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삼성블루윙즈 Home-Grown Player (매탄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권태안 |
GK |
․ |
․ |
․ |
1992 |
2 |
노형구 |
DF |
․ |
2(2) |
․ |
1992 |
3 |
민상기 |
DF |
․ |
․ |
․ |
1991 |
4 |
김승민 |
DF |
․ |
․ |
․ |
1992 |
5 |
구자룡 |
MF |
․ |
1(1) |
․ |
1992 |
6 |
신연수 |
MF |
․ |
1(1) |
․ |
1992 |
7 |
이종성 |
FW |
․ |
2(2) |
․ |
1992 |
2. 전북현대
의외로 전북은 유스팀 출신 선수가 한명도 없더군요. 제가 잘못 찾은건지 아니면 원래 없는건지...제보 부탁드립니다.
전북현대모터스 Home-Grown Player (영생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 |
․ |
․ |
․ |
․ |
․ |
․ |
3. 포항스틸러스
역시 전통의 명문답게 출신 선수들도 많고 이미 주전을 꿰찬 선수들도 있습니다.
포항스틸러스 Home-Grown Player (포항제철공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신화용 |
GK |
23(0) |
5(0) |
4(0) |
1983 |
2 |
송동진 |
GK |
․ |
․ |
․ |
1984 |
3 |
이원재 |
DF |
2(2) |
․ |
․ |
1986 |
4 |
윤원일 |
DF |
1(0) |
|
|
1983 |
5 |
신광훈 |
DF |
22(0) |
1(0) |
3(0) |
1987 |
6 |
황진성 |
MF |
24(2) |
3(0) |
4(1) |
1984 |
7 |
신진호 |
MF |
1(1) |
4(3) |
1(1) |
1988 |
8 |
김대호 |
MF |
8(1) |
1(0) |
2(0) |
1988 |
9 |
고무열 |
FW |
20(6) |
4(1) |
4(0) |
1990 |
10 |
정정석 |
FW |
․ |
․ |
․ |
1988 |
4. 경남FC
4명 중 3명이 주전 혹은 로테이션 멤버입니다. 알찬 선수구성이군요. 흥미로운 건 진주외고 출신 선수가 있다는 것.
외고에서도 축구선수를 배출하는군요.
경남FC Home-Grown Player (진주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이재명 |
DF |
10(1) |
5(0) |
1(0) |
1991 |
2 |
고래세 |
DF |
1(1) |
․ |
․ |
1992 |
3 |
최영준(진주외고) |
MF |
10(3) |
4(0) |
1(0) |
1991 |
4 |
윤일록 |
MF |
18(7) |
5(0) |
1(0) |
1992 |
5. 광주FC
금호고 출신 선수들은 보이지 않습니다. 신생팀이라 그럴까요. 광주상무 시절 유스팀을 이어받았다고 알고 있는데...
광주FC Home-Grown Player (금호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 |
․ |
․ |
․ |
․ |
․ |
․ |
6. 대구FC
대구 역시 유스팀 소속 선수는 없습니다. 사실, 현풍고는 조금 생소한 고등학교이기도 하니까요.
대구FC Home-Grown Player (현풍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 |
․ |
․ |
․ |
․ |
․ |
․ |
7. 대전시티즌
한 명의 선수가 유스팀 산하 고등학교인 충남공고를 나와서 대전에 입단하였습니다. 더 많아지길 기대합니다.
대전시티즌 Home-Grown Player (충남기계공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정연웅 |
FW |
․ |
1(0) |
․ |
1992 |
8. 부산아이파크
부산 역시 한 명입니다. 경기에 꾸준히 나오는 걸 보니 로테이션급으로 자리를 잡았군요.
부산아이파크 Home-Grown Player (동래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추성호 |
DF |
6(1) |
5(0) |
2(0) |
1987 |
9. FC GS
비명문팀이 축구 명문 동북고를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뭐 딱히 코멘트 할 건 없고 임대를 많이 보냈군요.
유망주의 임대 활성화는 비록 GS이지만 리그를 위해 좋은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천절(오늘이군요)날 수원 관광 제대로 하고 가시길...^^
FC GS Home-Grown Player (동북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이동녘 |
DF |
․ |
․ |
․ |
1992 |
2 |
송승주 |
DF |
․ |
1(1) |
․ |
1991 |
3 |
이광진(대구 임대) |
MF |
․ |
․ |
․ |
1991 |
4 |
이한울 |
MF |
․ |
․ |
․ |
1992 |
5 |
문기한 |
MF |
12(6) |
1(0) |
2(1) |
1989 |
6 |
정승용(경남 임대) |
FW |
3(2) |
2(1) |
|
1991 |
7 |
김현성(대구 임대) |
FW |
22(3) |
3(0) |
․ |
1989 |
10. 성남일화
성남의 희망 홍철 선수가 유스팀 출신입니다.
성남일화천마 Home-Grown Player (풍생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김태윤 |
DF |
23(0) |
3(0) |
4(0) |
1986 |
2 |
장석원 |
DF |
․ |
1(0) |
․ |
1989 |
3 |
홍철 |
DF |
18(1) |
4(0) |
2(0) |
1990 |
4 |
이치준 |
MF |
․ |
․ |
․ |
1985 |
5 |
김덕일 |
FW |
3(2) |
3(0) |
․ |
1990 |
6 |
한그루 |
FW |
1(1) |
․ |
․ |
1988 |
11. 울산현대
울산현대는 출신고를 적어놓지 않아서 연맹정보를 참고하였습니다. 딱히 코멘트할 건 없고 이제 막 유스팀 선수들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군요.
울산현대호랑이 Home-Grown Player (현대고 출신) *울산현대 홈페이지에는 선수 학력이 기재되어 있지 않음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김승규 |
GK |
․ |
․ |
․ |
1990 |
2 |
임창우 |
DF |
․ |
․ |
․ |
1992 |
3 |
임종은 |
DF |
․ |
․ |
․ |
1990 |
4 |
최진수 |
MF |
․ |
1(1) |
․ |
1990 |
12. 인천유나이티드
인천 역시 유스팀을 만든 지 얼마 되지 않았나요. 출신 선수가 한 명도 없습니다.
인천유나이티드 Home-Grown Player (대건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 |
․ |
․ |
․ |
․ |
․ |
․ |
13. 전남드래곤즈
유스의 고장, 유스의 원산지, 한국의 아약스라고 불러도 좋을만큼 유스팀 출신 선수들이 많습니다.
덕분에 조사하는 저는 눈이 빠질 뻔 했습니다...대부분 주전이고 국가대표이거나 국가대표를 지냈던 선수들도 많군요.
전남드래곤즈 Home-Grown Player (광양제철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류원우 |
GK |
․ |
1(0) |
․ |
1990 |
2 |
신정환 |
GK |
․ |
․ |
․ |
1986 |
3 |
윤석영 |
DF |
19(0) |
2(1) |
2(0) |
1990 |
4 |
방대종 |
DF |
8(1) |
4(0) |
2(0) |
1985 |
5 |
황도연 |
DF |
7(2) |
2(1) |
0(0) |
1991 |
6 |
유지노 |
DF |
14(1) |
4(1) |
3(0) |
1989 |
7 |
정준연 |
DF |
12(2) |
3(0) |
2(1) |
1989 |
8 |
김영욱 |
MF |
18(15) |
2(0) |
1(0) |
1991 |
9 |
신영준 |
MF |
16(8) |
1(0) |
3(1) |
1989 |
10 |
공영선 |
FW |
7(0) |
1(0) |
0(0) |
1987 |
11 |
김형필 |
FW |
2(2) |
1(1) |
0(0) |
1987 |
12 |
이종호 |
FW |
16(14) |
3(1) |
1(1) |
1992 |
14. SK 유나이티드
SK의 경우에는 서귀포고 출신은 1명이지만 제주 출신 선수들은 꽤 있었습니다.
SK 유나이티드 Home-Grown Player (서귀포고 출신) | ||||||
|
이름 |
포지션 |
′11시즌 출전 횟수 |
출생연도 | ||
리그 |
리그컵 |
FA컵 | ||||
1 |
강준우 |
DF |
20(4) |
․ |
2(0) |
1982 |
마지막으로 각 구단 별 유스 출신 선수 보유 순위입니다.
K리그 각 팀별 유스팀 출신 선수 현황 | ||
순위 |
팀명 |
유스 출신 선수 |
1 |
전남 |
12 |
2 |
포항 |
10 |
3 |
수원 |
7 |
GS |
7 | |
5 |
성남 |
6 |
6 |
울산 |
4 |
경남 | ||
8 |
대전 |
1 |
부산 | ||
제주 | ||
10 |
인천 |
․ |
대구 | ||
광주 | ||
전북 |
IV. 나가며
...정말 힘들었습니다.ㅠㅠ 이번 역시 재미로 시작했다 근성으로 끝나는군요.
조사를 하면서 각 구단 홈페이지를 한번씩 다 들어가봤는데, 전남의 경우에는 각 선수에 유스팀 출신을 따로 표기해 두었더군요.
자부심이랄까, 그런 게 느껴졌습니다. 이제 조만간 믿고쓰는 전남산 선수가 나오겠군요.
그런 면에서 제일 조사가 편했던 구단은 역시 전남이었고, 제일 불편했던 구단은 울산 이었습니다. 울산은 홈페이지 관리를 잘 안하는 느낌이 들더군요...전북은 선수 소개가 동영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나머지는 다 그냥저냥...
통계는 많은 걸 보여주지만 모든 걸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이번에도 절대적 지표가 아닌 참고용, 재미로 즐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퍼가실 때는 꼭! 출처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왠만하면 안 그러는데 이번엔 고생을 너무 해서...^^;
이글을 보신다면 대한축구협회는 FA cup 32강전 성남일화:목포시청 출전선수명단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선수들은 성남
소속인데 팀명이 수원입니다.
첫댓글 sSu87님 또 정성들인 좋은 글 올려주셨군요.
수고많으셨습니다.
조사하기 쉽지않았을텐데 잘정리된 좋은자료군요.
재미로보는 6강플레이오프글도 공지에서 내린지 얼마안됩니다.
다음 기사 포스팅을 위하여 복사와 이미지저장을하려는데 막아 놓으셔서....;;;
이런 자료는 기사로 나가야 할텐데... 고생하셨어요^^
전북은 영생고가 전북 -U18팀으로 창단된지 얼마 되지않아서 그럴겁니다. 알기론 올해가 3년차라고 알고있는데 3년만에.. 2번인가 전국대회 우승을했고 얼마전에 열린 SBS챌린저스 리그에서 포항에 아쉽게 분패해 2위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저런 성과를 볼때 내년 혹은 이 다음해부터는 눈여겨 볼만한 선수가 나오지 않을까하는 큰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전남과 포항의 유스체제는 갑이라는걸 새삼 느낄수있네요ㅋ
참고로 상주상무는 2011년 8월초 중등부 함참중과 고등부 용운고팀으로 선수공개선발테스트를 마쳐 2011년 12월중 창단예정입니다.
전북은 창단3년차로 졸업생이 없다는 제보이구요.
대구 현풍고도 2009년창단함.
인천의 유준수선수(대건고 고려대)도 유스출신으로 봐야할듯 하네요....;;
유스출신이 없는경우가 대부분 최근창단팀이라 그런것등 내용이 조금 보강되길 기대합니다.
자세히 읽어 보니 기사로 나가기에 조금 정보성에 2% 부족한느낌이 드네요..
본 글이 충실하지않다는 이야기는 아니구요...
요즘 뭐 기사같지도 않는 기사올리는 기자들도 많던데 이런 글정도면 기사로 나가기 완전 충분해 보여요 ㅎㅎ
유스 육성에서 중요한점 중 한가지는 꾸준함이라고 생각합니다. 포항이나 전남이 유스출신선수 비중이 높았던건 남들이 하지 않을때 유능한 선수들을 어릴때부터 스카웃해서 키운점도 크지요. 허나 지금은 거의 모든팀이 유스팀을 운영하지요. 여기서도 수도권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건 어쩔수가 없나봅니다. 향후 꾸준하게 수도권 주변 유스팀(수원gs)에서 좋은 선수들이 많이 배출될것이라 예상해 봅니다. 허나 전남이나 포항같이 포스코라는 통일된 매개체가 없으니 이것이 변수로 작용할수도 있겠네요.(전남,포항과 각 유스팀은 포스코패밀리..)
아무튼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올해부터 전남은 유능한 유스자원이 끊겼다고 합니다.ㄲㄲ
대구유스팀인 현풍고는 올해 청룡기고교대회우승을 했습니다.창단3년만인데 내년부터 유스출신들이 들어올지 아니면 대학갈지..아무튼 몇년은 더 기다려야 제대로 유스출신들이 팀의 주축이 될듯합니다.
ㅡㅡ+ 현풍고 1학년 이지환이 지켜봐주세요 ~!!
공들이신 자료 잘 봤습니다~ ㅎㅎ
울산에 이희성 선수와 박동혁선수도 추가되어야 할것같아요. 그리고 울산은 이제 막 유스팀 선수들이 올라온건 아닙니다.. 지금 수원에 있는 이상호 선수가 울산에 입단했을때를 시작이라고 봐야할것 같네요. 이상호 선수 이후로도 몇몇 유스출신 선수들이 입단했지만 크게 활약을 펼치지는 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흥미롭네요~~
울산팬들 별로 안계신가? 울산의 아들 이진호선수 빠졌네요.. 울산에는 우쭈님이 말슴하신 선수에다가 민훈기, 윤정민, 양민혁 선수까지 추가되어야 합니다. 뭐, 다들 경기는 거의 못뛰고 있지만요.. (흠.. 난 울산팬 아닌데..)
고생이 묻어나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한분이 제한된 정보를 조사해서 다 알수는 없으니, 부족한 부분은 각 팀 지지자 분들이 보태주시면 되고...
이런 정보들이 쌓이면 훌륭한 데이터베이스가 되겠죠 ^^
이야, 이거 자료 수집하느라 고생 많으셨겠군요.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