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梅窓) 본명은 이향금(李香今), 자는 천향(天香), 매창(梅窓)은 호이다. 계유년에 태어났으므로 계생(癸生)이라 불렀다 하며, 계랑(癸娘 또는 桂娘)이라고도 하였다. 아버지는 아전 이탕종(李湯從)이다.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나 당대의 문사인 유희경(劉希慶)· 허균(許筠)·이귀(李貴) 등과 교유가 깊었다. 부안(扶安)의 기생으로 개성의 황진이(黃眞伊)와 더불어 조선 명기의 쌍벽을 이루었다. 부안에 있는 묘에 세운 비석은 1655년(효종 6) 부풍시사 (扶風詩社)가 세운 것이다. 여기에는 1513년(중종 8)에 나서 1550년(명종 5)에 죽은 것으로 잘못 기록되어 있다. 그의 문집 『매창집』 발문에 기록된 생몰 연대가 정확하다. 그는 37세에 요절하였다. 유희경의 시에 계랑에게 주는 시가 10여 편 있다. 『가곡원류』에 실린 “이화우(梨花雨) 흣날닐제 울며 쟙고 이별(離別)한 님”으로 시작되는 계생의 시조는 유희경을 생각하며 지은 것이라는 주가 덧붙어 있다. 허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도 계생과 시를 주고받은 이야기가 전한다. 그리고 계생의 죽음을 전해듣고 애도하는 시와 함께 계생의 사람됨에 대하여 간단한 기록이 덧붙여 있다. 계생의 시문의 특징은 가늘고 약한 선으로 자신의 숙명을 그대로 읊고 자유자재로 시어를 구사하는 데에 있다. 그의 우수한 시재(詩才)를 엿볼 수 있다. 여성적 정서를 읊은 중에 「추사(秋思)」·「춘원(春怨)」·「견회(遣懷)」·「증취객(贈醉客)」·「 부안회고(扶安懷古)」·「자한(自恨)」 등이 유명하다. 그는 가무·현금에도 능한 다재다능한 예술인이었다 부안의 묘에 비석이 전한다. 1974년 그 고장 서림공원에 시비(詩碑)를 세웠다. 추가자료 이매창 이화우(梨花雨)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는가 천 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라 이매창은 조선 선조 때의 부안(扶安) 기생이다. 본명은 향금(香今), 자는 천향(天香), 호는 매창(梅窓)이다. 계유년에 태어나서, 계생(桂生·癸生), 계랑(桂娘·癸娘) 등으로도 불린다. <화원악보>에 시조 1수가 전한다. 신사임당의 장녀이자 율곡 이이의 누이인 이매창과는 동명이인이다. 문집을 간행한 허균의 책임이든, 본인 재능이 과장된 것이든 전해지는 시에 표절 논란이 있는 허난설헌이나 실존은 했으되 실체가 불분명한 황진이와 달리 이쪽은 보다 남은게 분명하다. 1573년 전북 부안현의 아전 이양종(李湯從)의 딸로 태어나, 1610년 사망했다. 평생토록 노래를 잘 하여, 지은 시 수백 편이 그 당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지만 그녀가 죽은 후 서서히 잊혀지고 사라져가자, 그것을 안타까워했던 부안의 아전들이, 1668년, 그녀가 남긴 시 58수를 구해 매창집을 간행하여, 지금도 이매창의 시가 전해진다. 전북 부안에는 2015년 이매창의 묘역을 중심으로, 넓이 7400평 규모의 매창 사랑의 테마 공원이 만들어졌다. 2017년 4월에, 이매창의 영정이 제작되기도 했다. 매창의 생애 이매창은 1573년 전북 부안현의 아전 이양종과 관비의 딸로 태어났다. 매창이 기생으로 살아간 것으로 보아 매창의 어머니는 부안현에 소속된 관비(官婢)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한테 글을 배워 한시에 뛰어났으며 가무도 잘했는데 특히 거문고를 잘 탔다. 관아에 속한 기생은 ‘기안(妓案: 관기 명부)’에 올라 관리를 받았다. 그녀들의 이름은 호방(戶房)에서 출석을 점검할 때 부르기 편하도록 지어졌는데, 매창은 계유년(癸酉年)에 태어났으므로 계생(癸生)ㆍ계생(桂生)ㆍ 계랑(癸娘)ㆍ계랑(桂娘)이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매창은 이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스스로 ‘매창(梅窓)’이라고 자호(自號)했다. 1592년, 20살 무렵, 촌은 유희경(村隱 劉希慶1545~1636)과 만나 사랑을 나누고, 평생의 연인이 된다. 유희경은 이매창보다 스물여덟 살이나 연상인데다가 천민 출신인데, 당시에 이미 명성이 높았던 이매창이 신분이 높지 않았던 유희경에게 강하게 끌렸던 것은 둘 다 시에 능해, 시로 대화가 가능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유희경은 서경덕의 문인인 박순(朴淳)으로부터 당시(唐詩)를 배웠으며, 중인 신분을 가진 시인들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했다. 여기에는 천민 출신 시인 백대붕(白大鵬)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유희경과 백대붕은 함께 시를 잘 짓기로 소문이 퍼져 ‘유백(劉白)’이라 불리기도 했다. 그래서 매창도 이들의 명성을 알고 있었다. 유희경이 부안을 찾아와 이매창을 처음 만났을 때, 이매창은 상대방이 서울의 시객(詩客)이라는 말을 듣고, “유희경과 백대붕(白大鵬) 가운데 누구신지요?” 라고 물었다고 한다. 유희경과 백대붕의 이름이 먼 지역까지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후 연평부원군 이귀(延平府院君 李貴)와 교산 허균(蛟山 許筠)등과도 깊게 사귀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1607년 왜란 때의 공으로 양반이 된 63세의 유희경을 다시 만난다. 하지만, 그도 잠깐. 유희경은 가족이 있는 한양으로 다시 떠났다. 유희경도 많은 시를 통해서 이매창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남겼지만, 현실적으로 당시 한양과 전북 부안은 너무 멀었다. 그리고 3년 후, 광해군 2년(1610) 여름 이매창은 3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이매창 묘 그녀의 시신은 부안읍 오리현(五里峴) 매창뜸에 그녀의 유언대로 그녀가 아끼던 거문고와 함께 묻혔다. 매창이 죽은지 45년만인 1655년에 묘비가 세워졌고, 1668년에 부안의 아전들이 수많은 작품들 중에서 당시까지도 전해졌던 그녀의 한시 54편을 모아 1668년에 개암사(開岩寺)에서 매창집(梅窓集)을 간행하였다. 1983년, 이매창의 묘는 지방기념물 제65호의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그 묘역을 중심으로 매창공원이 만들어졌다. 2015년에는 이매창의 묘역을 중심으로, 넓이 7400평 규모의 매창 사랑의 테마 공원으로 확장되었다. 문인들과의 교류 이매창은 1600년을 전후하여 많은 문인들과 교류하며, 다른 사람들의 문헌에도 이름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것은 허균(許筠, 1569~1618)과의 만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당대 최고의 시 비평가였던 허균은 매창의 재주를 높이 평가하였고, 이에 많은 문인들이 매창을 찾아 시를 주고받으려 하였다. 시를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된 인물들로는 권필ㆍ심광세ㆍ임서ㆍ한준겸 등이 있는데,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문인들과 시를 주고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허균과 매창이 처음 만난 것은 1601년 7월이었다. 허균이 전운판관(轉運判官)이 되어 조운(漕運)을 감독하기 위해 전라도로 내려가던 중, 비가 많이 내려 부안에 머물게 되었고, 이곳에서 허균은 매창을 만나게 되었다. 그 당시의 상황이 허균의 문집에 남아 있다. '거문고를 뜯으며 시를 읊는데 생김새는 시원치 않으나 재주와 정감이 있어 함께 이야기할 만하여 종일토록 술잔을 놓고 시를 읊으며 서로 화답하였다.' 허균은 매창의 외모를 ‘불양(不揚)’이라고 설명했다. 즉, 생김새가 뛰어났던 것은 아니었나 보다. 그러나 허균은 재주와 정감이 있는 매창과 대화하면서 그 매력에 빠졌고, 종일토록 시간이 가는 줄 몰랐다. 많은 문인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이매창의 재주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한양에서 일부러 이매창을 만나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 (이매창의 재주는 이미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유희경이 이매창과 처음 만난 시기인 1592년에도, 이매창이 유희경을 알고 있었던 것처럼, 유희경 역시 이매창의 재주를 들어 알고 있었다고 한다. 허균을 통하여, 그 만남의 폭이 더 넓어진 것이다.) 허균과의 10년간에 걸친 교류가 있었던 만큼, 이매창은 허균의 누이 허난설헌의 글도 읽었을 가능성이 높다. 매창의 작품 세계 이매창은 평생 부안을 떠나지 않았다. 그녀가 많은 사람을 만나기는 했지만, 거의 모든 경우, 다른 문인들이 이매창의 이름을 듣고 그녀를 찾아온 것이지, 그녀가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갔다는 기록은 없다. 이런 그녀의 삶은 그녀의 수많은 작품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데, 그녀의 시의 주된 정서는 "그리움"이다. 현재 매창집을 통해 전해지는 그녀의 시에는, 잠깐 만났던 유희경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은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매창보다 다소 앞선 시대를 살았던 황진이의 시에는, 세상을 조롱하며 누구에게도 굽히지 않고, 그 누구도 사랑하지 않았던 그녀의 마음을 드러내지만, 그에 반해, 이매창의 시는 다분히 수동적이고,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간절히 드러내고 있다. 閨中怨 규중에서 서럽다. 瓊苑梨花杜宇啼 예쁜 정원 배꽃에 두견새 우는데, 滿庭蟾影更凄凄 뜰에 가득한 달그림자 더욱 처량하네. 相思欲夢還無寐 꿈속에서 만나려도 도리어 잠이 오질 않아 起倚梅窓聽五鷄 일어나 매화 핀 창가에 기대니 새벽닭이 우네. 竹阮春深曙色遲 대숲엔 봄이 깊어 새벽빛이 더딘데, 小庭人寂落花飛 뜨락엔 인적 없이 꽃잎만 흩날리네. 瑤箏彈罷江南曲 좋은 쟁(箏)과 거문고로 강남곡을 마치고 萬斛愁懷一片詩 수많은 근심을 한 편의 시(詩)로 품었네. 名技 梅窓(매창)의 관한 관련자료 역사에 대한 많은 관심은 없어지는 시기에 역사에 대한 관심과 바로 역사를 파악하자는 趣旨(취지)에서 이렇게 자료를 조사하게 된 것입니다. 이번 김탁환 선생님께서 『나, 황진이』라는 소설을 다시 개정판으로 내놓으시게 된 것은, 황진이의 시조와 그 당시 그녀가 읊조린 시조를 알리기 위한 것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황진이가 그 당시 읊조린 시는 자작시도 있었지만, 황진이 전에 살다간 아주 뛰어난 문인들이나 역사적 인물들이 지은 시조를 기초로 하여 읊조린 것이라 말을 하고 있다. 옛문인들의 작품들을 만나다 보면 그 당시의 역사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지 않을까 해서 이러한 조사를 한 것이다. 그럼 많은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이만 여기서 조사자의 말은 마치려고 한다. 그럼 매창의 관한 작품세계에 한번 들어 가보자. [순서] Ⅰ. 역사스페셜에서 방영된 매창에 관한 자료 - 공영방송 KBS ‘역사스페셜’에서 자료인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 인터넷 방송으로 보면 더욱 자세히 알게 될 것이다. Ⅱ. 매창의 관한 약력 - 그녀의 관한 신상명세서라 생각을 하시면 좋을 것이다. Ⅲ. 매창이 지은 시조와 그녀와 관련된 시조 당대 최고의 여류시인 매창, 그녀는 왜 유희경을 택했나? 제 목: 매창이 사랑한 남자, 천민 유희경 ■ 주요내용 천민시인 유희경! 그는 천민의 신분으로 태어나 당대 최고의 문인들과 교류하며 시인으로 명성을 떨친 인물이다. 현재 창덕궁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침류대는 유희경의 거주지로써 당시 사대부들과 문학활동을 벌인 최고의 문화공간이었다. 신분제도가 엄격했던 조선시대, 유희경은 어떻게 사대부들과 교류할 수 있었을까? 사대부들과의 교류에 매개체가 된 글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일까? 이 모든 궁금증은 그가 천민이라는데에서 출발한다. 뿐만아니라 유희경은 조선 후기 중인문학의 터전을 여는 풍월향도의 주축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유희경은 어떻게 중인문학의 선구자적 위치에 설 수 있었을까? 이번 주 역사스페셜에서는 조선 최대의 문화공간, 침류대를 중심으로 최고의 문인들과 활발한 교류를 나누고 당대 최고의 여류시인 매창과 사랑을 나눈 유희경의 삶을 들여다본다. ■ 세부내용 1) 유희경, 당대 최고의 여류시인 매창의 마음 사로잡다. 매창은 부안 출생의 기생으로 시와 거문고에 능했으며 여느 기생과는 달리 절개가 곧았다. 그러한 매창이 한눈에 반해 정을 준 남자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천민 시인 유희경. 경남 용문사에 전해지는 유희경의 <촌은집>을 보면 그들의 만남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계남국의량 이름 일찍이 알려져서 글재주 노래 솜씨 서울까지 울렸어라 오늘에서 참 모습 대하고 보니 선녀가 떨쳐입고 내려온 듯 하여라 이 시에서 알 수 있듯이 유희경과 매창이 만날 당시 매창은 이미 유명한 기생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름을 떨친 정도는 유희경도 마찬가지로 유희경도 당시 시인으로 큰 명성을 얻고 있었다. 당대 최고의 시인으로 명성을 날리던 그들은 천민과 기생이라는 사회적 신분에 대한 동병상련을 느끼고 시를 통해 사랑에 깊이를 더해간다. 하지만 1592년 壬辰倭亂(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의병으로 나선 유희경은 매창과 기약 없는 작별을 한다. 2) 천민 유희경, 어떻게 한성부윤까지 올랐나? 허균의 <성소부부고>를 보면 유희경이 천민임을 밝혀주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촌은집>에 따르면 유희경이 살아생전 종2품에 해당하는 가의대부를 지냈고, 사후에는 한성부윤까지 올랐다는 기록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몽인 전>에는 그가 시작 기량이 뛰어났다는 내용도 있다. 어떻게 천민인 그가 시를 지을 수 있었으며 나아가 벼슬에까지 오를 수 있었을까? 그 연유는 유희경이 그의 아버지 3년 상을 치른 것에서 비롯된다. 천민에 불과한 유희경이 3년상을 치른 것은 당대 최고의 학자 남언경의 귀에까지 들어간다. 남언경은 유희경이야말로 효자라고 생각하고 제자로 받아들여 朱子家禮(가례주자)를 가르친다. 남언경으로부터 주자가례를 배운 유희경은 장례를 주도하는 경사를 업으로 살아간다. 그 무렵 유희경은 또 한명의 대스승을 만나게 되는데 그가 바로 시의 대가 박순이다. 유희경은 독서당을 드나들면서 박순과 인연을 맺게되는데 박순은 유희경의 재능을 알아보고 크게 칭찬하고 이를 계기로 시를 가르친다. 3) 침류대의 주인은 천민시인 유희경. 유몽인의 <유희경전>이나 이수광의 <침류대기>를 보면 하나같이 침류대를 무릉도원에 비교하며 최고의 문화공간으로 묘사하고 있다. 많은 사대부들이 최고의 문화공간으로 꼽으며 즐겨 찾았던 침류대는 대체 어떤 곳일까? 침류대는 바로 유희경의 거처로 그가 자신의 집을 스스로 침류대라 부른 것이다. 유희경의 뛰어난 시작 기량과 더불어 그가 壬辰倭亂(임진왜란) 때 세운 공으로 면천한 것을 계기로 많은 문인들이 침류대로 모여들었다. 뿐만 아니라 당시 개방적인 성향의 문화교류는 침류대를 최대의 문화공간으로 만들었다. 이는 남언경과 박순이 유희경을 제자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배경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남언경과 박순은 화담 서경덕의 문인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스승의 개방적이고 실리적인 성향을 이어받아 천민인 유희경을 제자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4) 조선 중인문학의 터전을 연 풍월향도. 풍월향도란 유희경과 백대붕을 중심으로 글을 알고 시를 지으며 풍류를 즐기는 천민들의 문학모임이다. 유희경은 그의 젊은 시절을 풍월향도에서 보낸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 유희경이 면천하게 되면서 풍월향도는 쇠퇴기를 맞는다. 그 이후 시를 즐기는 천민들의 모임은 유희경의 제자격인 최기남을 중심으로 한 삼청시사가 그 맥을 유지한다. 이렇게 양반이하 계층의 문학인들이 자리를 잡아가고 이들을 통칭해 위항문학인이라 부르기 시작한다. 풍월향도와 삼청시사에서 시작된 위항문학인들의 활동은 인왕산을 중심으로 그 활동이 활발해진다. 그 중 가장 큰 두각을 보인 것은 千壽慶(천수경)이 이끈 옥계시사이다. 위항문학인들의 모임은 그 활동이 점차 확대되면서 순수한 문학활동을 즐기기 위한 것에서 신분상승운동의 한 흐름으로까지 이어진다. 5) 이별 그리고 15년만의 재회 임진왜란을 맞아 이별했던 매창과 유희경. 그들이 다시 만난 것은 그로부터 15년 후이다. 이들은 무슨 연유로 15년이란 기나긴 공백을 가져야 했던 것일까? 뒤늦게 부안을 찾은 유희경은 열흘간 머물며 시를 논하자던 매창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왔노라 말할 뿐이다. 그리곤 잠시 머물다 영원한 이별을 고하고 서울 로 돌아간다. 천민의 신분으로 태어나 침류대의 주인으로 수많은 문인들과 교류하며 지냈던 유희경. 그리고 그 곁에는 평생 그를 사랑한 당대 최고의 여류시인 매창이 있었다. Ⅱ. 매창의 관한 약력 매창의 묘 매창(梅窓) 1573(선조 6)∼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본명은 향금(香今), 자는 천향(天香), 매창(梅窓)은 호이다. 계유년에 태어났으므로 계생(癸生)이라 불렀다 하며, 계랑(癸娘·桂娘)이라고도 하였다. 아전 이탕종(李湯從)의 딸로서,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나 당대의 문사인 유희경(劉希慶)·허균(許筠)·이귀(李貴) 등과 교유가 깊었다. 부안(扶安)의 기생으로 개성의 황진이(黃眞伊)와 더불어 조선 명기의 쌍벽을 이루었다. 부안에 있는 묘에 세운 비석은 1655년(효종 6) 부풍시사(扶風詩社)가 세운 것인데, 1513년(중종 8)에 나서 1550년에 죽은 것으로 잘못 기록되어 있다. 그의 문집 《매창집》 발문에 기록된 생몰연대가 정확한 것으로, 그는 37세에 요절하였다. 유희경의 시에 계랑에게 주는 시가 10여편 있으며, 《가곡원류》 에 실린 “이화우(梨花雨) 흣날닐제 울며 $잡01고 이별(離別)한 님”으로 시작되는 계생의 시조는 유희경을 생각하며 지은 것이라는 주가 덧붙어 있다. 허균의 《성소부부고 惺所覆#부41稿》에도 계생과 시를 주고받은 이야기가 전하며, 계생의 죽음을 전해듣고 애도하는 시와 함께 계생의 사람됨에 대하여 간단한 기록을 덧붙였다. 계생의 시문의 특징은 가늘고 약한 선으로 자신의 숙명을 그대로 읊고 있는 것이며, 자유자재로 시어를 구사하는 데서 그의 우수한 시재(詩才)를 엿볼 수 있다. 여성적 정서를 읊은 〈추사 秋思〉·〈춘원 春怨〉·〈견회 遣懷〉·〈증취객 贈醉客〉·〈부안회고 扶安懷古〉·〈자한 自恨〉 등이 유명하며, 가무·현금에도 능한 다재다능한 예술인이었다. 부안의 묘에 비석이 전하며, 1974년 그 고장 서림공원에 시비(詩碑)를 세웠다. Ⅲ. 매창이 지은 시조나 그녀와 관련된 시조 및 편지를 소개한다. - 대표적 작품만 소개합니다. 개암사 - 시를 즐겼던 곳(한국의 산천에서 이미지 제공함, www.koreasan.com) → ‘지봉 이수광’은 매창의 이러한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계랑은 부안의 천한 기생인데, 스스로 매창이라 호를 지었다. 언젠가 지나가던 나그네가 그의 소문을 듣고는, 시를 지어서 집적대었다. 계랑이 곧 그 운을 받아서 응답하였다. 平生 學食東家 (떠돌며 밥 얻어먹기를 평생 부끄럽게 여기고) 獨愛寒梅映月斜 (차가운 매화가지에 비치는 달을 홀로 사랑했었지) 時人不識幽閑意 (고요히 살려는 나의 뜻 세상 사람들은 알지 못하고) 指點行人枉自多 (제멋대로 손가락질하며 잘못 알고 있어라) → 매창 시비에 적힌 시조 석비에 적힌 매창의 시조 매창의 시비 이화우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낙엽에 저도 날 생각는가 천 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 ‘贈醉客’(취한 손님에게 드림) 醉客執羅衫 (취한 손님이 명주저고리 옷자락을 잡으니) 羅衫隨手裂 (손길을 따라 명주저고리 소리를 내며 찢어졌어라) 不惜一羅衫 (명주저고리 하나쯤이야 아까울게 없지만) 但恐恩情絶 (임이 주신 은정까지도 찢어졌을까 그게 두려워라) - 허경진 역 - → 유희경은 매창을 처음 만난 날 그에게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曾聞南國癸娘名 (남국의 계랑 이름 일찍이 알려져서) 詩韻歌詞動洛城 (글 재주 노래 솜씨 서울에까지 울렸어라) 今日相看眞面目 (오늘에사 참모습을 대하고 보니) 却疑神女下三淸 (선녀가 떨쳐입고 내려온 듯하여라) <‘贈癸娘’ 허경진 역> → 매창이 유희경을 떠나보내고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조. 春冷補寒衣 (봄날이 차서 엷은 옷을 꿰매는데) 紗窓日照時 (사창에는 햇빛이 비치고 있네) 低頭信手處 (머리 숙여 손길 가는 대로 맡긴 채) 珠淚滴針絲 (구슬같은 눈물이 실과 바늘 적시누나) <'自恨, 허경진 역'> → 유희경 역시 매창을 그리워하기는 마찬가지였다. 娘家在浪州 (그대의 집은 부안에 있고) 我家住京口 (나의 집은 서울에 있어) 相思不相見 (그리움 사무쳐도 서로 못보고) 腸斷梧桐雨 (오동나무에 비뿌릴 젠 애가 끊겨라) <'懷癸娘, 허경진 역'> ‘허균’은 다음과 같이 매창을 평가했다. 계생은 부안의 기생이라. 詩(시)에 밝고 글을 알고 노래와 거문고를 잘 한다. 그러나 절개가 굳어서 색을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그 재주를 사랑하고 정의가 막역하여 농을 할 정도로 서로 터놓고 얘기도 하지만 지나치지 아니하였으므로 오래도록 우정이 가시지 아니하였다. → 매창을 그리워 하는 허균이 매창에게 보낸 편지이다. 계랑에게 계랑이 달을 보면서 거문고를 뜯으며 '산자고새'의 노래를 불렀다니, 어찌 그윽하고 한적한 곳에서 부르지 않고 부윤의 비석 앞에서 불러 남들의 놀림거리가 되셨소. 석 자 비석 앞에서 시를 더럽혔다니, 이는 낭의 잘못이오. 그 놀림이 곧 나에게 돌아왔으니 정말 억울하외다. 요즘도 참선을 하시는지. 그리움이 몹시 사무칩니다. - 기유년(1609) 정월 허균 → 이 편지는 연인으로서가 아닌 진정한 친구로서 우정을 간직한 허균의 마음을 담은 편지이다. 계랑에게 봉래산의 가을빛이 한창 짙어가니, 돌아가고픈 생각이 문득문득 난다오. 내가 자연으로 돌아가겠단 약속을 저버렸다고 계랑은 반드시 웃을 거외다. 우리가 처음 만난 당시에 만약 조금치라도 다른 생각이 있었더라면, 나와 그대의 사귐이 어찌 10년 동안이나 친하게 이어질 수 있었겠소. 이젠 진회해(秦淮海)를 아시는지. 선관(禪觀)을 지니는 것이 몸과 마음에 유익하다오. 언제라야 이 마음을 다 털어 놓을 수 있으리까. 편지 종이를 대할 때마다 서글퍼진다오. - 기유년(1609) 9월 허균 → 매창의 죽음을 애도한 허균의 시조 哀桂娘 (매창의 죽음을 슬퍼하며) 妙句土甚擒錦 (아름다운 글귀는 비단을 펴는 듯하고) 淸歌解駐雲 (맑은 노래는 머문 구름도 풀어 헤치네) 兪桃來下界 (복숭아를 훔쳐서 인간세계로 내려오더니) 藥去人群 (불사약을 훔쳐서 인간무리를 두고 떠났네) 燈暗芙蓉帳 (부용꽃 수놓은 휘장엔 등불이 어둡기만 하고) 香殘翡翠裙 (비취색 치마엔 향내 아직 남아있는데) 明年小挑發 (이듬해 작은 복사꽃 필 때쯤이면) 誰過薛濤墳 (누가 설도의 무덤을 찾으리) → 서해의 낙조를 가장 잘 볼 수 있다는 월명암 낙조대에도 올랐다. 그녀가 월명암에 올라 쓴 시가 있다 : 개암사(開岩寺) 하늘에 올라 절간을 지었기에 풍경소리 맑게 울려 하늘을 꿰뚫네 나그네 마음도 도솔천에나 올라온 듯 황정경을 읽고 나서 적송자를 뵈오리라 → 한(恨) 봄새라 치위는 가시지 않아 / 볕드는 창가에서 옷을 깁노니 숙인 머리에 눈물이 떨어져 / 옮기는 실귀가 말없이 넞는다 (신석정 역) → 산수(山水)를 찾아서 먼 산은 사뭇 아스므라한데 / 언덕엔 버들이 안개에 묻혀 잔 들어 시름은 풀 곳이 없고 / 고깃배 가는 곳에 살구꽃 핀다 → 등잔불 그무러 갈 제~~ 등잔불 그무러 갈 제 창(窓) 앞 짚고 드는 님과 오경종(五更鐘) 나리올 제 다시 안고 눕는 님을 아무리 백골이 진토(塵土) 된들 잊을줄이 있으리 → 내 가슴 흐르는 피로~~ 내 가슴 흐르는 피로 님의 얼굴 그려내어 방안에 내 자는 족자 삼아 걸어두고 살뜰히 님 생각날 제면 족자나 볼까 하노라 →‘백운사’ 이매창(10세 때 쓴 시) 백운사 절에 올라와 봤어요 (步上白雲寺) 절은 이름 그대로 흰구름 사이에 있군요 (寺在白雲間) 스님, 흰구름을 쓸어 버리지 마세요 (百雲僧莫掃) 내 마음이 흰구름 보면 한가로워져요. (心與白雲閑) -최 향 옮김- → 매창이 간지 350여 년이 지난 어느 날 이곳을 찾아온 한 시인은 그를 추모하며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돌비는 낡아지고 금잔디 새로워라 덧없이 비와 바람 오고가고 하지마는 한 줌의 향기로운 이 흙 헐리지를 않는다. 이화우 부르다가 거문고 비껴두고 등 아래 홀로 앉아 누구를 생각는지 두 뺨에 젖은 눈물이 흐르는 듯 하구나 羅衫裳 손에 잡혀 몇 번이나 찢었으리 그리던 雲雨도 스러진 꿈이 되고 그 고운 글발 그대로 정은 살아 남았다. 개암사 옆길 ※ 시조가 너무 많아서 그만 줄이겠습니다. 여기에 나와 있는 것은 대표적인 것들입니다. ※ 알림사항 명기 매창이 지은 시조와 시문학은 약 57편(매창시선집)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소개한 것은 정말로 조족지혈에 불과 합니다. 매창에 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으시면 부안 문화관광과에 문의하시면 더 자세한 자료를 소개해 줄 것입니다. ☎ 063-583-2101 - 매년 4월이 되면 매창 문화제가 열립니다. 시간이 나시면 부안에 구경갔다 오는 것도 추억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 봅니다. [출처] 매창(梅窓) [출처] 이향금(李香今), 자는 천향(天香), 매창(梅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