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안양 스포츠클라이밍센터 크럭스존 원문보기 글쓴이: 昇範 진명식
|
|
①360°에서 편차각 6°를 뺀 354°를 진행선에 맞춘다.
②지도상의 경선과 북방지시 화살표 or 북방지시 보조선과 일치되도록 맞추어 놓는다.
③나침반의 긴 변을 따라 선을 긋는다.
④ 이것이 6°의 편차각을 조정하여 구한 자북선이다.
⑤이때 나침반 사용이 편하도록 붉은 색 볼펜을 사용하여(흑색펜으로 작도시 지도상에서 등고선등과 혼돈을 초랴함) 자북선을 4Cm간격(1:25,000지형도에서 실제거리 1Km, 1:15,000지형도에서 실제거리 600m)으로 그으면 지도상에서 목적지까지의 방위각 측정 및 정치에 편리하다. 대개의 경우, 오리엔티어링용 지도에는 이미 자북선이 그려져 있다.
13-1-2.삼각함수에 의한 자북선 긋기
자북선을 긋는 방법으로 나침반 조작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도(度) 이하의 수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보다 정확히 자북선을 긋는 방법으로 탄제트(Tangent)에 의한 방법을 사용한다.
(자침 편차각 6°인 경우)
|
①삼각함수표에서 6°의 tan값을 찾는다.(tan6°=0.1051)
②지도상의 어느 한점 A에서 진북의 방향으로 직선을 긋고 그 선상에서 AB=100mm가 되도록 B점을 정한다.
③B지점에서 직선 AB에 직각을 이루는 좌측에 직선 BC=10.51mm가 되는 점 C를 구한다.
④A, C를 연결하는 직선이 자북선이 된다. 즉, ?AC는 6°가 된다.
13-2.지도 정치법(地圖 正置法)
실제의 지형과 지도의 방향이 일치되게 놓는 것을 말한다. 지도의 북쪽이 정확히 도북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지형 지물에 의한 방법과 나침반에 의한 방법이 있다.
13-2-1.지형 지물에 의한 방법
현지에서 지도상에 찾을 수 있는 뚜렸한 지형지물 2개를 선정하고 눈짐작으로 지상 목표물과 도상목표물이 일직선이 되도록 지도를 움직인다.
지형 지물중 가장좋은것은 도로나 철도등의 선형지형으로 이러한 선형지형과 지도상의 지형을 일치시키면 지도를 정치할 수 있다.
13-2-2.나침반(자북선)에 의한 방법
①지도를 수평으로 놓는다.
②지도의 자북선과 북방 지시 화살표 or 북방 지시 보조선이 겹치도록 나침반을 놓는다
③자침의 N극과 북방 지시 화살표가 일치될 때까지 지도를 돌리면 지도가 정치된다.
13-3.지도에서 자기의 위치 파악
길을 잃고 지금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을 때는 숲속이나 골짜기일 경우에는 우선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보이는 것 중 지도에도 나와 있을 것 같은 산이나 지형을 두개만 정한다.
그리고 이 두 목표물이 지도에서는 어디에 나와 있는가를 찾아내면 자기가 있는 데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13-3-1.제대로 된 길을 찾아 나설 수 있는 좀더 자세한 위치파악 방법
①목표물 A를 마주 보고 선다.
②컴퍼스의 링을 돌리면서 컴퍼스의 진행선이 목표물 A를 보게 하고 링 안의 화살표와 컴퍼스의 북이 같이 겹치도록 만든다.
③그때의 화살표가 만드는 눈금을 읽는다. 이것이 A의 각도이다.
④같은 방법으로 목표 B의 각도도 알아낸다.
13-3-2.지도 위에서 하는 작업
①자북선과 평행이 되게 줄을 몇개 그어 두면 일하기가 쉽다.
②컴퍼스의 북에 맞춰서 지도를 바로 놓는다.
③컴퍼스의 앞쪽 모서리를 지도 위의 목표물 A에 갖다 댄다.
④링의 눈금을 조금 전에 알아낸 A의 각도에 맞춘 다음 링 안의 화살표를 자북선과 평행이 되게 만든다.
⑤이것으로 컴퍼스 위치가 정해진 셈이다.
⑥연필로 선을 그어 둔다.
⑦B에 대해서도 같은 식의 작업을 한다.
⑧A로부터 나온 선과 B로부터 나온 선이 마주친다.
바로 그곳이 지금 자신이 위치한 곳이다. 이때 유의할 점은 자북선을 긋는 것을 잊고 경선으로 기준을 삼으면 위치가 틀린다는 것을 잊지 말라야 한다.
14.목표물의 방위각
측정 목표물이 보이는 지형에서 그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
|
①현재 위치에서 목표물을 향해 똑바로 서서 나침반의 진행 화살표가 목표물을 향하도록 한다.
②그 상태에서 나침반을 흔들리지 않게 하고 나침반의 링을 돌려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N(붉은 색 or 검은 색)이 겹치게 한다.
③이때 진행선(도수눈금)에 일치한 링의 눈금의 수치가 현재 지점으로부터 목표물까지의 방위각이 된다.
ⓐ진행선을 목표물의 방향과 일치 시킨다.
ⓑ다이얼을 돌려서 북방 지시화살표와 자침의 북단을 일치시킨다.
ⓒ이때의 도구 눈금의 숫자가 방위각이다.
15.지시된 각도로 진행하는 방법
(60°의 방위각으로 진행하고자 할 때의 방법)
①링을 돌려서 진행선에 60°를 맞춘다.
②나침반을 가슴 앞에 수평으로 들고 진행 화살표가 전방을 향하도록 선다
③나침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침의 N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바로 겹칠 때까지 서서히 몸 전체를 돌린다.
④자침과 N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겹쳤을 때, 진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60°의 방향이다.
⑤진행선의 연장 선상에 있는 목표물을 정해서 그 지점까지 걸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해 나가면 60°의 방위각에 있는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게 된다.
16.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되돌아 가는 방법
숲속에서 길을 잃었거나, 강이나 오목한 지형, 동굴 등의 장애물을 우회한 후 본래의 방위각대로 진행하고 있는 가를 확인하거나, 그 지점으로부터 되돌아 나오는데 쓰이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백 베어링(Back bearing)이라 하고, 후퇴 방위각을 뜻하고 있다.
①도착하면 링을 돌리지 말고 그대로 뒤로 돌아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S극(흰색)을 겹치게 한다.
②진행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본래의 방위각대로 진행했으면 원 위치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17.교차법(交叉法)
2개 or 3개의 지점을 알고 있는 지점을 사용하여 모르는 지점상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통상 지도상에 밝혀지지 않는 지형지물의 위치를 알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통상 지도상에 밝혀지지 않는 지형지물의 위치를 알아내는데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전방 교차법과 후방 교차법이 있다.
17-1.전방교차법(前方交叉法)
지도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찾아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 |
|
|
①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②지도상에서 손쉽게 확인되고 실제 지형에서 잘 보이는 목표를 두개이상 선정하여 지도에 표시한다.
③실제 지형의 Q1지점에서 미지의 지점 [P]까지의 자북 방위각을 측정한다.
④지도상의 Q1지점에 나침반의 긴변 아래 모서리를 대고 나침반을 돌려 자북선과 북방 지시 화살표 or 북방 지시 보조선이 평행이 되게 한다.(이때 자침은 무시한다.)
⑤나침반의 긴변을 따라 전방으로 직선을 긋는다.(Q1-P)
⑥미지의 지점[P]이 보이는 다른 위치(Q2)로 이동한다.
⑦Q2지점에서 ③④⑤동작을 반복한다. 이들 두 직선 Q1P, Q2P가 교차하는 점이 전방에 있는 미지의 지점[P]이다.
17-2.후방교차법(後方交叉法)
지도상의 현 위치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 2개 or 3개의 알고 있는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현재 확인법 or 크로스 베어링(Cross bearing)이라고 한다.
|
|
|
①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②실제 지형에서 알고 있는 2개 or 3개의 지점을 찾아 지도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자면 교량, 산봉우리, 공장, 학교, 교회 등 찾기 쉬운 지형지물을 택한다.
③나침반을 바르게 들고 진행 화살표를 Q1의 방향에 맞춘 다음 링을 돌려서 자침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겹치도록 돌려 진행선과 일치하는 눈금을 읽으면 미지의 지점[P]까지의 자북 방위각이 된다.
④지도상의 Q1지점에 나침반 긴변의 윗 모서리를 대고 나침반을 돌려 자북선과 북방 지시화살표 or 북방 지시 보조선이 평행이 되게 한다.(이때 자침은 무시한다.)
⑤나침반의 긴변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을 긋는다.(Q1-P) ⑥또 다른 목표물 Q2지점의 자북 방위각을 측정한다.
⑦Q2지점에서 ④⑤ 동작을 반복한다.
⑧이 두직선 Q1P, Q2P가 교차하는 점이 현재 위치(P)이다. 이때도 정확을 기하기 위해서는 알고 있는 제 3의 지점을 이용하여 작도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전방 교차법과 마찬가지로 3개의 선에 의해서 선에 생긴 삼각형이 클 때에는 다시 실시해 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내접원의 크기가 직경 0.4mm내외이면 그 중심을 정확한 위치로 간주한다.
17-3.나침반 조작 [1, 2, 3]
나침반 조작 [하나, 둘, 셋]이라는 것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아래의 [하나], [둘], [셋]으로 지도상에서의 목표물의 방향을 측정하여 쉽게 진행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프로트래거형 나침반(Protractor type Compass) 곧, 분도기의 기능을 갖춘 나침반이 갖는 기능의 기본적인 사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①[하나]-지도위에 나침반의 긴 변을 현재 지점과 목적 지점에 댄다. 이때 나침반의 진행화살표는 목적 지점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나침반의 긴변을 현재지점과 목적지점에 댈 때에 지도를 정치할 필요가 없다.
②[둘]-나침반의 링을 돌려서 북방 지시화살표나 북방 지시보조선을 자북선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이때 진행선과 만나는 눈금을 읽으면 목표 지점의 방위각이 된다. 나침반의 링을 돌려서 북방 지시화살표를 자북선에 일치시킬 때 필히 북방 지시화살표는 지도의 위쪽을 향하도록 한다. 자침은 무시한다.
③[셋]-지도에서 나침반을 들어 진행화살표가 앞으로 가도록 가슴에 대고 자침의 N극이 링의 북방 지시화살표와 일치할 때까지 몸을 돌린다. 이때 진행화살표의방향이 목적 지침의 방향이다.
자침의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를 일치 시키기 위하여 몸을 돌릴 때, 나침반과 몸이 함께 움직이어야 한다. 목적 지점의 방향을 알았다고 해서 똑바로 갈수는 없다. 먼저 그 방향선 상에 뚜렷한 목표물을 정한 다음 나침반을 보지말고 거기까지 간다.
거기서 다시 그 방향선상에 새로운 목표를 정하여 찾아 가는 것을 되풀이 하여 목적지에 접근하는 것이다.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는 처음에 맞추어 놓은 링은 움직이지 않은 것이 좋다.
18.방향유지법
지도상에서 결정된 방위각을 어떻게 유지하면서 목적지까지 가는 가 하는 방법
18-1.중간목표 선정 방향유지
①목적지와 현 위치와의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②목적지와 현 위치를 그은 직선상에서 찾기 쉬운 지형지물을 중간 목표로 선정한다.
③각 중간 목표와의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해 둔다.
④중간 목표물을 잘 알고 이를 정확히 찾아가면 나침반을 항시 보지 않고도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도중에 후방 교차법에 의하여 현 위치를 확인해 본다.
18-2.빗나간 진로의 수정
옳게 전진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진로를 수정하는 방법 or 분기점 같은 곳에서 옳은 방향의 길을 선택한다든가 전진한 길이 옳은 방향의 길인가를 확인할 때에 사용한다.
|
|
①지도상에서 진행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P지점에서 목표물 Q의 방향을 정하고 그 방향을 향해 선다.
②자침의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를 겹치도록 하고 진행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한다.
③어느 정도 전진하다 뒤로 돌아 P지점을 향해 바르게 한다. 이때 자침 S극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겹쳐지면 옳은 방향으로 전진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빗나가 있다면 좌우로 이동하여 자침 S극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일치하는 지점[R]을 찾는다.
④R지점에서 다시 뒤로 돌아 자침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를 일치시키면서 전진한다.18-3.장애물 우회(迂回) 방향 유지법 전진 도중에 호수, 늪 등의 장애물이 있을 때 우회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경우 호수나 늪처럼 그 장애를 통해서 건너편이 보이는 경우와 보이지 않는 경우의 두가지가 있다.
18-3-1.보이는 경우
건너편이 보이는 장애물인 호수, 경작지 등은 건너편의 진행 방향상에 뚜렷한 목표물을 설정하고 우회하여 그 위치에서 출발지점의 후퇴방위각을 측정하여 일치되는 가를 본다.
18-3-2.보이지 않을 경우 (90°우회법)
|
앞에 장애물이 있을 때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90°를 회전하여 장애물을 벗어날 수 있는 거리만큼 가서 계속진행선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90°를 회전하는 순간에 자침의 북단과 북방선 화살표를 일치시킨 채 나침반을 옆으로 잡고 진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림처럼 진행선은 항상 전방을 향한 채 90°회전의 순간에 자침과 북방선 화살표를 90°가 되게 유지하는 방법이다.
|
출처: 안양 스포츠클라이밍센터 크럭스존 원문보기 글쓴이: 昇範 진명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