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특성요인도란
특성요인도는 일본 동경대학의 이시가와 박사가 고안한 것으로 품질특성(결과)에 각 요인(원인)이 어떻게 관계하며 그리고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나타낸 그림으로서, 이는 현장의 현상파악이라든가 또는 문제 개선에 대한 실마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좋은 수법이다.
우리들은 종종 불량품이 너무 많다 또는 산포가 너무 커서 공정에 투입하기가 곤란하다는 말을 자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불량품이 많다,’ ‘산포가 크다’라는 결과(품질특성)를 가져온 원인(요인)을 조사하여 그것에 대한 올바른 대책을 수립하고 실시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하나의 결과에 대해 영향을 주는 요인이 적으면 괜찮겠지만, 일반적으로 수많은 원인이 영향을 주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 특성과 요인의 관계를 일목요연하게 계통을 세워 정리하고, 그 많은 요인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게 하기 위해 그간의 실제 경험으로부터 결과와 원인의 관계를 화살표로 연결하면서 원인을 상세히 분석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나타내는 수법이 특성요인도이다.
이는 마치 모양이 생선뼈와 흡사하다고 해서 일명 ‘생선뼈(fishbone) 챠트’라는 별명이 붙어 있기도 하다. <도표 98>은 작업미스를 특성으로 하여 특성요인도를 작성한 현장 사례이다.
< 특성요인도의 사례>
2. 특성요인도의 특징
생산현장의 실상은 파레토도, 히스토그램 및 관리도로써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상은 바라다만 보아서는 현장은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 ‘왜 이러한 결과가 되었는가?,’ ‘원인은 무엇인가?’ 하는 식으로 그 원인을 파악하고 좋지 못한 영향을 주는 원인은 제거해야 만이 비로소 좋은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특성요인도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 특성요인도는 결과에 대한 원인의 관계가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단번에 알아 볼 수 있다.
? 특성요인도는 문제의 원인발견이나 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므로 실제의 생산현장에서 문제점을 추구해 나가는데 효과적이다.
? 많은 원인이 “큰가지, 중간가지, 작은가지, 새끼가지”로 세분되어 나아가기 때문에 각각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알 수 있고, 세부적인 문제의 실마리를 찾아낼 수가 있다.
? 하나의 결과에 대해 원인이 정리되어 있으므로 이야기의 초점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 조사나 실험을 할 때 항목의 선정을 빠짐없이 할 수 있다.
? 전원이 이야기하고 각자의 기술이나 실제 작업경험을 토대로 의견을 내 놓음으로써 특성요인도를 작성하는 그 자체가 교육이 된다.
3. 특성요인도의 작성방법
[단계 1] 문제로 삼고자 하는 품질특성을 결정한다.
<특성의 예>
? 품질 : 제품의 치수, 중량, 순도, 불량률, 결점수 등
? 능률 : 가동률, 생산성, 소요시간, 소요공수 등
? 원가 : 수율, 로스, 재료비, 인건비 등
? 안전 : 재해율, 무사고 기간, 사고건수 등
? 인간관계 : 참여율, 열성도, 결근자수 등
[단계 2] 특성을 우측단에 사각형으로 둘러싸서 적어 넣는다. 그리고 왼쪽으로부터 굵은 선을 그어 화살표를 한다. 여기서 굵은 화살표는 공정을 의미한다.
[단계 3] 요인을 4~8개 정도로 크게 분류한다. 이어서 큰 가지를 만들고 각각의 요인을 기입하여 사각형으로 둘러싸서 표시한다.
이때 품질특성이 제조 공정과 관련된 것이라면 일반적으로 공정의 4M(작업자, 기계설비, 작업방법, 재료)을 큰 가지의 요인으로 설정한다.
[단계 4] 큰 가지의 원인이 무엇인지 캐내어 중간가지로 분류하고 다시 작은 가지, 새끼가지 등으로 세밀하게 분류하여 기입해 간다.
[단계 5] 요인 전체에 누락된 것이 없는지 체크한다.
[단계 6] 각 요인의 영향도에 대해서는 비중을 생각해야 한다.
비중 부여시에는 데이터 해석, 파레토도, 자유토론 등에 의해 결정하고 중요한 요인에 대해서는 붉은 표시를 하거나 타원으로 둘러싸서 별도의 표시를 하여 식별이 되도록 한다.
[단계 7] 기타 관련사항을 기입한다.
표제, 제품명, 공정명, 작성부서명, 분임조명, 참가자, 작성년월일 등 기타 정보를 기입해 둔다.
4. 특성요인도 작성시 주의점
특성요인도를 작성할 때에는 브레인스토밍 토의법에 의해서 전개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 전원의 지식이나 경험을 모아 작성한다.
? 모든 요인을 철저히 분석한다.
? 항상 검토하여 개선해 나간다.
? 특성은 가능한한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 필요에 따라 특성별로 작성한다.
? 중요한 요인에 대해서는 표를 해 둔다.
?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현장의 사실을 모은다.
? 목적에 적합한 특성요인도인가의 여부를 검토한다.
5. 특성요인도의 사용방법
작성된 특성요인도는 다음 순서로 검토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 작업표준과 비교한다.
? 개선할 것을 결정하여 실행한다.
? 중요한 요인을 확인한다.
? 주지철저에 노력한다.
? 개선/개정을 계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