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비오 10세 교황 기념-묵상과 기도
성 비오 10세 교황은 1835년 이탈리아 베네토 지방 리에세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1858년 사제품을 받고 20년 가까이 본당 사목자로 활동하였고, 만토바의 주교와 베네치아의 총대주교를 거쳐 1903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는 교회 사목을 그리스도 안에서 재정립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특히 교회법을 현대화하여 새 법전을 편찬하고, 성무일도서도 개정하였습니다. 또한 가톨릭 교회 신자 생활과 그 신심을 해치며 위협하는 오류들에 맞서 싸웠습니다. 1914년 선종한 그를 1954년 비오 12세 교황이 시성하였다.
에제키엘 예언자는 잘못된 길을 걷고 있는 목자들에게 " 생명을 걸고 말한다. 하느님의 말이다. 나의 양 떼는 목자가 없어 약탈을 당하고 양 떼들이 들짐승의 먹이가 되었다. 목자들은 양 떼를 찾아보지 않았다. 내 양 떼들을 먹이지 않고 자기들만 먹었다. ..그들에게 내 양떼를 내놓으라고 하고 더 이상 내 양떼를 먹이지 못하게 하겠다."하였습니다.
예수님은 포도밭 임자의 비유에서 이른 아침부터 오후 세시와 다섯 시 등 일하러 온, 여러 시간대에 온 일꾼들 가운데 맨 마지막 시간인 오후 다섯 시에 와서 얼마 일하지 않은 일꾼부터 이른 아침에 온 사람까지 똑같이 한 데나리온을 지급하였습니다. "나는 맨 마지막에 온 사람에게도 당신에게처럼 품삯을 주고 싶소!"
성찰
-. 지난 시간을 되돌아 봅니다. 어제 등. 지난 시간 걸어온 길, 자리, 만남, 대화 등 나의 모습과 말, 행위를 바라봅니다.
-. 사랑과 자비, 진리와 선을 중심으로 나의 허약함과 허물, 그릇됨과 악습 등을 바라 봅니다. 회개와 함께 자선의 길을 찾습니다.
-. 내 안에 살아계신 주님, 자비하신 그분의 현존을 바라봅니다. 그분의 말씀을 듣습니다. 나의 바람을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또 그분의 말씀을 듣습니다.
-. 감사의 마음으로 나의 다짐과 실천의 내용을 기도로 바칩니다.
말씀 묵상
주님의 말씀이 나에게 내렸다. “사람의 아들아, 이스라엘의 목자들을 거슬러 예언하여라. 예언하여라. 그 목자들에게 말하여라. ‘주 하느님이 이렇게 말한다. 불행하여라, 자기들만 먹는 이스라엘의 목자들! 양 떼를 먹이는 것이 목자가 아니냐?
그런데 너희는 젖을 짜 먹고 양털로 옷을 해 입으며 살진 놈을 잡아먹으면서, 양 떼는 먹이지 않는다. 너희는 약한 양들에게 원기를 북돋아 주지 않고 아픈 양을 고쳐 주지 않았으며, 부러진 양을 싸매 주지 않고 흩어진 양을 도로 데려오지도, 잃어버린 양을 찾아오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들을 폭력과 강압으로 다스렸다. 그들은 목자가 없어서 흩어져야 했다. 흩어진 채 온갖 들짐승의 먹이가 되었다. 산마다, 높은 언덕마다 내 양 떼가 길을 잃고 헤매었다. 내 양 떼가 온 세상에 흩어졌는데, 찾아보는 자도 없고 찾아오는 자도 없다.
그러므로 목자들아, 주님의 말을 들어라. 내 생명을 걸고 말한다. 주 하느님의 말이다. 나의 양 떼는 목자가 없어서 약탈당하고, 나의 양 떼는 온갖 들짐승의 먹이가 되었는데, 나의 목자들은 내 양 떼를 찾아보지도 않았다. 목자들은 내 양 떼를 먹이지 않고 자기들만 먹은 것이다.
그러니 목자들아, 주님의 말을 들어라. 주 하느님이 이렇게 말한다. 나 이제 그 목자들을 대적하겠다. 그들에게 내 양 떼를 내놓으라 요구하고, 더 이상 내 양 떼를 먹이지 못하게 하리니, 다시는 그 목자들이 양 떼를 자기들의 먹이로 삼지 못할 것이다. 나는 내 양 떼를 그들의 입에서 구해 내어, 다시는 그들의 먹이가 되지 않게 하겠다. 주 하느님이 이렇게 말한다. 나 이제 내 양 떼를 찾아서 보살펴 주겠다.’” 에제 34,1-11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자기 포도밭에서 일할 일꾼들을 사려고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선 밭 임자와 같다. 그는 일꾼들과 하루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고 그들을 자기 포도밭으로 보냈다.
그가 또 아홉 시쯤에 나가 보니 다른 이들이 하는 일 없이 장터에 서 있었다. 그래서 그들에게, ‘당신들도 포도밭으로 가시오. 정당한 삯을 주겠소.’ 하고 말하자, 그들이 갔다. 그는 다시 열두 시와 오후 세 시쯤에도 나가서 그와 같이 하였다. 그리고 오후 다섯 시쯤에도 나가 보니 또 다른 이들이 서 있었다. 그래서 그들에게 ‘당신들은 왜 온종일 하는 일 없이 여기 서 있소?’ 하고 물으니, 그들이 ‘아무도 우리를 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그는 ‘당신들도 포도밭으로 가시오.’ 하고 말하였다.
저녁때가 되자 포도밭 주인은 자기 관리인에게 말하였다. ‘일꾼들을 불러 맨 나중에 온 이들부터 시작하여 맨 먼저 온 이들에게까지 품삯을 내주시오.’ 그리하여 오후 다섯 시쯤부터 일한 이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 받았다. 그래서 맨 먼저 온 이들은 차례가 되자 자기들은 더 받으려니 생각하였는데, 그들도 한 데나리온씩만 받았다.
그것을 받아 들고 그들은 밭 임자에게 투덜거리면서, ‘맨 나중에 온 저자들은 한 시간만 일했는데도, 뙤약볕 아래에서 온종일 고생한 우리와 똑같이 대우하시는군요.’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그는 그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말하였다. ‘친구여, 내가 당신에게 불의를 저지르는 것이 아니오. 당신은 나와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지 않았소? 당신 품삯이나 받아서 돌아가시오. 나는 맨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당신에게처럼 품삯을 주고 싶소. 내 것을 가지고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이오? 아니면,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이처럼 꼴찌가 첫째 되고 첫째가 꼴찌 될 것이다.” 마태 20,1-16
말씀 실천
목자의 일은 양들의 원기를 북돋아 주고 아픈 양을 고쳐 주며, 부러진 양을 싸매 주고, 흩어진 양을 도로 데려옵니다. 잃은 양을 찾아 옵니다. 목자는 양들을 이끌고 좋은 풀을 찾아 주고, 시원한 물을 마시게 합니다. 이리떼의 공격을 퇴치하고 목장을 만들어 돌보고 보호합니다. 목자는 양들을 살리고 위기에서 보호하며 그들에게 살아있음, 생명을 수호합니다.
세례를 받고 하느님의 자녀가 되고, 교회의 형제 자매가 되고, 교회의 일꾼이 된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목장의 양떼의 목자처럼, 그도 선한 목자가 됩니다. 가정을 그렇게 돌보고, 교회와 사회의 직분을 가진 이로서, 그리고 세계의 공동의 선을 위해서 있는 곳과 위치에서, 맡은 직분과 역할에서 그런 선한 목자의 역할을 합니다.
우리에게 생명과 구원을 주시는 주님, 저희 모두가 주님의 선한 목자의 길을 따라 살게 하소서. 그 목자의 직분으로 돌봄과 양식과 보호와 기름을 전하는 목자 되에 하소서. 온 목장의 양들이 즐거움과 기쁨을 가지고 살게 하소서.
마침 기도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을 바칩니다.
이재을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