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양식※ - 타사 모고나 타 강사분의 교재나 수업 내용에 대한 질문은 받을 수 없습니다. 1. 인강 내용 질문일 때 ⊙ 수강 중인 강좌 이름 - 몇 강 관련 질문인지 예시) 독해알고리즘 - 6강 전개방식 질문입니다. 2. 교재 내용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몇 페이지인지 예시) 문법알고리즘 - 24쪽 ○○ 질문입니다. 3. 인강이나 교재 내용 밖의 질문일 때 ⊙ 제목에 질문의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예시) 품사 통용 질문입니다. 4. 모고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무슨 시즌 몇 회 몇 번인지 예시) 백일기도 시즌 1의 1회 1번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2023 문법 알고리즘 158쪽 문제 확인 30 3번 질문입니다.
금액의 띄어쓰기는 변조 방지 등을 위해 붙여쓰는 것이 '관례'이므로 3번은 x이고 고치면 삼십일만오천육백~ 으로 붙여써야 한다고 답안에 나와 있는데요
첫댓글 '오만 오천 원'으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금액을 적을 때는 변조(變造) 등의 사고를 방지하려는 뜻에서 붙여 쓰는 게 관례로 되어 있으므로 '오만오천원'으로 붙여 쓸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실 수 있겠습니다.
>> 이 표현은 '금액을 적을 때'는 붙여 쓰는 게 관례이니 붙여 쓰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금액을 적을 때의 기준은 '원'이 아니라 국립국어원 조항 그대로 '일금, 돈' 등의 표현을 앞에 붙일 때입니다.
⑤ 일금: 삼십일만오천육백칠십팔원정
돈: 일백칠십육만오천원
헉 이 시간까지도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일금: 돈: 이 붙어 있으면 붙여써야만 하는 거군요
다시 생각해보니 '관례'라는 단어 자체를 정확하게 알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관례가 일반적으로 95% 정도 행하는 규칙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사실상 관습대로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뜻이군요...
@피피피피 저렇게 출제하면 저 조항 기준 출제되니 원칙이 아닌 상황에 대한 질문이라는 것입니다. 원칙 안에서 허용과 함께 알아둬야 하는 게 아니라는 의미예요.
@진진 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