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혁
용궁(龍宮)은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에 속한 지명으로 신라시대에 축산현(竺山縣)·원산현(園山縣)이라 하였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예천군의 영현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용주(龍州)로 승격되었다가, 목종 때 군으로 강등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용궁으로 고쳐서 상주(尙州)에 편입하였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용궁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 용궁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폐지되어 신하면(申下面)은 의성군(義城郡)에, 나머지는 용궁면 등으로 분할되어 예천군에 편입되었다.
성씨의 역사
도시조(都始祖) 전섭(全聶)은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로 BC 18년 온조(溫祚)가 백제를 개국할 때 오간(烏干), 마려(馬藜),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간(屹干), 곽충(郭忠), 한세기(韓世奇)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全氏)는 도시조인 전섭으로부터 18본이 분적되었으며, 우리나라 전씨는 단본이라 할 수 있다.
용궁전씨(龍宮全氏)의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도시조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전씨대동보(全氏大同譜)》에 의하면 고려 충렬왕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랐으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 용궁의 옛 지명)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고 용궁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분적종 및 분파
용궁전씨는 정선전씨(旌善全氏)에서 분적한 성씨이다.
주요 세거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월평리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송평리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만화리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금천리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문량리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효동리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삼귀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용궁전씨는 8,693가구 총 27,706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