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귀격(日貴格)
일귀격이란 생일에 귀인을 놓아 이루어졌다는 격인데. 그 귀인이란 관귀(官貴)를 말함이 아니고, 옥당 천을귀인(玉堂天乙貴人)을 말하는것이다,
갑무경축미(甲戊庚이 丑이나未)
을기신자을기(乙己이申이나子)
병정해유(丙丁이 亥나酉)
신오인(辛이午나寅)
임계사묘(壬癸가巳나卯)의 귀인을 말함인데,이 귀인을 십이지중에 진술을 빼고 십지(十支)가 모두있는바, 직접 일지에 귀인이 임할수있는 날자는 정해,정유,계묘,계사일의 사일뿐이다. 그리고 천을귀인이 진술위에 임하지않는것은 괴강부정도누지위(魁강不正都陋之位)가 되어서이다.
그런데 이 일귀 사일은 또다시 주귀(晝貴) 야귀(夜貴)로 구별되는데 계묘,계사일은 묘사로써 낮이라하여 주귀라고하고, 정유,정해는 유해로써 밤이라하여 야귀라고하는것이다.
보통 주야귀를 합져 일귀로 칭호하고 있는것이다.
이 일구가 기피하는것은 형충파해하는것과 또 공망과 전술(塡實)인 괴강인것이고, 기뻐하는것은 사주에나 또는 행운에서 회합{삼합}을 만난것이다.
이격의 문헌을 참고하여 본다면 고가(古歌)에서 말하기를 화우저계(火遇猪鷄)- 정유 정해 계토사(癸兎蛇)-계묘 계사는 형충파해를 싫어하고 회합하면 귀하다고하고, 구주에서는 일귀는 계묘,계사요,야귀는 정유,정해라고 주를 달아놓았고, 또 이격에 제일 싫어하는것은 형충파해와 공망,괴강{辰戌}이라고 말하고있다.
또 정해불충(丁亥不沖)계묘성(癸卯星)고 정유 계사 가영풍(家盈豊)이라 귀인회합(貴人會合)하고 관성현(官星顯)이면 마열문비부수증(馬列門排富壽增)이라 재만고품영형다(財滿庫稟盈亨多)하니 청명표사득승등(淸名標飼得升騰)이라,위인은 정직무사곡(正直無邪曲)하니,
품성이 충량여부평(忠良如부平)이라고하여 그 구성과 성품및 귀품(貴稟)을 기재하고있다.
그런데 명리정종에 장남선생은 속단하여 말하기를, 일귀격은 갑무경귀인은 축미요 을기의 귀인은 자와신이다. 이 이치가 비록 천을귀인에 있는것이어서,일주가 귀인에,좌임(坐臨)하였으므로 귀하다고 말하는것이지만,일귀에는 휴구(休咎)함이 없지않아있다. 귀인설에 몇가지 단후처(端厚處)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해서 일귀격으로 이름지어 믿기에는 너무나 이치에 부당하다, 사주를 봄에 있어 일주로서만, 어떤 단정을 내릴수없는 이상, 재관인성(財官印星)을 결부하여 논하지않고, 그 일주만 가지고 논한다면 허공에 뜬 근거없는 이론이라 아니 할수없으니, 어찌 이것을 믿겠는가!
이격은 육을서귀, 또 소아관살같은 망설이라고 말하고있다.
그러나 나의 우견으로 생각할때에,장남설과 같이 일록도 믿기에 부족한설이다.천을귀인도 믿기에 부족한 설(說)이라하고,모두 배제한다고 하면 하나도 신살은 필요없을것이다.
물론 나도 일귀면 그 단독일주만을 가지고 무조건 吉(길)로 단정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격국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나뿐아니라 거의가 다 그렇다해도 과언은 아닐것이다.
그는 물론 일주와 사주의 월지 장간 그리고 재관인상관,식신등 그 배정에 의하여 추심해나가는것은 물론이지만, 그 일주는 그 중심이 되는것은,다시 말할나위도 없는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그 일주자체가 간여지동(干與支同)되는것,또는 자좌살지(自坐殺地)되는것,또는 자좌인수(自坐印綏)되는것이 가각 그 체성(體性)달라서,재,관,인수격국 추리에 영향이 달라지는것이 사실이니, 전록이라든가, 일귀라든가 일주공망이라든가의 일주개성(個性)에 영향이 어찌 전연없겠는가.
건물로 비유하여 본다면, 일주는 어간 기둥이다. 그런데 기둥하나만 가지고 그 집을 평가할수는 물론 없는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어간 기둥이 하나로써, 그집의 돋보이고 얕보이고하는 영향을 줄수있는것이므로, 포플러나무기둥과 소나무나무기둥과 잣나무나무기둥과 삼나무나무기둥이 각각 그 귀품을 지니고 있는바가 다른것이니, 사주일주도 그와 같이 일주 독단적으로도 개성이 뚜렷이 있는것이 사실인데 불구하고, 전연 무시해 버리려는것은 너무 경솔이라 아니할수있다.
고로 상관용인격이라하면 꼭 같을것같지만, 갑을일의 상관용인격,병정일의 상관용인격 또는 전록격의 상관용인격,일귀격의 상관용인격이 각각다름이 분명한것이니, 너무 경시하여 베제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보는것이다
결론은 일귀는 신살사주요, 재,관,인,식상은 육친사주요, 그것으로써 격국을 정하여, 용신을 세워 보는것은 격국용신사주다.
그런데 그 중 격국용신법으로 사주를 보아야 한다는것은 동감이지만, 신살을 불신하라는점에대해서는 나는 신살을 참고로 하여,보는것이 믿을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는것이다,{절충론}
*시결해설
천간귀인이 일지에 같이 있음을 일귀격이라고 하는것이니,가령 정의 귀인은 유와 해로써 이것이 일주지지에 같이 놓여있는 정유,정해일을 말하는것이니 요약하여, 정유,정해,계묘,계사일생을 일귀격이라고하는데, 이격은 공망,형충을 기피한다.
이격을 놓은자는 품성이 인자하고, 덕망이 있으며, 자색이 감도는데, 재향(財鄕)이 회동하면,스스로 숭고하게 되는것이다.
이 격이 회합해서 얼키어 임하면, 바야흐로 귀하게 되는것인데, 이것을 다시 주귀,야귀로 나눠서 봄이 좋다,
형충파해가 있으면, 항상 화(禍)몸을 따르는것인데, 만약 순수하게 격이 이루어지면, 인덕이 있으니 부귀로 존숭(尊崇)을 받으며,휘기(稀奇)하게,출현하는 인물이 되는것이다.
계묘,계사일의 일귀격은 정유,정해일의 일귀격에 우월하다고 자랑하는것인데. 형충공망이 그 일귀위에 만나지아니하면, 나라님을 보좌하여 크게 공훈을 세우게 되는것이다.
계 정 신 경
묘 해 사 오
일정해좌일귀격(日丁亥坐日貴格)
사오해묘각각합(巳午亥卯各各合)
수왈충공경유합(雖曰衝空更有合)
격청국정대학자(格淸局正大學者)
이사주는 정해일로 분명 일귀격이다, 년월이 사오로 일시가 해묘로 가각 합하고있다. 연이나 정해일은 공망이요, 사해는 충이라하나, 모면하여 격청국정(格淸局正)으로써 대학교이며 큰학자가 된 사주다.
병 정 신 신
오 유 추 금
정유일귀격분명(丁酉日貴格分明)
일무귀물격숭고(一無忌物格崇高)
야귀회합내시가(夜貴會合乃是佳)
설필생금청귀인(舌筆生金淸貴人)
이사주는 정유일생으로 일귀격이 분명한데 기물{형충공망,괴강)을 만나지 아니하여, 그 격이 숭고하다. 다시 차격을 분별할"때 야귀격이 되는것이고 귀 유축유로 회합하여 매우 아름답다, 필설로 생금하여 청귀인으로 대학교수가 된 사주다.
무 계 을 계 坤
오 사 축 해
계사분명일귀격(癸巳分明日貴格)
명암부집난회피(明暗夫集難回避)
일주불감중토살(日主不堪衆土殺)
암합관성소실명(暗合官星小室命)
이사주는 계사일생으로 일귀격이 분명하다, 그러나 시상무토 오중기토 축중기토로 암관명관(暗官明官)으로 관살이 많아 명아부집으로 일주계수가 많은 관살을 이겨낼 재간이 없어 여러번 출가하게 되었고, 또 사주무토에 무계합으로 암합관(暗合官)하여, 남의 소실로 사는 여명의 사주다.
임 계 정 신
자 사 유 유
계사일주주귀격(癸巳日主晝貴格)
사유회합우우가(巳酉會合尤우佳)
사유화금 " 수격(巳酉化金" 水格)
금수쌍청진귀인(金水雙淸眞貴人)
이사주는 계사일로써 일귀격이다. 사유로 합화하여 매우 아름답다. 또 사는 유에 합하여 금으로 화하니 사주전체가 금수격이 되니, 금수썽청격으로써 격이 순수하여 대학교수로써 진귀인이 된사주다.
이런경우의 정화는 자좌살지(自坐殺地)에 실령하였고, 또 뿌리를 둔 사화는 사유합금으로 변하여 금수수기(金水秀氣)에 금수청국하여 비록 정화가 사에 뿌리가있다하나, 금수전권(金水全權)으로 정화는 사용하지못한다.
*참고,대학교수가 된것은 추명가 년월일시 삼중인수 순수하게 격이루면 대학교수 학총장에 고상학자 분명하다에 의한다.
계 계 신 임
해 묘 해 술
계묘일주좌일귀(癸卯日主坐日貴)
좌우회합내우가(左右會合乃尤佳)
일국법정명관인(一局法廷名官人)
존숭청귀출희기(尊崇淸貴出稀奇)
이사주는 계묘일이 묘상에 앉아 일귀격이 분명하고, 좌로 우로 해자를 얻어서, 회합귀인하여 이에 더욱 아름답다. 한나라 법정(정단도 가)에 명관으로 존경받으며 청귀하게 사는 희기한 사주다,
*추명가 수목일생 술해시는 법관중에 많이 본다.
계 계 무 계 坤
축 묘 오 미
계묘좌묘일귀격(癸卯坐卯日貴格)
주중살다여명흠(柱中殺多女命欠)
재장은살경상중(財藏隱殺經商中)
기부합신처녀태(起夫合身處女胎)
이사주는 계일이 좌묘상하여 일귀격은 분명하다. 그러나 주중에 미중기토, 월상무토,월지오중기토,시지 축중기토로써 너무 관살이 명암(明暗)으로많다,그런데 오미 재국(財局)중에,관살이 은익되어있고, 재국은 商(상)이요, 관살은 부성(夫聖)로 장사하다가 애인이 일어나서, 묘미(卯未)신과 합하니 미는 관으로 남편이요, 묘는 식신으로 딸이요, (음일에는 식신이 딸) 일주는 내몸이니 남편,내몸, 자손이 합하는 상이되어, 처녀애기를 배어 몸을 망치고 말은 사주다.
병 계 신 계
진 묘 유 축
계묘일생일귀격(癸卯日生日貴格)
묘유상충불가미(卯酉相沖不可美)
유축묘진쌍쌍합(酉丑卯辰雙雙合)
일귀용관희신화(日貴用官喜神火)
이사주는 계묘일생으로써 일귀격{주귀)인데 이격이 기피하는 묘유충을 만나 불미하다하나, 다행히 유는 축으로 묘는 진으로 각긱 합하여 충돌을 묘면하게 된다.
그리고 유궁 신금이 투출하여 인수격을 이루어 신왕으로써 관을 바라는데 마침 진중의 무토가 있어 기쁘다, 천상병화가 있어 더욱 좋던중 대운의 무오,정사,병진말을이 이어져서 마침내 은행장까지 되었다가 을묘대운에 퇴직하고 말았는데 앞으로 70,721세에 계해,갑자세운에 병진화토를 합목손상(合沒損傷)하여,대단히 위험하리라 본다.
갑 계 정 갑 坤
인 묘 묘 자
계묘일귀동서합(癸卯日貴東西合)
순수지격기무의(純粹之格期無疑)
합귀합다시상관(合貴合多是傷官)
홍등록주명기생(紅燈綠酒名技生)
이사주는 계묘일생으로, 분명히 일귀격이다. 그리고 동서좌우에 인묘로 귀인이 합다되었고, 또 시상상관으로 되어있다. 연해자평 여명시결에 운하여 사주국중에 상관이 나타나니 필작당전(必作堂前)에사환인(使喚人)이라하였고, 또는 추명가 합다합귀 좋다마소 사랑통에 죽어나니 밤낮으로 영빈송객(迎賓送客) 봉별(逢別)함이 여뢰(如雷)로다에,해당하여 기생몸이 되었는데, 가무에 능하고, 문예역시 능하여 명기가 된사주다.
*참고 일귀격은 대체적으로 여명에는 불미한 격이다.
왜냐하면 가령 계묘일주는 일좌식신으로 관을 극함이요, 계사일은 무토을 암장하여 암합하여 부정또는 명암부집이 되기쉽고, 또 정해일은 해중 임수로써, 정우임이태과(丁遇壬而太過)되기쉬우니,음와지란(陰訛之亂)을 범하기쉽고, 정유일은 유금재로써 재생살재(財生殺災)가 되기가 쉬우며 또 양계일생 일귀는 계일생은 무토를 만나면 백두노랑(白頭老郞)-재취,재가,에 시집가기쉽게되어있으니, 여명에는 이 날자가 대체적으로 팔자가 세게 되어있는것이다. 그러나 다시 말해두는것은 무조건 그것이 전체가아닌것이니 불가일언예(不價一言例)것을 잊지말아야한다.
사주첩경5권에서
첫댓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