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매일 반항하는 아이, 엄마의 양육방식이 잘못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6살 여자아이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는 언어발달도 빨랐고 눈치도 빠르고 예민한 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느끼기에는 아이가 사랑받고 싶어하는 마음이 참 큰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클수록 제가 이해하기 힘든 모습들을 보입니다.
얼마전 유치원 선생님께서, 저희 아이가 유치원에서 지나가다 친구가 아이와 실수로 부딪혀 아이에게 가만두지 않겠다고 하며 겁먹을 행동과 말을 했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저에게도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하고 미워한다, 혹은 엄마 나 싫어하지? 말도 안 듣고 시키는 것도 안 하고 그래서 나 싫지? 이런 말들을 합니다.
어린이집에서도 친구를 때리고 선생님 말씀을 안 듣고 하는 것 때문에 문제가 많이 있었습니다. 특히 아이가 선생님께 핀잔을 들으면 꼭 선생님께 보복을 하고 싶어한다는 것에 많이 걱정이 되었습니다. 저와 애기아빠가 애한테 핀잔을 하고 지적을 해도 종종 그런 모습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저희 아이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심리 상담을 받아야 할까요?

A.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머니 아이가 걱정이 많이 되셨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마음이 편하지 않은가 봅니다.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않으면 까칠하게 반응하게 되는데 특히 영리하고 민감성이 우수한 아이들이 더 그렇습니다. 아이가 존재적으로 사랑받고 있다고 여겨야 합니다.
현대는 친밀한 관계맺기로 풀어야 할 일을 훈육과 설명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아는 것을 인정받기 위해서 불안해서 등등의 이유로 묻고 또 묻는지 모릅니다. 인정의 욕구, 사랑의 욕구, 관심의 욕구가 이렇게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설명하거나 훈육하지 말고 대화하라>말합니다. 물론 어릴수록 가르쳐주어야 할 것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만 반응하는 부모는 부모-자녀 관계가 긍정적이지 못합니다. 위협적인 행동을 할 때 아이는 피해받았다고 생각하고 두려움과 불안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자신을 공격한다고 여겼을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관점에서보면 위협적인 행동이지만 본인의 입장에서는 자기가 보호받지 못하고 오히려 피해당했다고 느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어기체가 나온 것입니다. 어머니께서는 이런 아들을 너그러운 아량으로 수용하여야 합니다.
차츰 대화를 확장하여 아이와 “이럴 때마다 엄마가 사랑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거구나! 우리 00이는 언제 또 그렇게 느꼈을까?”, “그 때 마음이 어땠을까?”, “우리 00이는 정말 잘하려고 노력하는 멋진 친구인데, 우리 00이는 이유없이 친구들에게 먼저 주먹을 내매는 아이가 아닌데 친구들에게 주먹을 든데는 무슨 이유가 있구나!” 등등의 말로 자기의 마음을 느끼고 인식하고 표현해가도록 대화의 끊을 이어가야 안정된 아이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 심한 반항의 증상을 보이는 자녀를 위해 이렇게 대처해주세요!
아이와의 갈등이 나빠지고 좋아지지 않는다면, 타임 아웃을 가져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타임아웃이란 격렬한 경기에서 감독이 작전 타임을 부르면 일종의 휴게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부모님께서도 아이와 다투시고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시다보면 먼저 지치실 때가 많습니다. 이 때, 부모님의 감정이 튀어나와 아이의 행동을 더 자극하시거나 오히려 상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께서 스스로의 감정이 격양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실 때는 더 이상의 잔소리는 하지 말아주세요.
아이와의 관계에 부모님의 모든 에너지를 빼앗기지 말아주세요. 아이를 양육하는 것은 힘들며 아이의 일에 대해 도움을 받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교사, 주위의 어른, 배우자와 함께 아이에 대해 고민해주셔야 합니다. 혼자서 아이의 행동을 개선해나가기에는 버거울 때가 많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꼭 받아주세요. 격한 반항을 보이는 아이들이 아동기 제대로 된 치료와 상담으로 개선된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면, 이것이 청소년기의 품행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때문에 가정에서 부모님만의 노력으로 아이의 행동의 개선이 쉽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아이의 심리, 정서적 발달 및 그 원인과 부모님의 양육 방식의 코칭 등을 위해 아동심리 전문가의 상담센터를 찾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출처: 구글 재사용

작성자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이탄영
온라인 상담 하러 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