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가 구스 여자를 취하였더니 그 구스 여자를 취하였으므로 미리암과 아론이 모세를 비방하니라" (민 12:1)
여기서 미리암과 아론이 모세를 대적하고 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모세와만 말씀하셨느냐(2절) 우리와도 말씀하시지 않았느냐? 아마도 그들은 모세가 70인의 장로들과 함께 그 백성을 다스렸으므로 모세도 그들 중에 하나이지 않느냐? 그런데 왜 모세만 이스라엘과 하나님 사이에 유일한 중보자의 역할을 하느냐? 우리의 권위와 무엇이 다르냐고 모세의 권위에 도전한 것 같다. 여기 미리암은 무력했던 어린 모세를 위대한 하나님의 종 모세로 만드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더구나 모세가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 되었을 때 친어머니를 유모로 소개했으며 홍해에서 애급군대를 장사지내고 구원받은 사실을 인해서는 하나님을 찬양했다. 이렇게 보면 미리암이 모세의 권위에 도전할만도 했는지 모른다. 따라서 그는 아론보다 앞장서 모세의 비방을 주도했고 그 결과 하나님의 심판으로 문둥병이 그녀에게 발생한 것 같다. 그러나 여기 미리암과 아론의 죄는 모세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은데 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만 높일 자를 높이시고 낮출 자를 낮추시는 주권자이심을 잊고 있다. 그러면 모세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비방한 모세의 결혼은 무엇이 문제였는가? 모세가 취한 구스 여인은 누구였는가? 성경은 여기 구스 여인에 대해서 1절의 언급뿐이므로 그 이상을 알 수 없다. 다만 여기 구스 여인은 모세의 아내 십보라를 가리켰으리라고 추정한다. 출애굽기 2:16에 의하면 그녀는 미디안 사람이었다. 그런데 하박국 3:7과 어떤 앗수리아 본문에는 미디안과 구산을 동등하게 생각한다⑴. 따라서 여기서 모세가 취한 구스 여인은 그가 미디안에서 결혼한 제사장 이드로의 딸 십보라라고 본다. 그러나 그렇다면 왜 그 결혼을 고발했는가? 이 경우는 십보라가 이스라엘 사람이 아니고 이방인이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구스인은 이스라엘 사람보다 피부색이 더 검었다. 그러나 이 해석은 왜 미리암과 모세가 이제와서야 모세의 결혼을 탓하고 비방했겠는가 하는 의문에 해답이 어렵다. 구스는 함의 첫째 아들이었으며 히브리인들에게는 남단의 백성들의 아비로 알려졌으며(창 10:6-7) 남부 나일 계곡에 살았다. 그 곳은 에디오피아다. 구스를 에디오피아로 보는 것은 성경적 전통이다(참고; 예, 왕하 19:19, 사 20:3, 5, 37:9, 43:3, 45:14, 겔 30:4-5, 38:5)⑵. 따라서 어떤 주석가들은 구스 여인을 에디오피아에서 온 모세의 두 번째 아내로 생각한다(참고; 창 10:6). 더구나 12:1은 구스 여인과의 최근에 있었던 결혼을 지적해 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⑶. 이 경우는 십보라는 죽었거나 모세에 의해 이혼당했을 것이며 그 후에 미리암과 아론이 인정하지 않은 어떤 구스 여인과 결혼을 했을 것이다. 그것도 아니라면 모세는 십보라외에 또다른 구스 여인을 아내로 얻었을 것이다. 우리가 이렇게 몇 가지 해석을 하게 되는 것은 십보라가 구스 여인인 것은 사실이나 여기 구스 여인이 꼭 십보라라고 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여기서 구스 여인이 십보라가 아니었다면 십보라는 죽었을 것이며 모세는 재혼했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모세가 이혼을 하고 구스 여인을 취했다거나 십보라 외에 구스 여인을 얻었다는 해석은 그의 인격이나 그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말씀과 그의 가르침에 크게 모순된다. 따라서 여기서 미리암과 아론의 비방의 대상이 된 모세의 결혼은 그가 미디안(구스)에서 제사장 이드로의 딸 십보라와의 결혼을 가리켰다고 보아야 한다. 이 해석이 옳다고 보는 것은 미리암과 아론이 모두 모세의 선지자적 은사와 그의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불만에서 모세에 대한 비방거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분명하다.
주 1. Gordon J. Wenham, Numbers(Downers Grove:IVP, 1981), p.110 2. Philip J. Budd, Numbers(Waco: Word, 1984), p.136 3. R. Laird Harris, Leviticus(Grand Rapids:Zondervan, 1990), p.797
여기서 부터는 제가 관찰한 바를 쓴 것입니다.
(민 12:1) 모세가 구스 여자를 취하였더니 그 구스 여자를 취하였으므로 미리암과 아론이 모세를 비방하니라
저는 민수기 12장 1절을 읽을 때마다 모세가 구스 여인과 재혼한 것이고 그를 미리암이 트집을 잡은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당연히 그렇게 밖에는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성경에 분명 구스 여인이라고 했으니까요. 모세가 비방 받을만한 행위를 했고 그것을 미리암이 트집잡아 리더쉽의 문제를 들먹거렸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보는 성경 (세르비아어)에는 1절에 구스 여인라고 나와있지 않고 미디안 여인이라고 나와 있었습니다.
„I stadoše vikati Marija i Aron na Mojsija radi žene Madijanke, kojom se oženi, jer se oženi Madijankom.“ (Iz. 12:1)
그래서 한글 여러 번역본을 찾아봤는데 모두 구스 여인으로 나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지고 있는 성경이 잘못 기록이 되었나 했습니다. 그러다가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윗 글을 발견했습니다. 미디안을 구스라고 하기도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미디안이라는 사람이 아브라함의 후처의 자녀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창 25:1,2) “[1] 아브라함이 후처를 맞이하였으니 그의 이름은 그두라라 [2] 그가 시므란과 욕산과 므단과 미디안과 이스박과 수아를 낳고”
저는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이었다는 것에 대해서도 갸우뚱하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아닌데 하나님을 경외하는구나. 그러나 아브라함의 후손인 것을 보고 그 의문이 풀리게 되었습니다.
모세가 십보라가 죽어서 재혼을 했건 아니면 조강지처를 버리고 두번째 아내를 맞이하였다고 생각하건 그 대목은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대목입니다.
모세가 80세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이집트에서 노예 백성 이스라엘을 데리고 나온 이후에 노예 근성이 찌든 백성을 상대하느라고 진이 다 빠졌을 것입니다.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십보라와 모세의 두 아들을 데리고 모세에게로 옵니다. 출 18장.
18장 13절에서는 모세가 하루 종일 재판하느라 모세도 지치고 백성도 지쳤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그의 장인 이드로가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장, 십부장등을 세워 재판을 나누어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출 19장을 보면 2개월이 조금 넘은 시점에 시내산에 도착하고 그 후 십계명을 받고자 40일 금식한 이후 금송아지 사건이 나고 또 다시 40일 금식, 만나와 메추라기 사건등이 연달아 터집니다. 그리고 민수기 13,14장은 열두 정탐군의 이야기가 나오고 그 때 불신의 말을 한 죄로 열 정탐꾼이 죽고 40년 광야 생활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앞뒤 정황을 봤을 때 십보라가 죽었다는 대목도 없고 십보라를 놔두고 80이 넘은 나이에 무슨 힘이 넘쳐서 두번째 부인을 두었다는 것도 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열두 정탐군 이야기까지 내용이 출애굽한 이후 몇달이 못되어 일어난 일이기에 시간적으로도 후처를 들이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입니다.
그리고 모세의 자손에 대해 나온 대목에서도 십보라를 통해 난 두 아들 외에는 기록이 없고 재혼한 것으로 생각하는 여인의 이름도 나오지 않습니다.
(대상 23:14)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아들들은 레위 지파 중에 기록되었으니
(대상 23:15) 모세의 아들은 게르솜과 엘리에셀이라
그래서 민수기 12장의 미리암과 아론이 모세를 비방한 것은 순전히 미리암과 십보라 사이에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또 12장 2절 내용을 보면 미리암의 숨겨진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민 12:2) 그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모세와만 말씀하셨느냐 우리와도 말씀하지 아니하셨느냐 하매 여호와께서 이 말을 들으셨더라
미리암이 정말 모세가 구스 여인을 취한 것을 문제 삼았다면 2절 내용은 나오지 않았어야 합니다.
1절은 2절 내용을 이끌어내기 위한 핑계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그러면 십보라를 비난한 것은 왜 일까요? 아마도 순수 이스라엘 여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랬던 것 같습니다. 또한 모세의 아내로써 십보라가 미리암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것이 못마땅했을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여자들의 질투심일수도 있고요.
아무튼 리더의 자리는 힘이든가 봅니다. 모세는 인간적인 혈기나 위협으로 미리암과 아론의 비방을 누를 수도 있었는데 하나님께 이 문제를 해결해주시도록 맞겼습니다. 그 때 하나님께서 잘 해결해주시고 모세의 권위를 세워주셨습니다.
그다지 중요한 내용이 아닐수도 있지만 모세가 재혼한 것도 아닌데 재혼한 것으로 비추어지고 받지 않아도 될 비방을 받은 것 같습니다.
첫댓글 노아 홍수 이후로 어떻게 이방민족으로 나뉘게 되었을까요? 다 노아의 후손인데요???
그게 미스테리죠.
일단 세 아들 셈, 함, 야벳 별로 흩어져 살게 되었는데 떨어져 살다보니 그 엄청난 홍수 이야기도 잊어져가고 하나님에 대한 믿음도 식어가고 먹고 살기 바쁘고 그래서 하나님이 아닌 다른 우상을 섬기게 된 것이라 보입니다.
엄청난 믿음의 사람 에녹도 여러 아들과 딸을 낳았는데 모두가 구원 받은게 아니었습니다.
오직 므두셀라, 라멕으로 이어지고 노아의 형제 자매도 많았을텐데 오직 노아와 그 가족만 구원을 받았습니다.
결국 믿음은 각자 지켜야하지 부모도 지켜줄 수 없는건가 봅니다.
김성일 장로님의 강의에 세 민족이 나뉘게 된 경위가 잘 나옵니다.
http://cafe.daum.net/waitingforjesus/BUZj/938
이 글의 결론이 그러니까
구스여인=십보라 ? 이건가요?
좀 난해한 글이네요. 우리가 그동안 알고 온거랑 넘 달라서 이해가 좀 안되요.
정말 저위에 글 내용이 맞나요?
아시는분 댓글 좀 달아주세용~~~~
평생동안 알고 있던 것이 잘못된 것이었다는 것이 드러나면 참으로 난감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늘 우리가 틀릴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겸허하게 받아들일 줄도 알아야 한다고 봅니다.
일리가 있는거 같습니다 궁금했던 부분인데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모세의 재혼이라 생각했습니다. 맞다. 안맞다 그다지 중요한건 아닌것같습니다. 주님주신 지혜와 은혜로우신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