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쌀국수를 통한 캄보디아 쌀 생산성 증대 | ||||||||||||||||||||
---|---|---|---|---|---|---|---|---|---|---|---|---|---|---|---|---|---|---|---|---|---|
작성일 | 2013-12-26 | 국가 | 캄보디아 | 작성자 | 임중섭(프놈펜무역관) | ||||||||||||||||
--> -->
쌀국수를 통한 캄보디아 쌀 활용 가능성 - 세계 쌀 컨퍼런스에서 1위를 차지한 캄보디아 자스민 쌀을 이용, 쌀국수 제조 - - 저렴한 인건비와 고품질의 쌀을 이용한 경쟁력 있는 제품 제조 -
□ 캄보디아 쌀국수 투자사업 가능성 탐구
○ 쌀 생산량이 높은 캄보디아에서 쌀국수 제조 - 한국 쌀국수 프랜차이즈 규모가 커지면서 태국과 베트남에 주문제조 방식으로 쌀국수를 직수입하여 사용 - 캄보디아는 2000년에서 2010년까지 쌀 생산량이 아시아에서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국가로 7.4%의 증가율을 보임.
○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쌀 컨퍼런스에서 캄보디아 자스민 쌀이 종합 1위를 차지
○ 캄보디아 정부는 2015년까지 쌀 수출 100만 톤이라는 목표를 세워 미래에도 안정된 원료 수급 가능
○ 한국의 최저 인건비를 캄보디아와 비교 시 약 13배 정도 저렴한 것으로 파악
자료원: www.wageindicator.org, 자체조사
□ 쌀국수 사업관련 자스민쌀 활용 방안
○ 자스민 쌀 현황 및 파쇄미의 쌀국수 관련 활용 방안 - 2012년 자스민 쌀 수출량은 6만5281톤으로 캄보디아 쌀 전체 수출량의 31.73%를 차지 - 캄보디아 정미소 평균수율은 완전미 35%, 파쇄미 20%로 수출된 자스민 쌀을 기준으로 연간 3만7303톤의 파쇄미가 발생 - 캄보디아 자스민 쌀은 품질을 위해 제품으로 포장하기 전 파쇄미의 함유량을 줄이기 위해 입도선별기를 활용하여 파쇄미를 분류 - 일반 쌀은 1kg에 50센트 근처의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자스민 파쇄미는 70센트 정도에 거래가격이 형성되어 자스민 완전미를 사용하여 면을 만드는 것에 비하여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 - 자스민쌀은 한국산 쌀과 마찬가지로 밥을 지으면 찰진 성격을 지니고 있어 한국사람들의 입맛에 적합할 것으로 보임.
동남아시아 쌀 비교 (왼쪽부터 Brown Rice, Mixed wild Rice, Jasmine Rice) 자료원: www.123rf.com
○ 한국의 베트남 쌀국수 업체 현황 - 한국에는 현재 다수의 프랜차이즈 업체 및 개인 업체들이 들어서 있는 상태 - 국내 최대 베트남 쌀국수 체인점인 ‘포베이’와 ‘포메인’의 경우 각각 100개 이상의 가맹점들이 전국에 들어서 있음.
○ 한국 소비자들의 외식 유형 - 한때 유행을 선도하였던 ‘웰빙푸드’가 이제는 유행을 넘어 일반인들이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고려하고 있음. - 베트남 쌀국수는 에스닉푸드의 한 종류로 채소를 비롯해 각종 허브와 향신료 등 저칼로리 재료를 사용하여 웰빙요리로 각광 받음. - 과거 서양식을 주로 찾았던 젊은 층들의 선호가 이제는 쌀국수 등 다양한 음식으로 발전함.
□ 캄보디아 쌀의 쌀국수 활용 시 유의점
○ 이미 베트남 등지에서 남방계 쌀을 한국에 수출 대 한국 쌀 수출 현황 자료원: 무역협회 통계 종합
○ 한국은 국가 주도로 입찰형식을 통해 쌀 수입을 진행하고 있음. - 해외공급자는 과거 2년간의 수출실적 필요 - 한국 에이전시를 통해서 입찰에 참여해야 함. ○ 캄보디아 현지에서 쌀국수를 생산한 후 한국에 수입을 할 것인지, 쌀을 수입한 후 한국에서 쌀국수를 제조할 것인지 판단이 요구됨. - 쌀국수는 경직된 스틱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운송과정에서 파손이 생길 수 있음. ○ 쌀과 관련된 현안은 정치·경제적으로 한국에 민감한 사항이므로 이와 관련된 물품 수입 시 제반사항에 대한 조사가 수반되어야 함.
○ 한국인의 취향에 맞는 품질의 쌀국수 면 개발이 요구됨.
자료원: 프놈펜 무역관 자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