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행정동
해동지도 공주목 지도
지명 유래
공주시의 동은 조선시대 말에 공주목·부의 동부면과 남부면 관할의 면리로 있었는데 공주목·부의 명칭이 1895년 공주부 공주군 1896년 충청남도 공주군으로 변경되고, 동부면과 남부면은 1914년의 행정구역의 개편에 의하여 공주면과 주외면으로 개편되었으며, 방리는 1914년 이전까지 명칭과 관할 구역이 세분화되어 있었는데 1914年 행정구역의 개혁으로 리의 관할 구역이 통합되고 명칭도 대폭 개칭되었다.
1931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공주면을 읍으로 승격되고, 1938년 10월 1일 주외면이 폐지되어 공주읍의 검상, 봉정, 주미 3개리가 이인면에 편입되어 1읍 12면 관할하게 되었다. 1947년 동의 명칭 정을 동으로 변경하여 현재와 같이 확정되었으며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조정으로 이인면의 4개리, 계룡면의 3개리, 장기면의 4개리, 우성면의 2개리가 공주읍에 편입되고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리동지역이 모두 동으로 되었다.
금학동
조선 말에 공주군 남부면 지역으로 자기소가 있어서 사기막골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지막골 또는 금학골, 학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학동, 하선리, 지막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금학리라 하여 주외면에 편입되었다가 1938년 10월 1일 주외면이 폐지되어 공주읍에 편입되고 금학정이 되었는데 1947년 동명의 변경으로 금학동이 되었다.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공주시 금학동이 되었다.
산성동
조선 말에 공주군 동부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관현 일부와 남부면의 허문리 일부를 병합하여 쌍수산성의 이름을 따서 산성리라 하여 공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31년 4월 1일 공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공주읍에 편입되고 1938年 산성정이 되었다가 1947년 동명을 변경에 의하여 산성동으로 개칭하였고 1986年 1月 1日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공주시 산성동이 되었다.
신관동
조선 말에 공주군 동부면 지역으로 일신역이 있어서 일신 또는 관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매산리, 일신, 관동, 금송동, 기산, 이산리, 시목동를 병합하고 일신과 관동의 이름을 따서 신관리라고 하고 장기면에 편입되었다가 1983년 2월 15일 공주읍에 편입되고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공주시 신관동이 되었다.
옥룡동
조선 말에 공주군 동부면 지역으로 소학리 쪽에 용못이 있어 玉龍골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수원동, 대추동, 장기대, 강경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옥룡리라 하고 주외면에 편입되었다가 1938년 10월 1일 주외면이 폐지되어 공주읍에 편입되고 옥룡정이 되었는데 1947년 동명의 변경으로 옥룡동이 되었고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공주시 옥룡동이 되었다.
웅진동
조선 말에 공주군 동부면 지역으로 고마나루 또는 웅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외약리, 용당리, 박산리, 서혈동, 한산리, 송산리, 하봉촌 일부를 병합하고 용당주읍이라하고 주외면에 편입되었다가 1938년 10월 1일 주외면이 폐지되어 공주읍에 편입되어 용당정이 되었는데 1947년 동명의 변경으로 웅진동이 되었고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공주시 웅진동이 되었다.
중학동
조선 말에 공주군 남부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고상아리 일부, 계곡, 서당동, 족지동를 병합하여 중학리라 하여 공주면에 편입되었다가1931년 4월 1일 공주읍이 승격되어 공주읍에 편입되고 1938년 대화정이 되었는데 1947년 동명 개칭때 공주중학교의 이름을 따서 중학동으로 하였고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어 공주시 중학동이 되었다.
연 혁
조선시대 말에 공주목·부의 동부면과 남부면 관할.
1914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동부면, 남부면이 공주면과 주외면으로 개편.
1931년 공주면이 읍으로 승격.
1938년 10월 1일 주외면을 폐지하여 금성, 금학, 용당, 옥룡을 공주읍에 검상, 봉정, 주미, 오곡을 이인면에 상왕, 소학, 신기, 화은을 계룡면에 편입.
공주읍의 각 리명을 정으로 개칭.
1947년 동의 명칭 정을 동으로 변경.
1983年 이인면의 주미리, 봉정리, 오곡리, 태봉리, 계룡면의 신기리, 소학리, 상왕리, 장기면의 신관리, 금흥리, 월송리, 무릉리, 우성면의 쌍신리, 월미리가 공주읍에 편입.
1986년 공주읍의 시 승격으로 8개 동사무소 개소.
1987년 행정구역 조정(이인면 검상리가 금학동으로 편입).
1994년 동 행정구역 조정.
1995년 공주시·군 도농통합으로 공주시로 통합.
1998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통반조정 과소동 통폐합 및 통반조정.
봉황동과 중학동 통합, 금흥동 신관동에 통폐합
1999년 동 행정구역 조정(통반조정).
2002년 동 행정구역 조정(통반조정).
2004년 동 행정구역 조정(통반조정).
각 동명의 변천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초 |
1759〜 1765년 (여지도서) |
1789년(호구총수) | |
웅천 |
웅진 웅천주 웅주 |
공주목 |
일신역
공주목 방리
|
동
부
면 |
관현 일신리 |
관현리 강경동리 기산리 매산리 관동리 기산리 산소리 시목동리 |
봉무동리 |
중산리 신주막리 봉명동리 | |||||
마근동리 |
마근동리 한적동리 | |||||
사송정리 |
상오공동리 송정리 월천리 오공동리 오송정리 하오공동리 가흥리 송곡리 | |||||
무릉리 |
상무릉리 하무릉리 중무릉리 석장리 운동리 백운동리 서운동리 | |||||
(옥룡) |
용동리 수원동리 옥화동리 | |||||
효가리 |
소학동리 와야동리 예교리 보통동리 | |||||
(신기) |
효포리 월암리 당산리 사갈치리 효주막리 신근리 | |||||
성내리 |
성내리 성본리 금강리 | |||||
(상왕) |
중등동리 초왕리 | |||||
|
송곡리 금곡리 금사동리 오대리 장대리 세랑리 대오동리 | |||||
남
부
면 |
고상아리 |
고상아리 | ||||
반죽리 |
반죽리 수정동 | |||||
봉황산리 |
봉황산리 | |||||
교촌리 |
교촌리 피촌리 | |||||
허문리 |
허문리 | |||||
한산소리 박산소리 송산소리 웅진리 |
한산소리 오야동리 박산소리 송산소리 용당리 하와동리 상와동리 | |||||
(금학) |
학동리 화산교리 | |||||
주미리 |
주미리 원동리 | |||||
아리포리 |
봉정리 조령리 반선동 아현리 | |||||
옥거리 |
금리(검상) | |||||
|
반산리 월전리 | |||||
적요 |
|
|
|
|
|
( ) 현 동지명
구분 |
1776〜 1800년 (충청도읍지) |
1859년 (공산지) |
1895年(고종32) |
1914년 | |
남 부 면 |
고상아리 반죽리 봉황산리 교촌 허문리 |
고상아리 반죽리 봉황산리 교촌리 허문리 |
고상아리 서당동 족지동 |
공
주
면 |
중학리 |
상봉촌 하봉촌 교촌 |
반죽리 | ||||
고상아리 상봉촌리, 반죽리 |
봉황리 | ||||
교촌리 |
교리 | ||||
상아리 허문리 |
중리 | ||||
동
부
면 |
관현리 |
관현리 |
관현 강경동 | ||
관현 허문리 |
산성리 | ||||
일신리 |
일신리 |
매산리 일신 관동 금송동 기산 이산리 시목동 |
장 기 면 에 이 관 |
신관리 | |
봉무동리 마근동리 |
봉무동리 마근동리 |
한적리, 봉무동, 장흥리, 오야리, 평동, 중산리, 하주막, 서당동, 실교리 |
금흥리 | ||
사송정리 |
사송정리 |
오공동 약천리 상송리 성덕동 가흥리 요동 |
월송리 | ||
무릉리 |
무릉리 |
수운리 상무리 중무리 신무리 도원리 |
무릉리 | ||
|
|
상신리 하신리 中山里 (우정면)심산리 (요당면)수촌리일부 |
우 에 성 이 면 관 |
쌍신리 | |
|
(옥룡) |
수원동, 대추동, 장기대, 강경동 |
주
외
면 |
옥룡리 | |
효가리 |
효가리 |
소학도 세교리, 포강리, 향효포, 막동, 와야리, 월성리 |
소학리 | ||
|
(신기)
|
서운리, 월암리, 중평리, 요덕리, 평리, 기동, 효포, 당산, 사갈리, 막동, 월성리 |
신기리 | ||
명산리 사갈리 가마리 양촌 냉정리 향포리 |
화은리 | ||||
성내리 |
성내리 |
정자방, 산성, 허문, 교촌, 송산리 |
금성리 | ||
익구곡면 |
|
(익구곡면)에서 이관 |
상왕리 | ||
남
부
면 |
한산소리 박산소리 송산소리 웅진리 |
한산소리 박산소리 송산소리 웅진리 |
외약리, 용당리, 박산리, 서혈동, 한산리, 송산리, 하봉촌 |
용당주읍 | |
|
|
금학동, 학동, 하선리, 지막동 |
금학리 | ||
주미리 |
주미리 |
회선리, 우금리, 목동면회선리, 삼교리일부 |
|
주미리 | |
아리포리 |
아리포리 |
조령리, 승방리, 저대리, 반선리, 방축리, 상촌리, (목동면)어곡리, 이산리 |
공 주 면 |
봉정리 | |
옥거리 |
옥거리 |
상촌, 목동, 만수동 |
검상리 | ||
적요 |
|
|
|
|
|
1931년 4월 1일 |
1938년 |
1947년 4월 1일 |
1983년 2월15일 |
1986년 1월1일 |
1987년 1월1일 |
1995년 1월1일 |
1998년 | ||||
공
주
면 |
중학리 반죽리 봉황리 중리 교리 산성리
봉정리
검상리
|
공주읍
|
대화정 욱정 상반정 본정 금정 산성정
이인면 이관
이인면 이관
옥룡정 계룡면이관
계룡면이관
금성정 계룡면이관
용당정 금학정 이인면 이관
|
중학동 반죽동 봉황동 중동 교동 산성동 옥룡동 금성동 웅진동 금학동
|
중학동 반죽동 봉황동 중동 교동 산성동 옥룡동 금성동 웅진동 금학동 |
중학동 반죽동 봉황동 중동 교동 산성동 옥룡동 금성동 웅진동 금학동 주미동 봉정동 오곡동 태봉동
신기동 소학동 상왕동 신관동 금흥동 월송동 무릉동 쌍신동 월미동 |
중학동 반죽동 봉황동 중동 교동 산성동 옥룡동 금성동 웅진동 금학동 주미동 봉정동 오곡동 태봉동 검상동 신기동 소학동 상왕동 신관동 금흥동 월송동 무릉동 쌍신동 월미동 |
중학동 반죽동 봉황동 중동 교동 산성동 옥룡동 금성동 웅진동 금학동 주미동 봉정동 오곡동 태봉동 검상동 신기동 소학동 상왕동 신관동 금흥동 월송동 무릉동 쌍신동 월미동 |
중학동
산성동
웅진동
금학동
옥룡동
신관동
|
중 동 중학동 반죽동 봉황동
산성동 금성동
교 동 웅진동
금학동 주미동 봉정동 오곡동 태봉동 검상동
옥룡동 신기동 소학동 상왕동
신관동 금흥동 월송동 무릉동 쌍신동 월미동 | |
이인에서이관
계룡에서 이관
長岐에서 이관
우성에서 이관 |
주미리 봉정리 오곡리 태봉리
신기리 소학리 상왕리 신관리 금흥리 월송리 무릉리 쌍신리 월미리 | ||||||||||
주
외
면
|
옥룡리
소학리
화은리
금성리
상왕리
용당리 금학리 주미리
| ||||||||||
적요 |
|
|
|
|
공주시 승격 |
검상리 편입 |
시군통합 |
행정과소동통합 |
各 行政洞 地名 由來
公州市의 洞은 朝鮮時代 末에 公州牧·府의 東部面과 南部面 管轄의 面里로 있었는데 公州牧·府의 名稱이 1895年 公州府 公州郡 1896年 忠淸南道 公州郡으로 變更되고, 東部面과 南部面은 1914年의 行政區域의 改編에 의하여 公州面과 州外面으로 改編되었으며, 坊里는 1914年 以前까지 名稱과 管轄 區域이 細分化되어 있었는데 1914年 行政區域의 改革으로 里의 管割 區域이 統合되고 名稱도 大幅 改稱되었다.
1931年 行政區域 改編으로 公州面을 邑으로 昇格되고, 1938年 10月 1日 州外面이 廢止되어 公州邑의 檢詳, 鳳亭, 舟尾 3個里가 利仁面에 編入되어 1邑 12面 管轄하게 되었다. 1947年 洞의 名稱 町을 洞으로 變更하여 現在와 같이 確定되었으며 1983年 2月 15日 行政區域 調定으로 利仁面의 4個里, 鷄龍面의 3個里, 長岐面의 4個里, 牛城面의 2個里가 公州邑에 編入되고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里洞地域이 모두 洞으로 되었다.
金鶴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瓷器所가 있어서 사기막골이라 하던 것이 變하여 지막골 또는 金鶴골, 鶴洞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鶴洞, 下仙里, 止幕洞의 一部를 倂合하여 金鶴里라 하여 州外面에 編入되었다가 1938年 10月 1日 州外面이 廢止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金鶴町이 되었는데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金鶴洞이 되었다.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公州市 金鶴洞이 되었다.
山城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官峴 一部와 南部面의 許門里 一部를 倂合하여 雙樹山城의 이름을 따서 山城里라 하여 公州面에 編入되었다가 1931年 4月 1日 公州面이 邑으로 昇格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1938年 山城町이 되었다가 1947年 洞名을 變更에 의하여 山城洞으로 改稱하였고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公州市 山城洞이 되었다.
新官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日新驛이 있어서 日新 또는 官洞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梅山里, 日新, 官洞, 錦松洞, 箕山, 李山里, 柹木洞를 倂合하고 日新과 官洞의 이름을 따서 新官里라고 하고 長岐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 2月 15日 公州邑에 編入되고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公州市 新官洞이 되었다.
玉龍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巢鶴里쪽에 龍못이 있어 玉龍골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水源洞, 大秋洞, 將棊臺, 江景洞의 一部를 倂合하여 玉龍里라 하고 州外面에 編入되었다가 1938年 10月 1日 州外面이 廢止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玉龍町이 되었는데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玉龍洞이 되었고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公州市 玉龍洞이 되었다.
熊津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고마나루 또는 熊津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外若里, 龍堂里, 朴山里, 西穴洞, 韓山里, 宋山里, 下鳳村 一部를 倂合하고 龍堂州邑이라하고 州外面에 編入되었다가 1938年 10月 1日 州外面이 廢止되어 公州邑에 編入되어 龍堂町이 되었는데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熊津洞이 되었고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公州市 熊津洞이 되었다.
中學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古上衙里 一部, 溪谷, 書堂洞, 足只洞를 倂合하여 中學里라 하여 公州面에 編入되었다가1931年 4月 1日 公州邑이 昇格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1938年 大和町이 되었는데 1947年 洞名 改稱때 公州中學校의 이름을 따서 中學洞으로 하였고 1986年 1月 1日 公州邑이 公州市로 昇格되어 公州市 中學洞이 되었다.
沿 革
朝鮮時代 末에 公州牧·府의 東部面과 南部面 管轄
1914年 行政區域 調定으로 東部面, 南部面이 公州面과 州外面으로 改編.
1931年 公州面이 邑으로 昇格.
1938年 10月 1日 州外面을 廢止하여 錦城, 金鶴, 龍堂, 玉龍을 公州邑에 檢詳, 鳳亭, 舟尾, 梧谷을 利仁面에 上旺, 巢鶴, 新基, 花隱을 鷄龍面에 編入.
公州邑의 各 里名을 町으로 改稱.
1947年 洞의 名稱 町을 洞으로 變更.
1983年 利仁面의 舟尾里, 鳳亭里, 梧谷里, 胎封里, 鷄龍面의 新基里, 巢鶴里, 上旺里, 長岐面의 新官里, 錦興里, 月松里, 武陵里, 牛城面의 雙新里, 月尾里가 公州邑에 編入.
1986年 公州邑의 市 昇格으로 8個 洞事務所 開所.
1987年 行政區域 調定(利仁面 檢詳里가 金鶴洞으로 編入).
1994年 洞 行政區域 調定.
1995年 公州市·郡 都農統合으로 公州市로 統合.
1998年 行政區域 調定으로 統班調定 寡少洞 統廢合 및 統班調定.
鳳凰洞과 中學洞 統合, 錦興洞 新官洞에 統廢合
1999年 洞 行政區域 調定(統班調定).
2002年 洞 行政區域 調定(統班調定).
2004年 洞 行政區域 調定(統班調定).
各 洞의 地名由來
檢詳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檢詳里에 檢詳나루가 생김에 따라 마을이 形成되어 檢詳골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上村, 木洞, 萬樹洞의 一部를 倂合하여 檢詳里라 하고 公州面으로 改編되었다가 1938年
10月 1日 行政區域 改編으로 利仁面에 編入되고 1986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校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公州 鄕校가 있어서 鄕校골 또는 校村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校村里 一部를 倂合하여 校里이라 하였다가 1931年 4月 1日 公州邑이 昇格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1938年 錦町이라 불리다가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校洞으로 改稱하였다.
錦城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正子方, 山城, 許門, 校村, 宋山里 各 一部를 倂合하여 錦城里라 하고 州外面에 編入하였다가 1938年 公州邑에 編入되어 錦城町으로 불리다가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錦城洞으로 改稱하였다.
錦興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近洞의 農土와 달이 기름지고 肥沃하여 벼가 유심히 結實이 잘되어 비단을 펼쳐 놓은 듯이 아름답다하여 錦興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閑寂里, 鳳舞洞, 長興里, 五也里, 平洞, 中山里, 下酒幕, 書堂洞의 一部를 倂合하여 錦興里라 하고 長岐面에 編入되고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武陵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百濟 王陵인 武陵이 있어 武陵골 또는 武陵里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水雲里, 上武里, 中武里, 下武里를 倂合하여 武陵里라 하고 長岐面에 編入되고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班竹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班竹이 많아 班竹골 또는 班竹里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下鳳村 校村 上鳳村의 各 一部를 倂合하여 班竹里이라 하였다가 1931年 4月 1日 公州邑이 昇格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1938年 旭町이라 하였다가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班竹洞으로 改稱하였다.
鳳亭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鳳亭山에 鳳凰落地라는 좋은 墓자리가 있어 鳳亭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鳥嶺里, 升方里, 苧大里, 伴仙里, 方丑里, 上村里, (木洞面)於谷里, 李山里를 倂合하여 鳳亭里라 하고 公州面에 編入되고 1938年 利仁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鳳凰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鳳凰山이 있어 鳳山골, 鳳山洞, 또는 鳳村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古上衙里 上鳳村里, 班竹里 一部를 倂合하여 鳳凰里라 하였다가 1931年 4月 1日 公州邑이 昇格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1938年 常盤町이라 하였다가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鳳凰山 이름을 따서 鳳凰洞이라 하였다.
上旺洞
朝鮮 末에 公州郡 益口曲面 地域으로 옛날 鷄龍山 끝 龍의 꼬리로 위는 넓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좁아 물의 흐름이 旺盛하여 旺川이라 하였고 旺골인데 旺골의 위쪽이 되므로 위旺村 또는 上旺하였다.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東部面 小梧洞, 中湖, 柯木亭, 瓦也洞, 下旺里 一部를 倂合하여 上旺里라 하고 州外面에 編入되고 1938年 10月 1日 行政區域 改編으로 鷄龍面에 編入되고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雙新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上新里, 下新里, 中山里, (牛井面)沈山里, (要堂面)水村里 一部를 倂合하고 上新里와 下新里를 따서 雙新里라 하고 牛城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巢鶴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北에는 錦江, 西에는 血痕川, 東에는 旺村川이 있어서 地形이 마치 城같이 되었으므로 巢鶴섬 또는 巢鶴里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巢鶴里 細橋里, 甫邊里, 向孝浦, 幕洞, 瓦也里, 月城里 各 一部를 倂合하여 巢鶴里라 하고 州外面에 編入되고 1938年 10月 1日 行政區域 改編으로 鷄龍面에 編入되고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新基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老家院이 있었던 原來 富村이었는데 東學革命 때에 砲彈과 銃彈으로 집이 많이 무너졌다. 以後에 다시 새로 마을을 세웠다하여 新基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西云里, 月巖里, 中坪里, 要德里, 坪里, 基洞, 孝浦, 堂山, 沙葛里, 幕洞, 月城里 各 一部를 倂合하여 新基里라 하고 州外面에 編入되고 1938年 10月 1日 行政區域 改編으로 鷄龍面에 編入되고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月尾洞
朝鮮 末에 公州郡 牛井面 地域으로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仙舞里, 上尾里, 下尾里, 甘泉里, 月明里, 宋山里의 各 一部를 倂合하고 月明里와 上尾里, 下尾里의 이름을 따서 月尾里라 하고 牛城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月松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다래울, 옹골, 四松亭 세 마을을 合쳐 예전부터 부르던 이름으로 소나무에 비치는 달빛이 絶景이라 月松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五公洞, 藥川里, 上松里, 聖德洞, 嘉興里, 要洞의 各 一部를 倂合하여 月松里라 하고 長岐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梧谷洞
朝鮮 末에 公州郡 木洞面 地域으로 梧桐나무가 많은 골이라 梧谷 또는 梧실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下胎封 外胎封 胎山里 下胎山을 倂合하여 梧谷里라 하고 木洞面에 編入되고 1938年 利仁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舟尾洞
朝鮮 末에 公州郡 南部面 地域으로 地形上 배의 꼬리 模樣으로 생겼다하여 舟尾골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會仙里, 牛金里, 木洞面會仙里, 三橋里의 一部을 倂合하여 舟尾里라 하고 木洞面에 編入되고 1938年 利仁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
中洞
朝鮮 末에 公州郡 東部面 地域으로 公州의 中央地域으로 中洞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官峴, 江景洞의 一部와 南部面 古上衙里, 許門里의 一部를 倂合하여 中里라 하였다가 1931年 4月 1日 公州邑이 昇格되어 公州邑에 編入되고 1938年 本町이라 하였다가 1947年 洞名의 變更으로 中洞이라 하였다.
胎封洞
朝鮮 末에 公州郡 木洞面 地域으로 肅宗大王의 胎를 묻었다고 하여 胎封山이라 하였고 胎封山 附近에 位置하여 胎封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江亭里, 山積里, 沙村, 於谷, 三橋里의 一部를 倂合하여 胎封里라 하고 木洞面에 編入되고 1938年 利仁面에 編入되었다가 1983年에 다시 公州邑에 編入되었다.
洞 名의 變遷
百濟 |
新羅 |
高麗 |
朝鮮初 |
1759〜1765年 (輿地圖書) |
1789年 (戶口總數) | |
熊川 |
熊津 熊川州 熊州 |
公州牧 |
日新驛
公州牧 坊里
|
東
部
面 |
官峴 日新里 |
官峴里 江景洞里 箕山里 梅山里 舘洞里 箕山里 山所里 柿木洞里 |
鳳舞洞里 |
中山里 新酒幕里 鳳鳴洞里 | |||||
麻根洞里 |
麻根洞里 閑寂洞里 | |||||
四松亭里 |
上五公洞里 松亭里 月川里 五公洞里 五松亭里 下五公洞里 嘉興里 松谷里 | |||||
茂陵里 |
上武陵里 下武陵里 中武陵里 石壯里 雲洞里 白雲洞里 瑞雲洞里 | |||||
(玉龍) |
龍洞里 水源洞里 玉花洞里 | |||||
孝家里 |
巢鶴洞里 瓦也洞里 枘橋里 甫通洞里 | |||||
(新基) |
孝浦里 月巖里 堂山里 沙葛峙里 孝酒幕里 新根里 | |||||
城內里 |
城內里 城本里 錦江里 | |||||
(上旺) |
中登洞里 草旺里 | |||||
|
松谷里 金谷里 金沙洞里 五垈里 將垈里 稅狼里 大梧洞里 | |||||
南
部
面 |
古上衙里 |
古上衙里 | ||||
班竹里 |
班竹里 水晶洞 | |||||
鳳凰山里 |
鳳凰山里 | |||||
校村里 |
校村里 皮村里 | |||||
許門里 |
許門里 | |||||
韓山所里 朴山所里 宋山所里 熊津里 |
韓山所里 五也洞里 朴山所里 宋山所里 龍堂里 下瓦洞里 上瓦洞里 | |||||
(金鶴) |
鶴洞里 花山橋里 | |||||
舟尾里 |
舟尾里 院洞里 | |||||
牙里浦里 |
鳳亭里 鳥嶺里 伴仙洞 雅峴里 | |||||
獄巨里 |
錦里(檢詳) | |||||
|
盤山里 月田里 | |||||
摘要 |
|
|
|
|
|
( ) 現 洞 地名
區分 |
1776〜 1800年 (忠淸道邑誌) |
1859年 (公山誌) |
1895年 (高宗32) |
1914年 | |
南 部 面 |
古上衙里 班竹里 鳳凰山里 校村 許門里 |
古上衙里 班竹里 鳳凰山里 校村里 許門里 |
古上衙里 書堂洞 足只洞 |
公
州
面 |
中學里 |
上鳳村 下鳳村 校村 |
班竹里 | ||||
古上衙里 上鳳村里, 班竹里 |
鳳凰里 | ||||
校村里 |
校里 | ||||
上衙里 許門里 |
中里 | ||||
東
部
面 |
官峴里 |
官峴里 |
官峴 江景洞 | ||
官峴 許門里 |
山城里 | ||||
日新里 |
日新里 |
梅山里 日新 官洞 錦松洞 箕山 李山里 柹木洞 |
長 岐 面 에 移 管 |
新官里 | |
鳳舞洞里 麻根洞里 |
鳳舞洞里 麻根洞里 |
閑寂里, 鳳舞洞, 長興里, 五也里, 平洞, 中山里, 下酒幕, 書堂洞, 失橋里 |
錦興里 | ||
四松亭里 |
四松亭里 |
五公洞 藥川里 上松里 聖德洞 佳興里 要洞 |
月松里 | ||
茂陵里 |
茂陵里 |
水雲里 上武里 中武里 新武里 桃源里 |
武陵里 | ||
|
|
上新里 下新里 中山里 (牛井面)沈山里 (要堂面)水村里一部 |
牛 에 城 移 面 管 |
雙新里 | |
|
(玉龍) |
水源洞, 大秋洞, 將棊臺, 江景洞 |
州
外
面 |
玉龍里 | |
孝家里 |
孝家里 |
巢鶴島 細僑里, 浦江里, 向孝浦, 幕洞, 瓦也里, 月城里 |
巢鶴里 | ||
|
(新基)
|
西云里, 月巖里, 中坪里, 要德里, 坪里, 基洞, 孝浦, 堂山, 沙葛里, 幕洞, 月城里 |
新基里 | ||
明山里 沙葛里 加馬里 陽村 冷井里 香蒲里 |
花隱里 | ||||
城內里 |
城內里 |
正子方, 山城, 許門, 校村, 宋山里 |
錦城里 | ||
益口曲面 |
|
(益口曲面)에서 移管 |
上旺里 | ||
南
部
面 |
韓山所里 朴山所里 宋山所里 熊津里 |
韓山所里 朴山所里 宋山所里 熊津里 |
外若里, 龍堂里, 朴山里, 西穴洞, 韓山里, 宋山里, 下鳳村 |
龍堂州邑 | |
|
|
金鶴洞, 鶴洞, 下仙里, 止幕洞 |
金鶴里 | ||
舟尾里 |
舟尾里 |
會仙里, 牛禁里, 木洞面會仙里, 三橋里一部 |
|
舟尾里 | |
牙里浦里 |
牙里浦里 |
鳥嶺里, 升方里, 苧大里, 伴仙里, 方丑里, 上村里, (木洞面)於谷里, 李山里 |
公 州 邑 |
鳳亭里 | |
獄巨里 |
獄巨里 |
上村, 木洞, 萬樹洞 |
檢詳里 | ||
摘要 |
|
|
|
|
|
1931年 4月 1日 |
1938年 10月 1日 |
1947年 4月 1日 |
1983年 2月15日 |
1986年 1月1日 |
1987年 1月1日 |
1995年 1月1日 |
1998年 | |||||
公
州
面 |
中學里 班竹里 鳳凰里 中里 校里 山城里
鳳亭里
檢詳里
|
公
州
邑
|
大和町 旭町 常盤町 本町 錦町 山城町
利仁面 移管
利仁面 移管
玉龍町 鷄龍面移管
鷄龍面移管
錦城町 鷄龍面移管
龍堂町 金鶴町 利仁面 移管
|
中學洞 班竹洞 鳳凰洞 中洞 校洞 山城洞 玉龍洞 錦城洞 熊津洞 金鶴洞
|
中學洞 班竹洞 鳳凰洞 中洞 校洞 山城洞 玉龍洞 錦城洞 熊津洞 金鶴洞 |
公
州
市 |
中學洞 班竹洞 鳳凰洞 中洞 校洞 山城洞 玉龍洞 錦城洞 熊津洞 金鶴洞 舟尾洞 鳳亭洞 梧谷洞 胎封洞
新基洞 巢鶴洞 上旺洞 新官洞 錦興洞 月松洞 武陵洞 雙新洞 月尾洞 |
中學洞 班竹洞 鳳凰洞 中洞 校洞 山城洞 玉龍洞 錦城洞 熊津洞 金鶴洞 舟尾洞 鳳亭洞 梧谷洞 胎封洞 檢詳洞 新基洞 巢鶴洞 上旺洞 新官洞 錦興洞 月松洞 武陵洞 雙新洞 月尾洞 |
中學洞 班竹洞 鳳凰洞 中洞 校洞 山城洞 玉龍洞 錦城洞 熊津洞 金鶴洞 舟尾洞 鳳亭洞 梧谷洞 胎封洞 檢詳洞 新基洞 巢鶴洞 上旺洞 新官洞 錦興洞 月松洞 武陵洞 雙新洞 月尾洞 |
中學洞
山城洞
熊津洞
金鶴洞
玉龍洞
新官洞
|
中 洞 中學洞 班竹洞 鳳凰洞
山城洞 錦城洞
校 洞 熊津洞
金鶴洞 舟尾洞 鳳亭洞 梧谷洞 胎封洞 檢詳洞
玉龍洞 新基洞 巢鶴洞 上旺洞
新官洞 錦興洞 月松洞 武陵洞 雙新洞 月尾洞 | |
州
外
面
|
玉龍里
巢鶴里
花隱里
錦城里
上旺里
龍堂里 金鶴里 舟尾里
| |||||||||||
利仁에서移管
鷄龍에서 移管
長岐에서 移管
牛城에서 移管 |
舟尾里 鳳亭里 梧谷里 胎封里
新基里 巢鶴里 上旺里 新官里 錦興里 月松里 武陵里 雙新里 月尾里 | |||||||||||
摘要 |
|
|
|
|
公州市 昇格 |
檢詳里 編入 |
市郡 統合 |
行政寡少洞統合 |
洞 名 |
自 然 部 落 | |
行政 |
法定 | |
中學洞 |
中 洞 |
국고개(30) 갱경골 본정통 |
中學洞 |
계울(190) 학관촌(150) 쪽지골 큰샘골 | |
班竹洞 |
수청골(92) 하고개 | |
鳳凰洞 |
큰샘거리(산2) 해지기(371) | |
山城洞 |
山城洞 |
산성갈마기 |
錦城洞 |
정자방(123) 宋山里(산5) 城內 학고개 | |
熊津洞 |
校 洞 |
향교골(180) 교촌 피천말 하고개 |
熊津洞 |
용댕이골(332) 오얏골(371) 왕지게들(600) 송산소(54) 박산소609) 한산소골(650) 한산소(664) 한산(산38) 시어골(157) 어골(203) 용댕이골 (340) 삼거리 진재 남양마을 | |
金鶴洞 |
金鶴洞 |
도장골(208) 법새울(338) 지막골(182) 느랭이(94) 큰골(124) 물안주 하선다리 성황동 |
舟尾洞 |
세제골(179) 질막간(127) 원골(125) 오송정(90) 음달(41) 명들(106) 세다리 (263) 양달 회선동 시더리 | |
鳳亭洞 |
새재(90) 돌고개(138) 성주골(161) 수챙이골(542) 뒷골(508) 건넝골 (505) 진양지들(585) 반선말(440) 원봉정(222) 안터240) 은골(265) 산박골(447) 용골(284) 왕드랭이들(300) 방축골(319) 저대(165) 승방이 (943) 승방골(24) 아현 신경지 | |
梧谷洞 |
참새골(807) 건지밑들(785) 오두강골(791) 장척(765) 장재울(730) 변제월골 (555) 무티골(585) 주밀골(465) 외터골(385) 오실(338) 마루들 (365) 양청들(313) 막골(70) 상포골(20) 황새미들(286) 구례들(616) 긴등골(273) 오래골(254) 안느랭이골(239) 호통골(238) 점말(205) 서당골(681) 용고랭이골(149) | |
胎封洞 |
평들(468) 저달(440) 함적골(432) 강정자(424) 산락골(401) 산적골 (384) 만구리들(198) 새진매들(254) 원태봉(229) 오유골(291) 수반골 (311) 원두막골(335) 수반(141) 밤나무골(285) 담배밭골(302) 웃말골 (79) 모새골(30) 남안골(40) 무속골20) 재발골(23) 무수계골919) | |
檢詳洞 |
미납골(70) 새나루(683) 합장골(24) 당넘어골(52) 탄항(155) 안기절골 (409) 대촌(543) 서낭넘어골(162) 괘자골(630) 이승터골(333 작은이슴터골(325) 원골(278) 용소 새나루 구렁말들 | |
玉龍洞 |
玉龍洞 |
大秋골(211) 수원골(63) 사당골(112) 柳洞 비선거리 은개 |
新基洞 |
요골(260) 불무골(280) 윗말(715) 소지미(703) 아랫말(388) 음지편 (428 승지골(795) 선골(213) 손윗재(87) 삼밭골(7) 새터60) 평들(541) 사갈더골(585) 기동 냉정 달바위 배실 | |
巢鶴洞 |
납다리(194) 뒤골(276) 씨학섬(25) 치경밭들(332) 높은행길(310) 참새골 (319) 돌반들(360) 대밭골(382) 원골(435) 큰요골(427) 막골(483) 달도지골 (509) 보통골(255) 싹섬 소학도 와야동 | |
上旺洞 |
살구정골(314) 중등골(333) 柯木亭(290) 작은목골(44) 가심골(266) 절토골 (432) 아래왕촌(404) 쑥개골(510) 윗왕촌(615) 큰목골(13) 소장골 (99) 소대골(716) 우투먹골(733) 九旺里 와야교 평전 풍배골 | |
新官洞 |
新官洞 |
신덕마을(507) 官골(356) 치미(507) 시목동(131) 基山 梅山洞 李山 日新洞 전막 |
錦興洞 |
소시락골(368) 마주뱅이골(360) 구레들(322) 장골(170) 청박골(108) 안터말 (124) 웃말(68) 불무골(80) 중미(18)하부들(193) 용주골(27) 서당골(240) 들렁고래들(543) 하지막(542) 역뒤들(438) 閑寂골(477) 금홀평들(308) 오약골 (208) 평골(231) 書堂골(239) 鳳舞洞 재경골 동마골 소토골 주막오얏골 중산 道德골 | |
月松洞 |
옹골(549) 허벅골(536) 안골(37) 약제천(521) 丁山(465) 다리울(101) 공산골(137) 웃골(151) 四松亭(202) 서원 약천 옹골 다래울 | |
武陵洞 |
고서골(131) 동녁골(86) 와룡암(291) 무릉천(531) 늘앗티(520) 중말(331) 목골(400) 한적골 양지뜸 담안 원봉 | |
雙新洞 |
참새골(산6) 상신(222) 승적골(221) 물방아거리(26) 하신(400) 연미산골 (390) 서당골 구학동 | |
月尾洞 |
가루고개(5) 고주개(283) 황새골(168) 절골(149) 연미산(82) 안골(122) 삼막골(145) 尾山(102) 甘泉 上尾 仙舞洞 宋山 연미산 |
자료 발취 :공주신문
퍼온글 장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