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보리(須菩提) 어의운하(於意云何) 여래(如來) 어연등불소(於燃燈佛所) 유법(有法)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부(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不) 불야(不也) 세존(世尊) 여아해불소설의(如我解佛所說義) 불어연등불소(佛於燃燈佛所) 무유법(無有法)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불언(佛言) 여시여시(如是如是) 수보리(須菩提) 실무유법(實無有法)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수보리(須菩提) 약유법(若有法)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자(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者) 연등불(燃燈佛) 즉불여아수기(卽不與我授記) 여어내세(汝於來世)당득작불(當得作佛)호석가모니(號釋迦牟尼)
이실무유법(以實無有法)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시고(是故) 연등불(燃燈佛) 여아수기(與我授記) 작시언(作是言) 여어내세(汝於來世) 당득작불(當得作佛) 호석가모니(號釋迦牟尼) 하이고(何以故) 여래자(如來者) 즉제법여의(卽諸法如義)
약유인언(若有人言)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수보리(須菩提) 실무유법(實無有法) 불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佛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수보리(須菩提) 여래소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如來所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어시중(於是中) 무실무허(無實無虛) 시고(是故) 여래설일체법(如來說一切法) 개시불법(皆是佛法) |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燃燈佛)에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 있느냐?』 『그렇지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신바 뜻을 알기로는, 부처님이 연등불에 법이 없기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 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그러하다. 그러하다. 수보리야, 진실로는 지닌 바 법이 없기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 이니라. 수보리야, 만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면, 연등불이 곧 나에게 수기(授記)하시기를 「네가 앞으로 오는 세상에 마땅히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釋迦牟尼)라 하리라.」하지 않았을 것이니라, 실제로 법을 가진 바 없으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다. 그러므로 연등불이 내게 수기하시기를 「네가 오는 세상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리라.」하셨느니라.』 『어찌하여 그러한가하면. 수보리야 여래란 것은 모든 법이 진여(如如)라는 뜻이니라. 만약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한다면, 수보리야 실제에는 법이 없기에 부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법은 내용 가운데는 참된 것도 없고 허망한 것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래는 말하기를「온갖 법이 모두 불법이라.」하노라. |
내가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수도(修道)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는 것은 착각에서 벗어났다는 것이요, 어둠 속에서 밝음으로 나왔다는 뜻과도 같다. 밝음으로 나오니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고 답답하던 것이 시원해졌다는 것이다.
수보리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하면 그 무엇인가 얻은 표시를 낸다고 생각하는가?
그러하다. 내가 이미 이야기를 한 것처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는 것은 착각의 세계에서 벗어나 제성신이 들었다는 뜻이요, 어두움에서 벗어나 밝은 세계로 들어왔다는 뜻이다. 제정신이 들었으니 나라는 존재가 무엇임을 알 것이요, 주위가 밝으니 세상의 이치를 알 것이다. 모든 괴로움과 한의 뿌리가 빠졌기에 마음은 한없이 즐겁고 평화로우며 정말 돌아와야 할 고향에 돌아온 것이다. 더 이상 욕심 낼 일도 화낼 일도 자랑할 일도 없게 되는 것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얻은 사람은 이처럼 분별심(分別心)을 낼 어떤 것도 없기에 진리를 얻은 어떤 표시도 하지 않는 것이다.
수보리여, 정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얻은 사람이라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얻었다고 어떤 표시할 필요도, 이유도 없는 것이다. 반대로 어떤 사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얻었다는 표시를 한다면, 이 사람은 자신을 잘났다고 선전하고 있는 것이라 아상(我相)이 있다는 증거이며 아직도 착각 속에서 사람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얻었다는 표시를 하는 사람은 이 표시하는 행위인 아상을 가지고 있는 한 아무리 수도(修道)를 열심히 하여도 부처가 될 희망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진리를 얻었을 때 진리를 얻었다는 그 어떤 표시도 하지 않았고 또 표시할 어떤 이유도 없었기에 연등부처님께서는 나를 아상이 소멸한 사람으로 확인하시고 수기를 주시며 내세에 석가모니라는 이름을 가진 부처가 될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수보리여, 어둠에서 벗어나 밝음을 찾은 사람은 밝아지는 길이 무엇인지 알기에 다시는 어두운 연습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사람은 밝음만을 연습할 것이며 따라서 도착할 최종 종착지는 당연히 부처님 자리 일 것이다. 이러한 사람에게 부처가 되리라는 결정의 말씀을 하시는 것은 어떤 사심에서 비롯된 결정이 아니고 당연한 일로써 우주의 질서를 따르는 행위라 할 것이므로 부처님께서는 부처님은 사심이 없다. 부처님은 오직 우주의 뜻만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출처 : 김원수 법사 '크리스천과 함께 읽는 금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