친 최 교수가 “질문
있나요”라고 묻자마자 우남성(59)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 사장이 손을 들었다. 그는 매 강의 10분 전에 도착해 맨 앞줄에 앉고 매 시간 질문을
던지는 ‘모범생과’에 속했다. “싯다르타와 고타마 부처가 이별할 때 고타마의 말에는 가시가 들어 있네요. 헤세가 본 가장 이상적인 인물은
누구인가요?”
교수가 답했다. “잘 읽으셨네요. 헤세는 부처를 완벽한
성자로 그리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그가 무엇을 깨달았는지 모른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5주년을 맞은 AFP는 2007년 설립 이래 수강생 451명을 배출했다. 철학과
역사를 배우러 매주 모여든 이들은 누구였을까. 10기수에10기수에 걸친 AFP 수강생을 서울대 인문대학과 함께 분석해 봤다. 수강생 451명 중
대기업 임원급 이상이 132명, 중소기업 대표이사급이 129명으로 기업인이 전체의 43%였다. 시중은행과 증권사 임원급은 67명으로 15%였고,
공기업 임원과 정부 고위공무원이 60명(13%), 부장급 이상 판사·검사와 법무법인 대표 변호사급 법조인이 28명, 대학 총장·교수 12명,
의대 교수를 포함한 의료인이 9명이었다. 이외에도 언론계와 문화·예술인이 각 6명·4명이었고, 소망교회 김지철 목사와 사랑의교회 오정현 목사 같은 종교인도
있었다. 성비는 남성 416명(93%), 여성 35명(7%)으로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AFP는 기업
CEO들이 문학, 사학, 철학 등 인문학을 체득해 현실 속 위기를 극복하는 창조적 해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자는 취지로 2007년 처음 개설됐다.
이른바 '인문경영'의 욕구를 학문적으로 풀어주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5기째인 이 과정은 역사ㆍ문화기행 비용을 포함해 수강료가
1,200만원대이지만 입학 경쟁률이 3대1을 넘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 AFP 과정
소개책자에서
목사님의 저서 "통찰과 예견" 51페이지에서 허락 없이 부분 전재
(* 미국 하바드에서 "정말 지성의 욕구를 원없이
풀었다"는 분이 새로운 욕구가 생기셨던 것 같습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 최고지도자 과정의 교육비를 누가 부담했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만약
교회에서 부담했다면 당회의 장로들이 어느 장로들이 이를 허락했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