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공룡 둘리 할때 둘리체면 시킨다고 박사한테 갔다가 박사가 도리어 둘리한테 최면에 걸려드는 장면에서 박사의 옛날 영상이 화면에 뜬다.
동수씨 날잡아 보이소~
가시나 잡히면 쥑이삔데이~
대사가 생각이 난다.
가시나의 어원을 네이버를 통해 검색 해봐뿌따.경상도에선 가시나 말고도 가시내,지지바,지지배 등 여러가지가 쓰인다.
'갓'은 옛말로 '아내'라는 뜻입니다.월인석보에 "妻는 가시라"라는 풀이가 있습니다. '갓' 또는 '가시'가 '아내'의 옛말입니다.
이 '갓'에 '아이'라는 말이 붙어 '갓나이> 간나이> 간내> 가이내 등으로 변했고, '가시'에 '네' 또는 '아이'가 붙어 '가시네, 가시나이, 가시내'등으로 변했습니다.
가시나는 결국 '가시가 될 아이', 남의 아내가 될 아이라는 뜻입니다. 소녀가 자라면 결혼해서 부인이 되는 게 아닌가요?
그 첫째가 신라 화랑제도에서 그 연원을 찾은 것으로서 ‘가시’는 본래 ‘꽃’의 옛말이고, ‘나’는 무리를 뜻하는 ‘네’의 옛 형태에서 나온 것이다.
옛날 신라시대의 화랑을 ‘가시나’라고 하였는데, ‘가시나’의 이두식 표기인 ‘화랑(花郞)’에서 花는 꽃을 뜻하는 옛말인 ‘가시’에 해당되며 郞은 ‘나’의 이두식 표기이다. 그러므로 가시나는 곧 ‘꽃들’이라는 뜻이다.
화랑은 처음에는 처녀들이 중심으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처녀 아이를 ‘가시나’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가시’는 그 후 15세기까지 ‘아내’의 뜻으로 쓰였으며, 여기서 나온 말이 부부를 가리키는 ‘가시버시’이다.
또 다른 하나는 가시의 옛말은 ‘가시나ㅣ’로서, 아내를 뜻하는 ‘가시(妻)’에 아이를 뜻하는 ‘나ㅣ(胎生)’가 합쳐진 말이다. 그러므로 이 말을 풀어보자면 ‘아내(각시)로 태어난 아이’라는 뜻이 된다는 설이다.
(바뀐 뜻은 계집아이나 처녀를 일컫는 경상도 지방의 방언이다. 표준말은 ‘계집아이’이다.)
출처:네이버 지식 검색<----여기까지
일본어에서는 우두머리를 아다마 -->원래 머리 라는 뜻
혹은 가시라
かしら [頭]
일본어에서 잃어버린 우리고대말의 흔적을 찾을 수가 있다.
ㄹ<-->ㄴ 호환가능
참고로 동음이의어로 소녀전사 우테나 혁명이라는 일애니를 옛날에 본적이 있는데 거기 대사에
까시라 까시라 고존지까시라~는 대사도 나오는데
~까시라는 우리말의 ~것일까?추측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투의 말이다.
알고계실까를 좀 변형시켜 한 말이다.
거시 -ㄹ ---->변형 까시라
두목; 우두머리. 제일 위나 처음에 있음[있는 것]
신석기시대에는 모계사회가 주를 이루었으므로 여자가 우두머리이다.
그래서 이 말이 나오지 않았을까라고 생각한다.
가시나의 어원은 여자 우두머리를 뜻하는 말이 변해서 된 말 일것이다.
골품제도도 가시 즉 뼈 원시시대에 고래사냥으로 남은 고래의 뼈를 우두머리 연장자가 가지는 데서 유래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아랫것들은 뼈는 가지지 못하고 살 몇 점만 받을 수 있을 뿐이다.그래서 호로자식이라 하지 않은가.
고레자식--->(ㄱ<-->ㅎ 호환)호레자식-->호로자식
호로자식-->배운 데 없이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낮은 사람
반치음은 ㅅ<-->ㅈ 호환 가능
가지라 즉 가진다. 우리말의 갖다의 어원도 가시나 가지라 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 생각함.
영어의 우리말의 get도 갖다의 '갖'에 해당한다.
대빵이 먼저 가진다음에 아랫사람들이 가지지.
이것도 전문 언어학자님에게 의뢰를 부탁했다.
설명을 들어보길 바란다.
가시나에 대해서 내 책에서 설명한 부분이 있는데 다시 설명하자면, 님 주장처럼 ㅅ이ㅈ과 호환되는 것으로 특히 중앙아시아와 파키스탄 펀잡지역에서 아직도 이런 표기를 쓰고 있지요 sa, so, su, se, si는 자,조,주,제,지로 표기되며 za,zo, zi, zar, zor, zer등으로 표기됨에 ㅅ이ㅈ과 호환됨을 증명하는 것이며 가시는 가진다는 뜻으로도 쓸 수 있으며(두목) 가져, 가지, 가지니,(가시니), 가지내(가시내), 가지라(가시라), 가지노(가시노), 가지나(가시나)등으로 분류되며 '가시나,가시내'의 뜻은 '가진다, 갖,갓과 동일하며 고대엔 칸(두목,우두머리) 그 자체였다. 그 중에 '가시'는 고시(gosi)의 변형으로 가시, 가스, 가세, 가스등 으로 변하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할 제일 우수한 종족이며 인류문화의 선구자인 '고시'를 기리기 위한 이름이 '고시레' 풍습에서 볼 수 있는데, 기시, 기쉬, 기스, 구쉬, 구시, 구스,등 아주 다양한 이름으로 변하면서 지금도 고대사에서 전해내려 오며, 세계의 지명에서도 많이 찿아볼 수 있는 이름이다.
즉 일본어의 '가시라' 는 우리말의 '가지라, 가지니, 가져라와 같다는 것이며, 님이 생각한 것이 맞으며, 그렇다고 보면 두목=칸이라는 등식이 성립되므로 '고시'가 맞다는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며, 갓에 '아이'가 붙어 '가시내, 가시나로 변하였다는 이론은 옳지 않는 이론으로 가시(고시)에 붙는 어미의 변화로 가시내, 가시니, 가시노, 가시나, 가시내이, 가스나이, 가수나나이, 가스나, 가스나이등은 어머니를 오마이로 부르는 형식과 같으며, 영어의 kani, kania, kanu, kane, kano등으로 그 어미가 변하며 나타나는 현상과 같으므로 갓에 '아이'가 붙어 되었다는 이론은 설 자리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인이 어렸을 때, '가시나'라고 말 할 때, 할아버지로 부터 엄하게 질책을 들은 적이 있다. 고귀하고 거룩한 조상의 표상인 '고시'를 한낱, 계집애로 부르는 것을 질책함이었다.
호레자식에 대한 설명에서 '후레자식, 호레자식, 호로자식으로 나타나며, 아주 버릇없고, 경망하며 도저히 뒷감당이 안되는 저질, 나쁜 사람을 비유할 때 부르는 이름으로 본인이 알기론 이 용어가 병자호란 이후에 생긴 용어로 청나라에 끌려가서 돌아온 '환향녀(고향으로 돌아온 여인)가 화냥년, 호양년이 되어 몸팔고 더러운 짓거리를 한 부정한 여자로 변질되었듯이 후레, 호레는 원 이름은 환향녀중 그곳에서 아이를 낳아 데리고 들어온 아이를 환래(고향으로 돌아온) 라고 하였으며, 후레자식은 호레자식, 호로자식이 되었으며, 자음인 환이 후, 호로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할 것이며 병자호란의 산물에서 얻어진 씁슬한 용어임.
그러므로 남과 다툴 때 '호로자식'은 엄청 큰 욕이 되므로 함부로 하지 마시길
갓은 먼저 가시, 가스가 되며, 잣은 ,자시,자스, 탓은 타시, 타스가 되는 이치이다. 그러므로 가시는 '고시'의 변형이 틀림없다 할 것인데 인도유럽어의 변형으로는 코시, 코스, 코수, 카스, 카시, 카세, 카수, 케시, 케스, 케수, 쿠시, 쿠쉬등으로 아주 다양한 변화가 된다.
또한 영어의 get은 "고리의 머리"가 됨에 '머리(우두머리)이므로 두목=칸이되는 것도 맞다고 할 것이다.
"까시라 까시라 고존지까시라~는 대사도 나오는데
~까시라는 우리말의 ~것일까?추측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투의 말이다"
라는 얘기는 강상원 박사님의 주장에 의하면
우리의 말인 [가사(假思)] 去思(거사). 생각해 보면.
산스크리트어로는 ga-sa: get,/ come to think of,
approach to deep meditation,/ knowledge.
가사나는 카하시나,ㅅ가시나, 女兒, ㅅ달.[불교]家女.
산스크리트어로는 gehasina, kha^-sina^,
gehiya-sina: daughter, house maid, girl taking care of
the household affairs, farm-work, pasture
라고 하더라고요!
첫댓글 가시나
ghasi-ghAsi=food, voracious, fire p.377
na=like, as, as it were p.523
ghasi-na=like fire
불같이 가까이 가면 뜨겁고, 멀어지면 식어버리는 존재, 다루기 힘든 까다로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했다!
kash-KaS=to hurt , injure, kill p.338
i=this, that, to go, walk, to go to or
towards, come p.163
na=like, as, as it were p.523
까시나라고 보면 까시와 같은 사람이란 뜻이 된다.
http://blog.naver.com/meisterjhj2/50193763155
소중한 정보 고맙습니다.^^참고하겠습니다.가시 불같네요.무서운 여자인가봅니다.여자는 결혼하면 기세가 세지죠.특히 아줌마는 ^^ 남편이 쫄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