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고석정
![](https://t1.daumcdn.net/cfile/cafe/17058F43501D27B832)
![](https://t1.daumcdn.net/cfile/cafe/201A6743501D27BB1E)
고석정관광지 입구
![](https://t1.daumcdn.net/cfile/cafe/161A9743501D27BE1E)
이곳에서는 주차비만 받는다--- 소형 2,000원, 대형 5,000원
![](https://t1.daumcdn.net/cfile/cafe/192BB043501D27BF0D)
주차장의 모습은 나올때(11시 54분) 촬영한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019A943501D27C31D)
주차장 옆에 있는 한탄리버 스파호텔(Hantan River SPAHOTEL)
부부가 여행시 게르마늄온천호텔로 하루 묶어가도 좋을듯 : 호탤 홈페에지 ☞ http://www.hantanhotel.co.kr/
![](https://t1.daumcdn.net/cfile/cafe/182AE543501D27C409)
고석정 이정표 - 호텔앞을 지나 전적관 뒤편 방향으로 표지가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3439842501D27C622)
두루미분수와 임꺽정 동상 - 전적관 뒤편을 지나 좌측으로는 매점이 있고
우측으로 분수대와 동상이 보이고 동상앞으로 넓은 광장이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15B2242501D27C70B)
고석정으로 가는 좌측에 보이는 ---- 철원군에서 세운 88서울 올림픽기념비
![](https://t1.daumcdn.net/cfile/cafe/14569642501D27CA11)
평화통일기원시비가 보이고
![](https://t1.daumcdn.net/cfile/cafe/19230945501DC33A09)
좌측의 식당을 지나 면 고석정 입구가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362342501D27CB33)
고석정(孤石亭)
지정번호 : 강원도 기념물 제 8호
위치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고석정은 한탄강의 중류 지점에 위치, 화강암과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명승고적지로서 신라 진평왕 (A.D 598~627)때에 축조된 정자를 비롯하여 강 중앙의 약 23m 높이로 우뚝 솟은 자연거석인 고석바위와 주변의 화강. 현무함 계곡을 총칭하여 당시에 고석정이라 명명되었으며 많은 전설, 유적, 시문이 전해져 내려오는 유서 깊은 곳이다.
이곳에서 조선 명종때 임거정이라는 문무를 겸비한 천인이 등과의 길이 없는 것을 탄식하며 불만을 품고 이에 동조하는 대적당을 조직하고 강건너 편에 석성(2,892척)을 쌓고 조정에 상납되는 공물을 탈취하여 서민에게 분배해 준 의적으로 활동했던 곳이다.
임거정은 1562년 관헌의 토포사인 남치훈 (철원부사)의 토벌 작전에 말려 황해도 구월산에 은신 중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임거정이 위기 때마다 꺽지로 변해 강물 속으로 은신했다고 하여 훗날 사람들은 임꺽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온다.
이곳 고석정(孤石亭)은
1977년 3월 17일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1989년 11월 4일자로 전적관이 준공됨으로서 이곳에서 철의 삼각전적지 관광안내를 총괄하며, 고석정에는 두루미 분수와 강변 계곡 폭포, 군화인 철쭉 군락지 및 임꺽정 광장 그리고 어린이 유희시설, 넓은 잔디 광장, 다목적 운동장 등이 있다.
이 곳에서 상류로 약 2km 지점에 직탕폭포와 하류 약 2km 지점에 순담이 위치해 있으며 넓은 잔디광장과 기계유희시설(바이킹 등 19종) 등이 있어 어느 때나 관광객이 즐겨 찾고 있다. 또한 철의삼각전적지 관리사무소가 있어 안보관광도 함께 할 수 있는 관광의 최적지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5E5042501D27CC08)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6453D501D27CD04)
고석정으로 내려가는 층계
![](https://t1.daumcdn.net/cfile/cafe/2041903D501D27CE18)
층계를 한참 내려가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39883D501D27D01E)
고석정자(孤石亭子)
지금의 고석정자는 6.25 동란시 소실되어 1971년 7월 14일 재 건립된 것이며
동년 12월 16일자로 강원도 지방기념물 제 8호로 지정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32D83D501D27D124)
아래 천막사는 통통배 승선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111E713D501D27D239)
약 23m 높이로 우뚝 솟은 자연거석인 고석바위
![](https://t1.daumcdn.net/cfile/cafe/1453093D501D27D307)
협곡이 많기로 유명한 한탄강변 중에도 최고의 협곡이 바로 이 고석정이다.
강 양쪽으로 깍아지른 듯한 바위가 병풍처럼 서 있고,
그 입구에 우뚝 솟은 바위가 있어, 가히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케 한다.
이런 경관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경치임에 틀림없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2B323D501D27D430)
통통배 승선비 : 어른 4,000원/어린이 2,000원 - 통통배를 타고 주위를 둘어보는데 10 여분 걸린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28F741501D27DB03)
![](https://t1.daumcdn.net/cfile/cafe/12778641501D27DC33)
![](https://t1.daumcdn.net/cfile/cafe/13755C41501D27DD35)
![](https://t1.daumcdn.net/cfile/cafe/18499F42501D27DE1F)
![](https://t1.daumcdn.net/cfile/cafe/124C1742501D27DF1B)
![](https://t1.daumcdn.net/cfile/cafe/195BA842501D27E20B)
![](https://t1.daumcdn.net/cfile/cafe/19592B42501D27E30E)
임꺽정이 이 큰 바위에 숨어 살다가 관군이 잡으러 오자
꺽지라는 물고기로 변해 한탄강으로 뛰어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참고> 임꺽정(Daum백과사전)
조선 중기의 의적(義賊).
16세기 중반 몰락농민과 백정·천인들을 규합하여 지배층의 수탈정치에 저항, 정국을 위기로 몰아넣었다.
홍길동(洪吉童)·장길산(張吉山)과 함께 조선의 3대 도적으로 일컬어진다. 일명 임거정(林巨正)·임거질정(林居叱正).
경기도 양주에서 백정 신분으로 태어나 황해도에서 생활했다.
뜻을 같이하는 비슷한 처지의 농민 수십 명과 그 가족으로 집단을 이루어
황해도의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도적활동을 시작했다.
날쌔고 용맹스러우며 지혜로웠던 그는 1559년경 황해도·경기도·평안도까지 활동영역을 넓혀
이 지역의 관청이나 양반·토호의 집을 습격, 이들이 백성에게서 거두어들인 재물을 빼앗았다.
또한 서울·평양 간 도로와 그밖의 주요교통로를 장악하여 정부가 농민들로부터 거두어들인 토지세·공물·진상물 등을 탈취했다.
이와 함께 관군의 방비와 토벌의 허점을 교묘히 찌르며 세를 확장하면서, 빼앗은 재물을 빈민들에게 나누어주어 의적으로서의 성가를 높이고 이들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았다. 위기감을 느낀 정부 지배층이 여러 차례 관군을 동원하여 진압하려 했으나, 이를 번번이 물리치고 1559년에는 개성부 포도관 이억근(李億根)마저 잡아죽였다.
1560년 가을에는 봉산·개성을 거점으로 서울까지 진출했으나, 같은 해 11월 참모인 서림(徐林)이 체포되면서 결정적인 타격을 받았다. 정부는 서림에게서 활동의 계획과 비밀을 알아내고 선전관 정수익(鄭受益)과 봉산·평산의 관군으로 하여금 토벌하도록 했으나 뛰어난 전투력과 농민·이서(吏胥)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 세력을 보존할 수 있었다.
당시 이서와 농민의 도움은 임꺽정의 부대가 모이면 도적이 되고 흩어지면 백성이 되어 출몰을 예측할 수 없어 잡을 수가 없다고 할 정도로 적극적이었다. 1561년에 들어 황해도, 경기도 북부, 평안도, 강원도 지역에 출몰하여 활동했으나 관군의 대대적인 토벌이 이어져 형인 가도치(加都致)가 체포되는 등 세력이 점차 위축되었다. 토포사 남치근(南致勤)이 이끄는 관군의 끈질긴 추격으로부터 도망하던 중 마침내 1562년 1월 서흥에서 부상을 입고 체포당해, 15일 만에 죽음을 당했다.
임꺽정의 의적활동은 연산군 이후 명종대에 이르기까지 조선 전체에서 일어났던 농민봉기의 일환이며 그 집약점이었다. 이 시기 농민의 저항은, 당시의 사관이 "도적이 되는 것은 도적질하기 좋아서가 아니라 배고픔과 추위가 절박해서 부득이 그렇게 된 것이다. 백성을 도적으로 만드는 자가 누구인가"라고 기록한 바와 같이 사회경제적 모순이 격화됨에 따라서 지배층에 저항하여 전국 각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났다.
비록 실패로 끝났으나 임꺽정 집단의 치열하고 오랜 활동은 정부·지배층에게는 불안과 공포의 위기의식을 심어주었으며 피지배층 일반에게는 희망을 안겨주었다.
이에 따라 그에 대한 평가도 상반되어 지배층은 그를 흉악무도한 도적이라고 했고 민중들은 의적으로 영웅시했다. 그뒤 그에 관한 많은 설화가 민간에 유포되었고, 그의 행적이 소설로 그려지기도 했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7E5841501D27E52C)
정자 뒤에 있는 건물은 화장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7CDD41501D27E633)
![](https://t1.daumcdn.net/cfile/cafe/207B2F41501D27E72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743135501D2AEA05)
![](https://t1.daumcdn.net/cfile/cafe/11603835501D2AEB1F)
고석정자 입구를 나와
![](https://t1.daumcdn.net/cfile/cafe/195EA235501D2AEC20)
![](https://t1.daumcdn.net/cfile/cafe/2042D735501D2AED3E)
전적관 옆에 두루미분수대와 임걱정 동상
![](https://t1.daumcdn.net/cfile/cafe/2071C435501DB6462D)
임꺽정 동상 과 두루미분수대
![](https://t1.daumcdn.net/cfile/cafe/175E8635501D2AEE21)
두루미분수대에서 고석정관광지 정문 방향의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cafe/16562735501D2AEF29)
철의 삼각 전적관 앞에 6.25 전쟁시 사용한 전투기들이 전시되 있는것이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54F635501D2AF22E)
![](https://t1.daumcdn.net/cfile/cafe/166C9535501D2AF30D)
![](https://t1.daumcdn.net/cfile/cafe/12770B35501D2AF402)
![](https://t1.daumcdn.net/cfile/cafe/165F7E35501D2AF520)
![](https://t1.daumcdn.net/cfile/cafe/15650535501D2AF618)
![](https://t1.daumcdn.net/cfile/cafe/145A6035501D2AF723)
철의 삼각 전적관
철의삼각지 전적관은 한국전쟁 때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철의 삼각지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관으로 당시 전투에 관한 자료를 볼 수 있다.
또한 철의삼각지 전적관에서는 철원의 비무장지대를 돌아보는 철의 삼각지 견학을 할 수 있다.
전적관에서 신청을 하면 제2땅굴, 철의 삼각지 전망대, 월정리역, 백마고지 등을 운행하는 버스를 타고 비무장지대 여행을 할 수 있다.
철의 삼각전적지 관광사업소 : (033)450-5558, 450-5559 팩스:450-5438
'
![](https://t1.daumcdn.net/cfile/cafe/14083C41501F43AA1D)
![](https://t1.daumcdn.net/cfile/cafe/1233D938501D2AF81E)
전적관 내부
![](https://t1.daumcdn.net/cfile/cafe/12398A38501D2AF918)
![](https://t1.daumcdn.net/cfile/cafe/13470038501D2AFA08)
![](https://t1.daumcdn.net/cfile/cafe/1320DE38501D2AFB32)
![](https://t1.daumcdn.net/cfile/cafe/173D4C38501D2AFC14)
![](https://t1.daumcdn.net/cfile/cafe/18214C38501D2AFD32)
![](https://t1.daumcdn.net/cfile/cafe/18494638501D2AFE07)
![](https://t1.daumcdn.net/cfile/cafe/17422034501D2AFF31)
![](https://t1.daumcdn.net/cfile/cafe/143B2C34501D2B003A)
고석정에서 나와 이 곳에서 상류로 약 2km 지점에 있는 직탕폭포로 향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605F34501D2B0110)
직탕폭포
병천에 커다란 순대집들이 많지만 이집이 잘한다고 하여 왔다. 1시에 왔는데도 자리가 나야 앉을 수 있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5B2F38501FAE3D21)
독립기념관 출입구 - 주차료를 내야 들어갈 수 있다.(소형2,000원 대형3,000 원)
병천에서 식사 후 목천 독립기념관으로 왔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2513338501FAE3E2B)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 앞 광장으로 폭 222m, 길이 258m, 면적은 약 38,535㎡이다. 기념행사나 열린 음악회같이 수만 명이 모이는 큰 행사를 치를 수 있다. 중앙부는 화강석 포장으로 되어 있고, 외부는 온양판석과 잔디마감으로 되어 있다.
◈ 태극기 한마당
민족의 독립정신과 자주의식을 고취하고 나라사랑의 마음을 갖게 하기 위해 광복60년의 해인 2005년 광복을 상징하는 815기의 태극기를 연중게양 하는 “태극기한마당”을 독립기념관에 조성하였다.
◈ 전시관외에도 볼거리가 많습니다.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http://www.i815.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