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9장 문화의 개념 |
- 최성락, 2001,『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 학연문화사 - |
|
2007021222 신광철 |
Ⅰ. 머리말
과거 인류의 물질적 유물을 연구하는 학문(19세기)
→ 최근 개별 유물의 형식분류보다는 유형 혹은 문화유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
Ⅱ. 유형과 문화유형
의미 |
저자 |
년도 |
저작 |
용례 | |||||||
유형= type |
이홍종 |
1993 |
「송국리식 토기문화의 등장과 전개」 |
形=기종·기형, 式=型=型式=類型(종종 생략) 類=단순한 분류단위, 類 〉期 〉群(편년단위) 樣式=여러 형식의 조합? 문화의 개념이 모호(ex.송국리식 토기문화) | |||||||
大塚初重 外 |
1988 |
『日本考古學を學ぶ』 |
유형은 단순한 분류단위(category) 型式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 | ||||||||
吳汝祚 外 |
1984 |
「兩城類型分期問題初探」 |
類型=유물, 문화의 분류에 적용 Type 혹은 Pattern에 해당 | ||||||||
尤玉杜 |
1989 |
『史前考古埋藏學』 | |||||||||
주영헌 |
1959 |
「고구려 벽화분의 편년 기준에 관하여」 |
類型=부류 유물 및 유구에도 적용(중국과 비슷) (cf. 한국고고학 type에 비해 유형 사용에 경계) | ||||||||
황기덕 |
1963 |
「무덤을 통항 본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사회관계」 | |||||||||
박광춘 |
1995 |
「3~4세기에 있어서 가야토기 지역색 연구」 |
器種 → 類型式(적절치 못함) | ||||||||
유형= assemblage |
이선복 |
1988 |
『고고학개론』 |
유물군 · 유물조합=assemblage | |||||||
박순발 |
1989 |
『한성유역 백제토기의 변천과 몽촌토성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
형(type)→類(type group)→유물복합체(aggregate) 유형=제작집단의 차이(몽촌토성에 적용) | ||||||||
성정용 |
1994 |
「洪城 神衿城址 出土 百濟土器에 대한 考察」 |
토기복합체(assemblage) - 유물군(aggregate) | ||||||||
김원용 |
1977 |
『한국고고학개설』(2판) |
도구집합체(assemblage) | ||||||||
최몽룡 |
1982 |
「한국고고학에서 복원문제」 |
유물복합체(assemblage) | ||||||||
鈴木公雄 |
1994 |
『考古學入門』 |
특정 型式組合=assemblage 일정체계를 갖춘 복합체=문화 | ||||||||
이희준 |
1984 |
「韓國考古學 編年硏究의 몇가지 問題」 |
assemblage를 2가지 의미로 사용 | ||||||||
유형= 文化類型 Culture Pattern |
이청규 |
1988 |
「남한지방 무문토기문화의 전개와 공열토기문화의 위치」 |
~군·~복합군=式〈 ~문화=類型 유형 및 문화의 개념이 모호함 북한에서 쓰는 단어와 의미 비슷 | |||||||
안재호 |
1992 |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성격과 연대」 |
유구 및 유물복합체=유형(Culture pattern) | ||||||||
사회과학원 |
1977 |
『조선고고학연구』 |
문화갖춤새(특징적인 문화양상)=유형 특정 유적과 문화의 관계 설명이 부족 | ||||||||
蘇秉琦 外 |
1981 |
「關于考古學文化的區系類型問題」 |
區系類型論 주장 각 유적을 비교, 동질성을 지닌 문화를 설정 | ||||||||
강인욱 |
1996 |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에 대한 일고찰」 |
각 지역별 문화를 강조 → 다양한 문화유형들이 설정 |
※ 한국고고학에서 유형의 개념이 뚜렷하지 못한 이유
1. 類型과 型式의 개념이 혼용
2. 文化에 대한 개념 정리 없이 文化類型의 개념이 언급 - 선후관계가 맞지 않음
3. 유물~문화에 이르는 고고학적 연구대상에 대한 위계적 분류의 결핍
- 위계적 분류 제시와 함께 문화의 개념정의도 이뤄져야 함
Ⅲ. 문화의 개념
1. 인류학에서의 문화의 개념
1) 라틴어 clere 혹은 colo(=cultivate)
2) 문화의 개념 변화
(1) 18세기 유럽 : 야만(barbarism)의 반대 의미
(2) 19세기 독일 : 농경의 추구, 인간의 진보나 확대 의미
(3) 타일러 : 사회구성원에 의해 습득된 지식, 신앙, 예술, 법, 도덕, 관습 및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어떤 다른 능력이나 습관 등을 포함한 복합총체
(4) 인류학에서 정의하는 문화의 특성
① 문화는 학습된 행위(behavior) - 유전인자를 통해 얻어지는 체내적인 것이 아님
② 문화는 인간에게 유일 - 인간의 환경에 대한 적응체계
③ 문화는 유형화(Patterned)가 가능 - 언어, 종교, 경제, 기술 등으로 개념화 가능
④ 사회가 문화의 매개체(媒介體) - 문화는 사회행위의 지배적인 결정요인
(5) 문화의 개념이 변화
① 크루버 & 클락크흔 - 그 자체가 행위가 아닌 구체적인 인간행위로부터 끌어낸 추상
② 화이트 - 신체외적인 맥락에서 고려된 상징행위로 이루어진 사물과 사건들에 붙은 이름
③ 스튜어드 - 기술경제적, 사회정치적 조직, 이념 등으로 파악
④ 문화생태학, 문화인류학, 민족학, 고고학 등 각 연구분야 별로 차이가 있음
2. 고고학에서의 문화의 개념
1) 고고학적 문화(archaeological culture)는 이미 사라져서 직접 볼 수 없는 대상
2) 각 학자들의 문화의 개념
(1) 차일드 - 동일한 형식의 assemblage가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는 양상
(2) 코시나 & 에거스 - 고고학적 영역을 민족 혹은 종족의 거주영역이라 정의(역사학에서 차용)
(3) 디츠 - 유물복합체의 유형은 사회행위의 유형을 반영, 이를 고고학적 문화라 명명
(4) 물질적 자료(이안 호더 - 인간의 행위가 반영된 자료)에 주목하는 견해
① 셰워러 & 애쉐모어 - 특정사회에 해당하는 일련의 유형화된 assemblages
② 렌프류 & 반 - 어떤 특정한 시기와 장소에서 행해졌던 일련의 행위를 보이며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유물복합체들
③ 문화는 물질문화뿐만 아니라 그것을 만든 사람들의 행위도 반영되어야 함
3) 문화를 보는 입장 차이
(1) 전통고고학자 - 물질문화를 기준으로 고고학의 문화 복원 파악(문화 복원에 한계)
→ 테일러 - 총체적과 부분적으로 구분, 물질적문화는 문화가 될 수 없음을 지적
(2) 신고고학자 - 문화의 복원보다 변천과정을 중시
➀ 빈포드 - 사회와 그의 환경 및 사회 · 문화적 체계와의 통합에서 채용된 체외적인 적응체계(기술적 · 사회적 · 이념적 유물 3가지 범주로 구분)
➁ 클라크 - 인간행위와 그 산물로 이루어져 있고 복합적이고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일련의 변수
(3) 후기과정고고학자 - 문화 생성과 문화의 상징적 의미에 주목
① 이안 호더 - 정신적(상징적), 물질적, 사회행위적, 이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역사학이나 고고학으로서의 고고학 강조)
② 콜링우드 - 과거를 이해하는데 감정이입적이고 개별적인 접근을 중시
※ 한국 고고학계의 경우
1. 국호, 시대구분, 국가명, 특정 유물 및 유적과 붙여서 문화를 사용(별다른 개념규정 없음)
1) 유물과 유구를 포함한 assemblage 속에서 과거 인간들의 behavior를 추출하여 이를 근거로 culture를 복원
(1) 특정 유물만을 지칭하는 ‘무문토기문화’, ‘점토대토기문화’라는 용어는 불가
(2) 특정 유구인 지석묘는 종합적으로 연구되었으므로 ‘지석묘문화’는 가능
(3) 특정 유적인 송국리유적의 유물복합체는 문화보다 유형(assemblage)가 적절
2) ‘부분문화(subculture)’와 ‘부분적 고고학적 자료’는 구분할 필요가 있음
2. 문화 - 특정 사회의(인간들에 의해 이뤄진) 행위를 나타내는 고고학적 자료의 복합체들에서 복원
Ⅳ. 고고학적 단위의 위계적 분류
1. 위계적인 분류체계(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의 종류
1) 택사노믹 분류 - 속성의 중요성에 따라 차례로 분류
2) 패러다이매틱 분류 - 모든 속성이 고려된 분류
학자 |
구분법 |
비고 | ||||
클라크 |
속성-유물-형식-유물복합체-문화-문화집단-기술복합체 |
형식은 유물의 상위 · 하위개념으로 사용 문화, 문화집단, 기술복합체의 구분은 의미없음 | ||||
맥컨 |
focus-aspect-phase-pattern-base-component |
component=문하를 구성하는 기본요소 phase=시기를 나누는 개념 | ||||
일본고고학 |
小形式-形式-型式(type)-樣式(style) (학자마다 차이남) |
형식학적 방법 → 형식분류로 관심 전환 유물 분류 중심, 문화에 대한 연구 적음 | ||||
디츠 |
|
행위유형에 중점을 두고 분석(아유물복합체) 1. 유물~고고학적 문화까지 잘 연결 2. 아유물복합체와 유물복합체 설정 3. 개인-집단-지역사회-사회의 순서 | ||||
한국고고학계는 클라크의 견해를 많이 따름 유물-유물복합체-문화-문화집단 |
2. 문화유형 - 주변의 여러 유적과 비교하여 동질성을 보이는 것으로 문화의 하위개념
1) 고고학적 문화와 사회(Society)〈 문화유형과 지역사회(Community)
2) 고고학적 단위의 위계적 분류
|
개체 |
← |
형식 |
→ |
기종 |
|
개별문화 |
→ |
전체문화 |
| ||||||||||||||
↙ |
↘ |
|
|
|
|
↓ |
|
↘ |
| |||||||||||||||
속성 |
→ |
유물 · 유구 |
→ |
유물복합체 |
→ |
문화유형 |
→ |
문화 · 문화집단 |
Ⅴ. 맺음말
1. 유형보다도 문화의 개념이 먼저 정립되어야 함
2. 고고학적 문화는 단순히 물질적 문화뿐만 아니라 추상적 문화까지도 포함하여야 함
3. 속성-(개체-형식-기종)-유물 · 유구-유물복합체-문화유형-문화 · 문화집단
→ 문화유형 = 문화의 하위개념으로 개별문화를 지칭
※ 참고문헌
이선복, 1988,『고고학개론』, 이론과 실천.
이홍종, 1993,「송국리식 토기문화의 등장과 전개」『선사와 고대』 4, 한국고대학회.
이희준, 1984,「한국고고학 편년연구의 몇가지 문제-상대편년을 중심으로-」『한국고고학보』16, 한국고고학회.
鈴木公雄 著 / 尹煥 譯, 1994,『考古學入門』, 學硏文化社.
Chris Gosden 著 / 성춘택 譯, 2001,『인류학과 고고학』, 사군자.
※ 문화 개념에 필요한 각 용어 정리
- 形式 -
1. 사물이 외부로 나타나 보이는 모양.
이번 행사는 형식에 신경을 많이 쓴 듯했지만 내용이 별로 없었다.
2. 일을 할 때의 일정한 절차나 양식 또는 한 무리의 사물을 특징짓는 데에 공통적으로 갖춘 모양.
비문 형식
이 건물은 박공지붕에 주심포 형식을 하고 있다.
3. <철학>다양한 요소를 총괄하는 통일 원리. 사물의 본질을 이루는 것으로 해석된다.
4. <철학>시간, 공간, 범주(範疇) 따위와 같이 사상(事象)을 성립하게 하는 선험적인 조건.
5. <철학>개개의 논증이 지니고 있는 그 논증을 타당하게 하는 논리적 구조.
- 型式 -
자동차, 기구 따위의 구조나 외형의 특징을 이루는 형태
- 樣式 -
1. 일정한 모양이나 형식. ‘서식’으로 순화. ≒ 양(樣).
주어진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제출하시오.
2.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정하여진 방식.
인간 활동의 양식은 일차적으로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3. 시대나 부류에 따라 각기 독특하게 지니는 문학, 예술 따위의 형식. ≒ 식양(式樣).
고딕 양식
- 類型 -
1.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
소설 속의 인물들은 대개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철학>유개념의 하나. 단순한 추상 개념이 아니고 어떤 현상의 공통적 성질을 형상으로 나타내며, 추상적인 보편성과 개별적인 구체성이 통일되어 있는 것을 이른다.
- aggregate -
1. 집합(체)
2. [sing.] (콘크리트용) 골재
3. [the aggregate]《문어》총계, 총수, 총액
- artifact -
1. (천연물과 대비하여) 인공물, 공예품
2.【고고학】인공 유물
3.【생물】인위(人爲) 구조[결과], 인공 산물
- assemblage -
1. [집합적]회중, 집단; (사람의) 모임, 집합, 집회; (물건의) 집합, 수집
2. (기계의 부품) 조립《of》
an assemblage plant 조립 공장
3. 아상블라주《지스러기·폐품 등을 이용한 예술 작품 및 그 예술》
4.【고고학】(한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군, 석기군
- aspect -
1. 양상, 외관, 모양, 경관
a mountain with a beautiful aspect 모습이 아름다운 산
2. (문제를 보는) 관점, 각도, 견지
consider a question in all its aspects[from every aspect] 문제를 모든 각도에서 고찰하다
3. (사물의) 면, 국면, 양상(⇒ phase [유의어])
diverse aspects of human life 인생의 여러 양상
4.《문어》(사람의) 용모, 생김새(appearance), 표정; 태도
5. [방향을 나타내는 수식어를 수반하여] (가옥 등의) 방향, 방위
His house has a southern aspect. 그의 집은 남향이다.
6.【문법】(동사의) 상(相)
7.【천문】각거리《지구에서 본 하늘 위의 두 점간의 거리》;【점성】별의 상(相), 성위(星位)
assume[take on] a new aspect <사태 등이> 새 국면에 접어들다, 면목을 일신하다
- attribute -
1. 속성, 특성, 특질
2. 부속물, 상징 《소지자의 특성·지위를 상징하는 것》
3.【논리】속성;【문법】한정사《속성·성질 등을 나타내는 말; 형용사 등》;【컴퓨터】속성《데이터나 파일이 각기 갖고 있는 관리 정보》
- base -
1. 토대, 기부(基部), 기저(基底), 바닥; 기슭(foot); 기반
2. 기초, 근거
3. (화장 등의) 밑바탕; (도장 등의) 초벌칠
4.【건축】(원기둥·벽기둥 등의) 기반 부분
5. 주성분, 주재료
- category -
1【논리·언어】범주, 카테고리
2 부문, 구분, 종류《★ class보다 딱딱한 말》
3 [pl.;단수 취급] 카테고리스《몇 개인가의 키워드를 가지고 하는 문자 놀이》
- class -
1. (공통적 성질을 가진) 종류(kind), 부류
2. (학교의) 클래스, 학급, 반(cf. FORM);(클래스의) 학습 시간, 수업;(편물·요리 등의) 강습
take classes in cookery 요리 강습을 받다
3. [집합적] 클래스의 학생들;《미》동기 졸업생[학급]; (군대의) 동기병(同期兵)
the class of 1992 1992년 졸업반
4. [보통 pl.] (사회적) 계급; 계급제[제도]
the upper[middle, lower, working] class(es) 상류[중류, 하층, 노동] 계급
5. (품질·정도에 의한) 등급
travel second class 2등으로 여행하다
6.《구어》우수, 탁월; (옷·행위 등의) 우아함, 품위, 고급
a class champion 우수 선수
7.【생물】(동식물 분류상의) 강(綱)《phylum과 order와의 사이;cf. CLASSIFICATION》
8.《영》【대학】우등 시험(honors examination)의 합격 등급
take[get, obtain] a class 우등으로 졸업하다
9.【문법】=FORM CLASS
10.【교회】=CLASSIS
11.【그리스도교】분회(分會)
12.【통계】계급
13.【수학】집합(set)
- component -
1. (기계·스테레오 등의) 구성 요소, 성분《of》
stereo components 스테레오 컴포넌트
2.【물리】분력(分力); (벡터의) 성분
- culture -
1. 문화(cf. KULTUR), 정신 문명, 개화
popular culture 대중 문화
[유의어] culture가 정신적인 면에 중점을 둔 말임에 대해 civilization은 물질적인 면에 중점을 둔 말이다
2. 교양, 세련; (인간의) 지적·예술적 활동; 그 성과(물)
a man of culture 교양 있는 사람
3. 훈련, 수양
physical culture 체육
4. 재배, 양식;사육;(토지의) 경작
culture of cotton 목화 재배
the culture of oysters 굴 양식
5. (세균 등의) 배양;배양균
- focus -
1.【물리·수학】 초점, 초점 거리; 초점 정합(整合)《안경 등의》
a real[virtual] focus 실[허]초점
take the focus 초점을 맞추다
2. [보통 the focus] (흥미 등의) 쏠리는 점, 집중점
3. (폭풍·분화(噴火)·폭동 등의) 중심;【지질】 (지진의) 진원
4.【병리】병소(病巢) 《환부의 중심》
- form -
1. 꼴, 형상, 형태(shape); (사람의) 모습, 외관(⇒ figure[유의어])
2. 사람 모습, 인체, 물체
3. 형(型); 방식; 종류(kind); 체형, 외관, 폼
4. (내용과 대비하여) 형식, 외형(opp. content); 표현 형식
5. (사회 기준으로 판단되는) 예법, 예절
- pattern -
1. (도자기 · 직물 등의) 무늬
wallpaper patterns 벽지의 무늬
2. (우연히 생긴) 자국, 모양
patterns of frost on the window 유리창에 생긴 성에의 무늬
3. (사고 · 행동 등의) 형, 양식, 패턴
the behavior patterns of teenage 10대들의 행동 양식
4. (같은 일의) 반복《of》
He has a pattern of arrests. 그는 몇 번이나 체포된 경력이 있다.
5. [보통 a pattern, the pattern] 모범, 본, 귀감 《of》
She is a[the] pattern of virtue. 그녀는 부덕(婦德)의 귀감이다.
6. (옷감 등의) 견본(sample)
7. 형(型), (옷) 본, 원형, 모형(model), 주형(鑄形), 목형(木型);【양재】종이본
a car of a new pattern 신형차
8. 《미》한 벌 분의 옷감
9. 착륙 패턴《착륙 예정 공항에 접근 중인 비행기를 위한 항공로》
10. 포격 산포도; 과녁 위의 탄환 자국
- phase -
1. a. (변화하는 것의) 상(相), 면, 양상, 현상
a problem with many phases 많은 면을 가진 문제
b.【천문】 (천체의) 상(象), (달의) 상(相)
2. (변화·발달의) 단계, 상태, 형세, 시기; 측면
enter upon a new phase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다
3.【의학】(반응) 시기
4.【물리·전기·화학】상(相), 위상(位相)
phase velocity (전파 등의) 위상 속도
5.《미·해커속어》페이즈, 일어나는 시간《변칙적인 자고 일어나는 주기의 시작》
6.【동물】=COLOR PHASE
in phase 위상이 같아《with》; 동조하여, 일치하여《with》
out of phase 위상이 달라《with》; 부조화하여《with》
- style -
1. (물건 등의) 종류, 형, 풍채, 모양
2. (행동 등의 독특한) 방법, 스타일; (테니스·권투 등의) 하는 방법
3. 생활 양식; 상류 생활; 우아, 사치
4. (복장 등의) 스타일, 유행(형)(fashion); 고상, 품격, 품위
- type -
1. 형(型), 정형, 양식, 원형, 유형, 타입; 종류; …타입의 사람
a new type of car=a car of a new type 신형차
This type of book is popular. 지금 이런 종류의 책이 인기다.
2. 전형, 대표물, 모범, 본; 전형적 인물; 표상, 상징《of》
a perfect type of English gentleman 영국 신사의 전형, 전형적인 영국 신사
3.【생물】형, 유형;【의학】병형(病型), 균형(菌型); 혈액형;【화학】기형(基型); 양식
4. (화폐·메달의) 의장, 도형; 특징
5. [집합적]【인쇄】 활자; 자체; 인자체(印字體)
6. 상징; 예징;【신학】예표(豫表), 예징(豫徵)
첫댓글 이것 역시 수업발표 자료입니다. 그런데 올리고 보니까 한문이나 영문이 조금 일그러져 보이는군요. 지난번 정리했던 시대구분이라든가, 이번에 정리한 문화의 개념 등은 고고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특히 이 문화의 개념은 상당히 난해하고 복잡하고 어려워서 저 또한 완전히 숙지하지 못 한 것들이 많습니다. 이런 것들을 볼때마다 외국 학자들이나 기타 인류학자들이 미워진다는...쩝...암튼 고고학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하고자 한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공부를 해야할테니 참고하도록 하십쇼.
정말 엄청난 카페... 진작에 알았더라면 참 좋았을 것을.. 이제 부터라도 열심히 들러서 많이 배우겠습니다.
아! 별 말씀을...무슨 그런 과찬을...그냥 수업 발표 자료일 뿐입니다. 저 역시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