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11:31
신앙하면서 가장 핵심적인 질문은 ‘왜 하나님께서 나를 창조 하셨을까’입니다.
어쩌면 그것은 왜 아브라함을 부르셨는가, 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신앙의 잔 밥이
차가면서 경험하는 것은 인간이 ‘내가’라고 자기주장을 했을 때 파멸이 찾아왔지만,
하나님께서 ‘내가’라고 주권을 행사하실 때 인간에게는 진정한 복락이 찾아옵니다.
The most important question in my religious life is, "Why does God create me?
Did I do it? Perhaps it is why you called Abraham. It's like a question. As the years
of faith build up, what we experience is a human being's.
Destruction came when I said, "I am."
When God exerts his sovereignty as "I," real blessings come to man.
-
사람이 계획하고 이동하고 머물 때를 정하고, "큰 성"과 "대"를 쌓고 스스로 이름을 내어
내 나라를 세우려했던 바벨은 저주와 멸망으로 끝났지만, 하나님이 계획하시고 가야
할 사람과 땅을 정하시고, 큰 민족을 만드시고, 이름을 크게 해주시면 모든 민복이
복을 받는 하나님나라가 이루어지는 이치입니다.
You decide when people plan, move, stay, build "big castles" and "dae."
Babel, who had made his own name and tried to build my kingdom, was cursed and
destroyed. It is over, but if God decides who is planning and who is to go and who is
to go, and makes a great nation and makes a great name for it, it will be the kingdom
of God, where all the people.
-
내가 주어가 되어 나의 나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어'가 되셔서 뜻대로
나를 빚으시고 인도하실 때, 하나님 나라가 서고 내게 복락이 임하게 된다는 것을
진즉 알고 있었으면서도 번성하면 곧바로 타락하고 여건이 좋아지면 딴 생각하는
속물이 접니다. 성경공부하다 죽겠다고 소원을 품은지가 이십 여 년 되었는데
It's not like I'm going to be the main player and make my country, but God gives me.
"When you have made me your will, when the kingdom of God stands and leads me,
If you knew the prosperity of the compound was coming, and you did it right away.
I'm a snob who thinks differently when things go bad and things get better. study the Bible
It's been 20 years since I had a wish to die.
-
소명도 티칭도 까마득히 잊어버리고 내 하고 싶은 대로 재미나게 잘살고 있습니다.
옛날에 하던 것 모두 다(술, 당구, 명품. 친구, 여자 생각, 공갈 협박 등)하면서
말입니다. 갈대아 우르에서 달 신을 숭배하던 데라의 가족(수24:2)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행7:2,3)고향을 떠나 가나안으로 행하였지만, 달 신 숭배지요 교통의 요지이며,
물질적으로 풍요했던 도시 하란에 이르러서는 주저앉고 말았습니다. 절반의 순종입니다.
Forget your calling and teaching, and have fun as I please.
I'm doing well. Everything I used to do (alcohol, billiards, luxury goods). Friend, woman.
Thinking, blackmailing, etc. Terah's family, who worshiped the moon god in Ur, was
called by God and left their homeland to Canaan.
He did, but he worships the moon god. It's the main point of transportation.
When we reached Haran, a materialistic city, we collapsed It's half purebred.
-
우르나 하란이 똑같듯이 절반의 순종은 불순종과 다르지 않습니다. 언제든 돌아갈 수 있을
만큼만 떠난다면 나는 여전히 하란에 있는 것입니다. 바벨의 저주에서 인류를 구원키
위한 하나님의 선택이 있고 “떠나고” 가라는 명령을 하셨습니다. 믿음으로 순종한다면,
새 아담인 아브람에게 복을 주시고 그를 땅의 모든 민족에게 미칠 복의 근원으로 삼겠다고
약속하십니다.
Just like the reedsaur and the Haran, half obedience is no different from disobedience.
I'll still be in Haran if I leave as long as I can go back. The choice of God to save mankind
from the curse of Babel, You have ordered me to "leave" and leave. If you obey by faith,
Bless Abram, the new Adam, and make him a source of blessings for all the peoples of the earth.
-
아브람은 이 명령에 따라 삶의 터전이자 안전의 근간인 고향, 친척, 아비 집을 떠났던 나이가
75세 이었습니다.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떠난 것은 칭찬할 만한데 무엇(아버지) 때문인지 하란에
머뭅니다. 목적지가 가나안이니 가나안을 향해 가야하는데도 가나안이 아닌 곳에서(창11;31-12:4)
허송세월을 보냈습니다.
Abram was 75 years old when he left his home, relatives and father's home, the home of
his life and the foundation of his safety. "It is commendable that I left without knowing
where to go, but I stay in Haran for what (father) is. Destination is I had to head for Canaan
because I had to go to Canaan, but I spent my life in vain outside of Canaan (11;31-12:4).
-
그리고 아버지 데라가 죽자(205세) 비로소 하란을 떠나 가나안에 도착 하였습니다.
울 주님께서 하필이면 아브람을 가나안으로 부르신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로 가나안은 고대
세계에서 교통로이었으므로 하나님의 때가 차면 복음이 온 세상으로 번져가게 할 전략적인
요지라서 입니다.(G. Vos의 성경 신학).
And when her father Dera died, she left Haran and arrived in Canaan. There is a reason
why the Lord of Wool called Abram to Canaan. First, Canaan was a transportation route
in the ancient world, so it is a strategic point that the gospel will spread throughout the
world in the time of God." (The Bible of G. Vos.)
-
둘째로 오직 여호와만이 전능하신 하나님이심을 배우면서 주를 신뢰하고 순종하는 훈련을
받게 하려는 것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가라고 지시하고 약속으로 주신 땅(7)‘은 빈 땅이
아니라 이미 ‘가나안 원주민이 차지하고 있는 땅’이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대로 우르나 하란은
비옥한 초승달'로 두 개(유브라테스와 티그리스)의 큰 강이 흘러가는 지역에 있었는데
가나안은 강우량이 적고 큰 강이 없기 때문에 할 수 없이 하나님을 의지해야만 했답니다.
Second, while learning that only the Lord is an almighty God, It appears to be trying to
get training in trust and obedience. But the land he gave us as a promise to go is not an
empty land. It was already a land occupied by the Canaanites. As we know, Ur Haran
is a fertile crescent, and she's the only one with two. It was in the area where the big
river ran, and the canaan had less rainfall, and the big river had less rainfall.
I had to rely on God because I didn't.
-
그런데도 출애굽 때는 애급이나 아라비아 지역이 가나안보다 더 강우량이 적은 사막지대여서
오히려 가나안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출3:8)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인간에게
있어서 비옥한 하란이나 사막지대인 애급보다 가나안이 더 좋은 훈련장입니다. 하란과 같은
곳에서는 처음부터 하나님을 의지할 필요를 느끼지 못할 것이고, 애급과 같은 곳에서는 노력하여
살아가게 되므로 자기 힘으로 살아간다고 착각할 위험성이 있으나, 가나안처럼 오직 하늘에서
제때에 비가 내리기만을 바랄 때 하나님만 의지하는 훈련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However, during the exodus, the Arab world records Canaan as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because it is a desert region with less rainfall than Canaan. I think Ghana is a
better place to train than the fertile Haran or the Desert Regiment for humans. Haran-like
You don't feel the need to rely on God from the beginning, and you live on your own
because you work hard in a place like a child. There is a danger of delusion, but God can
rely only on it when it wants rain in time from the sky, like Canaan.
-
나의 데라가 죽어야만 가나안을 향해 나갈 수 있는데 난 지금 가고 있는가, 머무르고 있는가?
내 발목을 붙잡는 나의 데라는 무엇인가?
Am I going or staying when my dera is dead so I can head out to Canaan?
What is my dera holding my ankle?
-
데라 가족이 우르를 떠나다(31-32)
아브람을 부르심(12:1-4)
가나안 땅에 도착한 아브람(5-6)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7-9)
-
데라가(31a)
그 아들 아브람과 하란의 아들 그 손자 롯과 그 자부 아브람의 아내 사래를 데리고(31b)
갈대아 우르에서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하더니(31c)
하란에 이르러 거기 거하였으며(31c)
-
데라는 205세를 향수하고(32a)
하란에서 죽었더라(32b)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1a)
너는 너의 본토 친척 아비 집을 떠나(1b)
-
내가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1c)
내가 너로(1b)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케 하리니(2b)
너는 복의 근원이 될 찌라(2c)
-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3a)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3b)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니라 하신지라(3c)
이에 아브람이 여호와의 말씀을 좇아갔고(4a)
-
롯도 그와 함께 갔으며(4b)
아브람이 하란을 떠날 때에 그 나이 75세였더라(4c)
아브람이 그 아내 사래와 조카 롯과(5a)
하란에서 모은 모든 소유와 얻은 사람들을 이끌고(5b)
-
가나안 땅으로 가려고 떠나서(5c)
마침내 가나안 땅에 들어갔더라(5e)
아브람이 그 땅을 통과하여(6a)
세겜 땅 모레 상수리나무에 이르니(6b)
-
그 때에 가나안 사람이 그 땅에 거하였더라(6c)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7a)
가라사대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 하신지라(7b)
그가 자기에게 나타나신 여호와를 위하여 그곳에 단을 쌓고(7c)
-
거기서 벧엘 동편 산으로 옮겨 장막을 치니(8a)
서는 벧엘이요 동은 아이라(8b)
그가 그곳에서(8c)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더니(8d)
점점 남방으로 옮겨 갔더라(9)
-
하나님이 주어가 된 나라the country where God became LORD
절반의 순종half obedience
떠남과 감의 순종submissive to one's departure and comfort
-
구체적으로 부르시고 명령하시는 주님, 제 건달 끼를 불상이 여겨주옵소서.
갈 바를 알지 못했지만 약속을 믿고 본토 친척 아비 집을 떠났던 아브라함처럼 하나님을
소유하기 위해 죄를 멀리하고 모양만 있는 경건을 버리게 하옵소서. 오주여, 제게도
얼굴빛을 비춰주셔서 쿨가이의 환상을 접고 온전히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게 하옵소서.
Lord, who calls specifically and commands, consider my disobedience as a Buddha.
I didn't know what to do, but I believed in God like Abraham, who left his father's home.
Keep away from sin in order to possess and abandon the only form of reverence.
O Lord, please give me the light of your face so that I can put an end to the illusion
of cool Guy and lead a life of obedience to the word.
2020.1.14.thu.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