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_1 |
의 베이스 전위가 낮을 때에
Tr_1 |
은 OFF,
Tr_2 |
는 ON이 되어 있고,
R_E~ |
에는
Tr_2 |
의 에미터 전류가 흘러,
Tr_1 |
의 에미터 전위가 높아져서,
Tr_1 |
이 OFF가 된다. 또,
Tr_1 |
의 콜렉터가 고전위이기 때문에,
R_k~ |
를 통하여
Tr_2 |
에 베이스 전류가 흘러,
Tr_2 |
가 ON이 되어,
Tr_1 |
은 OFF, 결국
Tr_2 |
는 ON의 안정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입력전압이 서서히 증가하여,
(V_BE + V_E ) |
를 넘었을 때,
Tr_1 |
의 베이스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콜렉터 전압이 내려가기 시작하면,
Tr_2 |
의 베이스 전류가 감소하고, 에미터 전류도 감소한다. 때문에,
Tr_1 |
의 에미터 전압이 내려가기 시작하여,
Tr_1 |
의 베이스 전류는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은 정궤환 작용에 의해 순간적으로
Tr_1 |
이 ON,
Tr_2 |
가 OFF로 상태가 반전된다. 이 상태에서 이번에는
Tr_1 |
의 에미터 전위는
R_k~ |
와
Tr_1 |
의 에미터 전류에 의해서 정해지는 값이 된다. 다음에 입력 전압이 내려가, 이 전압보다 내려가면
Tr_1 |
이 OFF가 되어, 전과는 반대로의 정궤환이 작용하여, 순간적으로
Tr_1 |
이 OFF,
Tr_2 |
가 ON인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를 입출력 파형으로 보이면 그림 12-9와 같이 된다. 여기서 동작 레벨은
(V_BE + R_E I_E ) |
가 되므로,
Tr_1, ~Tr_2 |
각각의 부하 저항을 다르게하여, 에미터 전류를 바꿈으로써 반전할 때의 동작 레벨과, 원상 회복할 때의 동작 레벨을 다른 값이 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 차이를 히스테리시스 전압이라 한다.
슈미트트리거 회로는 어떤 설정 레벨에 이른 신호만을 검출한다던가, 임의의 파형을 구형파로 바꾼다던가, 왜곡된 펄스를 정형하는데 사용한다.
|
첫댓글 수고했어요. 0.1점 추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