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산 직전의 기업
🏚️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한 개발도상국
🧨 구조조정 중인 금융회사
📉 부실채권(NPL, Non-performing Loan)
━━━━━━━━━━━━━━━
📌 실제 사례
🇦🇷 아르헨티나 vs 엘리엇 매니지먼트(벌처펀드)
→ 아르헨티나의 국가부도 사태 때,
채무를 헐값에 사들인 벌처펀드가 채권 전액+이자를 요구하며
수년간 소송, 결국 상당한 수익을 얻음
🇰🇷 한국에서도 IMF 외환위기 당시 벌처 펀드들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자산을 매입한 뒤 높은 수익률로 매각한 사례 다수
━━━━━━━━━━━━━━━
📌 장점 vs 단점
✅ 장점
부실 자산 정리 → 구조조정 촉진
자산 시장에 유동성 공급
투자자 입장에선 고수익 기회
❌ 단점
대상 기업/국가 입장에선 생존에 찬물
협상 불응, 소송 남발 → 국제 분쟁 유발
도덕적 비판: “죽은 자산에서 이익을 뜯는 투기세력”
━━━━━━━━━━━━━━━
📌 비슷한 개념 ✨
⚰️ 디스트레스드 자산 투자(Distressed Asset Investing)
💸 NPL 투자자: 부실 채권 전문 투자자
🔁 구조조정 펀드: 회생 가능성 있는 기업만 선별해 지원
━━━━━━━━━━━━━━━
📌 한 줄 요약
➡️ 벌처 펀드 = 위기 속 기업이나 국가의 채권을 헐값에 매입해, 고수익을 노리는 공격적 투자 펀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