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선명한 것 | B | < C | U | M | J | J | J | J | J | J | J | T | T > | B |
희미한 것 | B | < C | U | M | J | J | J | J | J | J | J > | B | 여운마음 | 없음 |
나. 본삼매 인식과정(속행과정)
| 인식과정 K : Parikamma (준비), Uc : upacāra (근접) An : Anuloma (수순), G : Gotrabhu (종성), v : vodāna(청백 or 정화) Jh : Jhāna (본삼매), Mg : magga (도), Ph : Phala (과)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최초 본삼매 (입정)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K | Uc | An | G | Jh > | B | B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An | G | Jh > | B | B | B | B | |
최초 도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K | Uc | An | G/v# | Mg | Ph | Ph >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An | G/v | Mg | Ph | Ph | Ph > | B |
두 번째 이후 입정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K | Uc | An | G | Jh | 여러번 | Jh >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An | G | Jh | 여러 | 번 | Jh > | B |
두 번째 이후 과 인식과정 | 보통 | B | < C | U | M | Uc | Uc | Uc | An* | Ph | 여러번 | Ph > | B |
예리함 | B | < C | U | M | Uc | Uc | An* | Ph | 여러 | 번 | Ph > | B |
준비/근접/수순/종성 설명(『아비담마 길라잡이 제1권』, 419~421쪽)
준비(K) : 본삼매가 생기도록 뒤따라오는 근접, 수순, 종성을 준비한다.
근접(Uc) : 본삼매에 가까이 간 경지이다.
수순(An) : 앞의 근접삼매와 뒤의 본삼매를 잘 연결해 준다.
#:종성/청백(G/v) : 선정에 들어갈 때에는 범부 혈통의 마음에서 색계/무색계의 혈통의 마음
으로, 수다원이 될 때에는 범부 혈통에서 성자의 혈통으로 바뀌기 때문에 종성(種姓)이라 한다.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이 될 때에는 ‘청백의 경지(정화의 지혜, vodāna)’라고 한다.
* : 『청정도론 3』(대림 스님, 406쪽)의 “아라한과 유학인 경우에 수순은 과를 증득하는데
틈이 없는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를 참조했음.
형성평온의 지혜, 수순의 지혜, 종성의 지혜: 출현으로 인도(=도에 이르게)하는 위빳사나
준비 표상 : 예를 들어 흙 까시나일 경우에 흙으로 만든 원반(직경 30cm)
익힌 표상 : 까시나에 이물질이 있는 것이 그대로 나타남. 익힌 표상이 나타나면 장애가 제거되어 근접삼매가 된다.
닮은 표상 : 원반에 이물질이 없이 완전히 둥근 원반 모습이 된다. 닮은 표상이 나타나면 장애가 완전히 제거되고 본삼매에 들어간다.
|
첫댓글 사두사두사두