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AMD)
AMD
가 썬더볼트 3를 이용해서 고성능 라데온 그래픽 카드를 외장으로 연결해 노트북에서 사용할 수 있는 XConnect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사실 이전부터 이런 비슷한 기술이 나와있기는 하지만,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외장 그래픽 카드 독은 특정
노트북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표준화하면 규격에 맞추기만 하면 여러 가지 종류의 노트북과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수 있어 앞으로 더 쉽게 대중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AMD
와 손잡고 시제품을 선보인 Razer는 375W 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외장 그래픽 카드 독을 같이 선보였습니다. 썬더볼트
3를 지원하는 노트북을 이용하면 외장 그래픽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죠. 썬더볼트는 기본적으로 PCIe 슬롯을 외부로 뺀 것과
같기 때문에 이와 같은 외장 그래픽 카드 지원이 가능합니다.
다
만 단점도 존재합니다. 일단 그래픽 카드를 제외하고도 외장 그래픽 독이 있어야 하므로 비용이 그만큼 추가될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PCIe 3.0 x16 보다 느린 PCIe 3.0 x4를 사용하니 대역폭에서 아무래도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소식을 전한
아난드텍에 의하면 대략 10%정도 성능 하락이 있는 것 같다고 하네요. 물론 그래도 노트북 내장 그래픽 카드 대비 성능은
월등할 것입니다.
최
근 경량 노트북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상대적으로 고성능 노트북 그래픽 카드의 설자리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게임을 위해서 무거운
노트북을 선택하는 사람의 수도 과거보다 줄어들고 있는 것이죠. 스마트폰과 태블릿으로 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이 늘어나면서 굳이
게임을 하기 위해 무거운 게이밍 노트북을 들고 다니는 사람도 과거보다 줄었습니다.
이
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벼우면서도 필요할 때는 게임을 즐길수 있는 대안이 바로 외장 그래픽 카드일 것입니다. 다만 가격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여전히 문제가 없다고 할 수는 없겠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노트북 뿐만 아니라 슬림형 PC 등에도 확장해서
연결할 수 있고 크로스파이어 같은 멀티 GPU 기능도 지원한다면 더 활용도가 높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참고로 현재 지원하는 카드는 R9 Fury, R9 Nano, R9 300시리즈, R290/R290X, R9 280, 그리고 앞으로 출시될 폴라리스 기반 그래픽 카드입니다.
참고
http://www.anandtech.com/show/10133/amd-xconnect-external-radeons
첫댓글 맥에서도 쓸 수 있고 표준화 전략이 먹힌다면 나름 괜찮을듯. 모니터도 직결로 연결할 수 있다 하니..
오호? 이거 괜찮네요..
본체는 출시 됐는데 외장 그래픽 독은 아직 가격조차 나오지 않은 걸 보면 지나치게 비쌀게 분명합니다.
그리고 마침내 발표되었는데 독자규격 에일리언 증폭기 보다 비싼 가격인 40만원 수준에 나왔으며 블레이드 노트북 구매자는 10% 할인이 되나 문제는 애들은 원래 비싸다는 게 문제. 결국 그냥 파스칼, 폴라리스가 잘 나오기를 기원 합시다!
그냥 데스크탑 PC 사는 것이 쌀 거 같은 느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